•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 distribution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7초

수도작용 송풍식 입제살포기 재발에 관한 연구 (I) - 입제 배출량, 분두 및 적정살포조건 - (A study on Development of a Pneumatic Granular Applicator for Paddy Field (I) - Granular Discharge Rate, Diffuser and Optimal Application Conditions -)

  • 정창주;정선옥;장영창;최영수;최중섭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2권2호
    • /
    • pp.127-136
    • /
    • 1997
  •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develop a pneumatic granular applicator that can be attached to the conventional ride-on rice transplanter. Operating conditions of a metering device for the applicator were determined so as to obtain the required discharge rate of granules for field application. The shape and size of diffuser was selected for the applicator and the spacing between diffusers on a boom and the boom height were determined as an optimal application condition for uniform distribution. The diffuser spacing of 1m for the fertilizer and the diffuser spacing of 0.8m for the pesticide at the boom height over 0.8m were acceptable.

  • PDF

충청지역 농업용수 중 농약 유래 POPs의 모니터링 연구 (Pesticide-Originated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Agricultural Waterways in Chungcheong Province, Korea)

  • 이화성;전황주;이회선;이성은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4호
    • /
    • pp.291-294
    • /
    • 2015
  •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은 현재 사용이 금지된 유기염소계 농약을 포함하고 이들은 국내 농업환경 중 발견이 되며 이들의 작물로의 이동 또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충청도 지역 15곳의 농업용수를 채취하여 이들 시료 중 POPs를 모니터링 하고자 하였으며 이들 시료는 액액분배를 통한 추출 및 정제컬럼을 이용한 정제과정을 거쳐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농약유래 POPs 중 ${\alpha}$-endosulfan이 0.01-1.13 ng/mL 수준에서 검출되었으며, ${\beta}$-endosulfan과 endosulfan sulfate는 각각 0.01-0.55 ng/mL 및 0.13-1.13 ng/mL 수준에서 검출되었다. 총 endosulfan 검출량은 0.38-1.18 ng/mL이었다. 현재 사용중인 농약 중 triadimefon 은 2.03-2.05 ng/mL 수준에서, tolyfluanid은 0.26-0.33 ng/mL 수준에서, chlorpyrifos는 1.34-3.85 ng/mL 수준에서 검출되었다. 농약계 POPs 중 endosulfan류의 물질들의 잔류가 확인되었고 이들의 환경 중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국내 살균제 저항성 문제의 현황과 전망 (Review of fungicide resistance problems in Korea)

  • 김충회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0
    • /
    • 2000
  • 국내 살균제 저항성 연구는 아직 초보적 수준으로 대부분의 연구가 실내에서의 살균제 저항성 균주의 검출보고에 국한하고 있다. 향후 살균제 저항성연구는 포장에서 대상 병원균 집단의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분포를 근거로 하여 그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을 판별하는 기준 농도를 설정한 후 병원균주의 저항성 여부가 판정되어야 한다. 국내의 대부분의 연구가 이점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자간에 저항성 기준에 차이가 있어 병원균 집단의 약제에 대한 감수성 변화를 추적하거나 해석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실내시험에서 검출된 살균제 저항성은 포장에서 감수성 및 저항성 균을 대상으로 방제효과를 조사한 후 그 저항성을 실증할 수 있어야 한다. 살균제 저항성은 실제로 농가포장에서의 약재 방제효율의 저하와 연관되어야 비로서 실용적인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저항성 균주에 대한 기생적 적응력의 조사는 병원균집단내의 저항성 균주들의 생존력이나 안정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살균제 저항성에 대한 장.단기적 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병원균 집단의 특정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의 변화가 그 살균제를 사용하고 있거나 사용한 적이 없는 포장에서 주의 깊게 조사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국내 살균제 저항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면에서 매우 시급한 연구과제가 되고 있다.

  • PDF

배 과원에서 버들가루깍지벌레의 분포 및 살충제 감수성 (Distribution of Matsumoto Mealybug, Crisicoccus matsumotoi (Hemiptera: Pseudococcidae) in Pear Orchards and Susceptibility to Insecticides)

