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alotiopsis longiset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차나무의 병해 III. Pestalotiopsis longiseta에 의한 차 겹둥근무늬병 (Diseases of Tea Trees III. Gray Blight of Tea Tree Caused by Pestalotiopsis longiseta)

  • 박서기;박기범;차광흥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63-465
    • /
    • 1996
  • 1992∼1994년 전남 보성지방 다원에서 2번차 수확 및 전지후의 차나무에 겹둥근무늬병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잎에는 다갈색의 원형 내지 부정형의 병반 위에 겹둥근무늬가 형성되었고, 후기에는 병반 위에 겹둥근무늬의 소혹점(분생자층)이 다수 형성되었다. 이 병원균은 Pestalotiopsis longiseta (Spegazzini) Dai et Kobayashi로 분리, 동정되었고, 균 접종 11일 후에 병징이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 PDF

Seasonal Occurrence and Development of Gray Blight of Tea Plants in Korea

  • Koh, Young-Jin;Shin, Gil-Ho;Hur, Jae-Seo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40-44
    • /
    • 2001
  • Disease occurrence and development of gray blight of tea (Camellia sinensis) were investigated. Higher incidences and more severe damage by gray blight were found in Japanese tea variety Yabukita than the Korean local variety. In Yabukita, Pestalotiopsis longiseta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on the diseased leaves than P. theae but vice versa in the Korean local variety. This indicates that there was the varietal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fungal species of gray blight pathogens. Both varieties were most severely damaged during the third harvest period with weather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favorable to the disease. Presence of the tea brown blight fungus Glomerella cingulata on the margin of gray blight lesion at the late stahe suggested that the pathogenic fungi of tea gray blight were replaced by the brown blight fungus during the disease development.

  • PDF

First Report on Gray Blight of Tea Plant Caused by Pestalotiopsis theae in Korea

  • Shin, Gil-Ho;Park, Hyoung-Koog;Hur, Jae-Seoun;Koh, You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308-310
    • /
    • 1999
  • A fungus associated with gray blight on tea plant (Camellia sinensis) was identifed as Pestalotiopsis theae based on the mycological characteristics. Mycelial growth on potato dextrose agar and size and shape of conidia of P. theae were similar to those of P. longiseta, but P. theae was different from P. longiseta in the color of three median cells and the number of apical appendages. Artificial inoculation of conidial suspension or mycelial mats on the wounded leaves and shoots of healthy plants induced the same disease, respectively. The Korean native variety was relatively. The Korean native variety was relatively more resistat to P. theae than a Japanese variety‘Yabukita’which has bee recently introduced and planted in large areas of southern parts of Korea. Here, we report the report the first record of gary blight caused by P. theae on tea plant in Korea.

  • PDF

차나무 겹둥근무늬병 방제용 미생물제제 개발을 위한 길항세균 Bacillus subtilis BD0310의 대량배양 최적조건 (Optimum Cultivation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an Antagonistic Bacterium Bacillus subtilis BD0310 for Development of a Microbial Agent Controlling Gray Blight of Tea Plants)

  • 김경희;오순옥;허재선;염규진;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12권2호
    • /
    • pp.85-90
    • /
    • 2006
  • 차나무 겹퉁근무늬병을 일으키는 Pestalotiopsis longiseta에 대하여 강력한 길항능력을 나타내는 Bacillus subtilis BD0310 균주의 대량배양을 위한 배양조건과 P. longiseta에 대한 항균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탄소원과 질소원을 선발하였다. B. subtilis BD0310 균주를 대량배양하기 위한 최적온도 및 시간은 $30^{\circ}C$, 24 시간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초기 최적 pH 는 7 로 확인되었다. B. subtilis BD03l0 균주를 대량으로 배양할 경우 P. longiseta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장 높게 증가시키는 탄소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fructose, galactose, glucose, glycerol, inositol, lactose, maltose, sorbitol, starch 등 9 가지 탄소원을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maltose와 inositol이 가장 효율적인 탄소원으로 선발되었으며, casein, tryptone, malt extract, yeast extract, $(NH_4)_2SO_4$등 5 가지 질소원 중에서 yeast extract와 tryptone이 가장 효율적인 질소원으로 선발되었다. 이러 한 결과들은 길항세균 B. subtilis BD0310를 차나무 겹둥근무늬병 방제용 미생물제제로 개발하기 위한 대량배양생산 공정을 확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Pestalotiopsis menezesiana에 의한 참다래 잎마름병과 발생생태 (Leaf Blight of Kiwifruit Caused by Pestalotiopsis menezesiana (Bress. & Torr.) Bissett and Its Ecopathology)

  • 박지영;이웅;송동업;성기영;조백호;김기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2-29
    • /
    • 1997
  • Etiological and ecopathological studi88888es on the leaf blight of kiwifruit (Chinese gooseberry), a disease newly found in 1993 in Korea, were carried out in this experiment. The leaf blight symptom was prevalent in the southern area of Chonnam Province where kiwifruits were widely cultivated. The disease occurred from July to fall, causing early defoliation of kiwifruit vines. Small brownish circular or irregular lesions appeared initially on the leaves, starting from the marginal leaf areas, and enlarged. Afterwards small grayish black granules (acervuli) were formed on the lesions. The color of old lesions changed to grayish brown or grayish white. The causal fungus was identified as Pestalotiopsis menezesiana (Bress. & Torr.) Bissett according to its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pathogenicity (pathogenic to Chinese gooseberry and grapevine, but not to other hosts of Pestalotiopsis spp.such as tea, apple, persimmon, and chestnut). As P. longiseta and P. neglecta were reported recently in Japan as pathogens causing similar blight symptoms in kiwifruit, P. menezesiana is a new leaf blight pathogen in kiwifruit. Development of the disease was stimulated by wounding, prevailing wind, and drought. The causal fungus was proven to be overwintered in the diseased leaves on the ground surface.

  • PDF

단감나무 둥근갈색무뉘병원균 Pestalotiopsis theae의 배양적 특성 (Studies on Cultural Characteristics Pestalotiopsis theae causing Leaf Blight on Oriental Persimmon Tree)

  • 장태현;임태헌;정봉구;김병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2-238
    • /
    • 1997
  • 단감나무 둥근 갈색무늬병을 일으키는 P. theae, SP2, SP3 및 P. longiseta의 균사 생장과 포자 형성에 미치는 여러 요인을 조사하였다. 균사 생육 및 포자 형성 적온은 $25{\sim}30^{\circ}C$으로 나타났으며, $35^{\circ}C$$0{\sim}8^{\circ}C$에서는 균사 생장 및 포자 형성이 불량하거나 정지되었다. 균사 생육 및 포자 형성 최적 pH은 4.5~5.0과 6.0~6.