  • 서진원;박준원;윤승환;송명규;이영수;구현나;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3-137
    • /
    • 2016
  • 국내에서 배에 발생하는 가루깍지벌레는 6종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 과원 19곳에서 2년간(2013년, 2014년) 가루깍지벌레류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버들가루깍지벌레와 가루깍지벌레가 주로 발견이 되었다. 우점종은 73%를 차지한 버들가루깍지벌레였다. 배 가루깍지벌레에 등록된 14개 약제(Buprofezin+Acetamiprid EC, Buprofezin+Amitraz EC, Buprofezin+Clothianidin SC, Buprofezin+Dinotefuran WP, Buprofezin+Etofenprox WG, Buprofezin+Thiacloprid SC, Buprofezin+Thiamethoxam SC, Benfuracarb WG, Acetamiprid WP, Clothianidin SC, Dinotefuran WG, Thiacloprid SC, Thiamethoxam WG, Sulfoxaflor SC)를 대상으로 버들가루깍지벌레의 방제가 가능한지 약충과 성충에 추천농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14개 모든 약제가 100%의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들 약제는 버들가루깍지벌레의 방제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초제 paraquat의 토양중 흡.탈착 특성 (Characteristics of adsorption-desorption of herbicide paraquat in soils)

  • 이석준;김병하;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0-78
    • /
    • 1998
  • 토양에 살포된 양이온성 농약인 paraquat가 점토광물, 유기물 및 토양 시료에서의 흡착량, 흡착 특성, 흡착 형태 및 탈착간의 상호관계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점토광물에 의한 paraquat의 흡착 시간은 유기물 및 토양 시료에 비하여 빠르게 나타났다. 팽창형 점토광물인 montmorillonite에 의한 흡착은 총흡착량 뿐만 아니라 CEC에 대한 흡착 비율에서도 다른 흡착제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Humic acid와 fulvic acid는 점토광물인 kaolinite와 토양 시료보다도 많은 양의 paraquat을 흡착하였다. 토양 시료에 의한 흡착은 CEC의 약 21% 정도로 점토광물에 비하여 25-5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Paraquat의 흡착 형태별 분포 시험에서 점토광물 및 토양 시료에서는 tightly bound type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humic acid및 fulvic acid에서는 loosely bound type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을 제거한 토양 시료의 paraquat 흡착량은 유기물을 제거하지 않은 토양의 85.1-95.5% 정도이며, unbound 및 loosely bound type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tightly bound type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용액중에 경쟁 양이온이 공존하는 경우, paraquat의 흡착은 유기물에서 약 35%정도 감소하였으나 montmorillonite에서는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경쟁 양이온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흡착제가 양이온으로 포화되어 있는 경우 paraquat의 흡착은 유기물에서 75% 정도, 토양 시료에서 65% 정도 감소하였으나 montmorillonite에서는 약 30% 정도만이 감소하였다. 흡착 형태에 따른 paraquat의 탈착 시험에서 tightly bound type은 흡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pH 조절, 초음파처리, 양이온의 첨가에 의하여서는 탈착되지 않았다. Loosely bound type의 paraquat는 흡착제의 종류 및 탈착방법에 따라 탈착율이 다르게 나타났으나, 양이온 첨가나 pH조절과 같은 화학적 변화 또는 초음파처리와 같은 물리적 충격에 의하여 탈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토양에 잔류된 살충제 Chlorpyrifos의 오이 흡수이행 및 분포 양상 (Distribution Patterns of Organophosphorous Insecticide Chlorpyrifos Absorbed from Soil into Cucumber)

  • 황정인;전상오;이상협;이성은;허장현;김권래;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8-155
    • /
    • 2014
  • 토양 중 잔류하는 chlorpyrifos의 오이 흡수 이행과 잔류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생장상 내 실내시험과 시설재배 포장에서의 실외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 및 실외시험 기간에 토양 중 chlorpyrifos의 분해 반감기는 각각 25.8~73.0일과 32.4~42.3일로 비슷하였다. 실내시험 오이 중 chlorpyrifos의 잔류량은 정식 후 15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오이 뿌리로부터 흡수된 농약의 양은 초기 처리된 절대량의 1.0~1.3% 수준이었다. 흡수된 농약의 대부분은 뿌리에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줄기와 잎 순이었다. 반면에 실외시험 중 수확된 오이열매에서 chlorpyrifos의 잔류량은 LOQ (0.02 mg/kg) 미만으로 안전한 수준이었으며 오이 부위별 시료 분석결과, 실내시험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뿌리에서 대부분의 잔류량이 검출되었다. 실외시험에서 오이 한 개체에 흡수된 chlorpyrifos는 초기 토양에 살포된 양의 0.03~0.04%로 실내시험에서의 흡수율에 비해 30배 낮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실제 토양환경 중 chlorpyrifos의 잔류수준은 본 시험에서 시험된 고농도(40 mg/kg) 처리구보다 낮은 수준이므로 안전한 농산물의 생산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2008년도 아산만 해수 중 유기인계 농약 분포 (Organophosphorous Pesticide Distribution in Seawater from Asan Bay, Korea in 2008)

  • 최진영;양동범;이성규;방재현;홍기훈;신경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203-212
    • /
    • 2010
  • Distribution of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OPs) was studied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08 in the seawater of Asan Bay, Korea. Among the 29 types of OPs det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IBP(S-benzyl O,O-diisopropyl phosphorothioate), ranging from <1 ng/l to 377 ng/l, was the most abundant. Other commonly observed OPs concentrations in the study area included diazinon (Diethyl 2-isopropyl-4-methyl-6-pyrimidinyl phosphorothionate; <1~307 ng/l), azinphos ethyl (3,4-Dihydro-4-oxo-3-benzotriazinylmethyl O,O-diethyl phosphorodithioate; <1~1997 ng/l), malathion (1,2-Di(ethoxycarbonyl)ethyl O,Odimethyl phosphordithioates; <1~3013 ng/l), demeton-O (Diethyl 2-(ethylthio)ethyl phosphorothionate; <1~2403 ng/l), and DDVP (2,2-dichlorovinyl dimethyl phosphate; <1~283 ng/l). Seasonal distribution of OPs in seawater is dependent on the OP application period. In August, OPs concentrations were general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salinity of seawater, implying progressive dilution of pesticides in the estuarine system. OPs were deposited into Asan Bay from Asan and Sabkyo Lakes as well as surrounding tributaries. Ten OPs, including diazinon, were detected in the suspended particles of Asan Bay.

방제드론 전용노즐의 유효살포폭 내 액적분포 및 수치해석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The Effective Distribution of Droplets and Numerical Analysis of The Control Drone-Only Nozzle)

  • 임진택;유성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531-536
    • /
    • 2024
  • 최근 농업분야의 스마트 농기계로 분류되고 있는 방제드론은 농촌지역의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작업 시간 단축과 방제효과를 높이기 위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결합하여 스마트 방제 및 자동방제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리관제 및 자동방제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 방제드론 전용노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드론 모델의 종류, 방제사, 바람, 비행속도, 비행고도, 날씨 조건, UAV 농약 종류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노즐의 특성파악과 범용성을 고려하여 약제살포 기준 제시가 가능한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다양한 변수 고려가 가능하도록 자체 설계노즐을 기반으로 유동해석(CFD)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감수지 실험을 통하여 액적분포의 이론값과 실험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추후 드론운용에 따른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정확한 비산을 산출하고 관리관제 및 자동방제 시스템에 활용하고자 한다.

Actual Conditions and Alternative Materials for the Pesticides containing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South Korea

  • Lim, Young-Wook;Kim, Ho-Hyun;Lee, Jun-Sang;Roh, Young-Man;Lee, Gee-Young;Jung, Hae-Woong;Lee, Jae-Yo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5-291
    • /
    • 2008
  • A global binding agreement was adopted with the leading of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UNEP) on May 22, 2001 in Stockholm to regulate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n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The agreement took effectuation with the ratification of 59 countries from the approval of 151 countries on May 17, 2004. After the approval on October 4, 2001, South Korea performed systematical investigation on POP-related substances such as chlordane, dichloro diphenyl trichloroethane (DDT), hexachlorobenzenes (HCB), heptachlor,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to get ready for the ratification of the convention with country-specific exemption. The domestic distributions of those chemical substances have been officially prohibited since the late 1960s to the early 1980s. Although there were occasional reports for the detection of some of those chemical substances, those performed minute signification in their existence in the environment. A series of investigation with documentary examination and fact-finding survey showed the possibility for the ratification on the convention without country-specific exemption.

광양만 저질에서의 미량오염물질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tribution Property of Micropollutants in Gwang-Yang Bay Sediment)

  • 한상국;박지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7호
    • /
    • pp.643-651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ve property of micropollutants in sediment around Gwang-yang bay using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of 310 chemicals. In the results, the major micropollutants detected were CH type chemicals such as aliphatic, polycyclic compounds, benzenes, and CHN(O) type chemicals aromatic amines, and pesticides. Insecticides of pesticide type were frequently detected at all sampling site. The total concentration of micropollutants were higher in summer than in winter and measured within the range of $ND{\sim}36.50{\mu}g/L$. Also, because of effect of seomjin river, GY6 of all sampling site detected by the highest concentration, GY10 and 11 located in Gwang-yang outside bay were not detected the micropollutant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e should estimated that the industrial complex located in Gwang-yang inside bay and an inflow of fresh water through the Seomjin river are major pollution sources of Gwang-yang 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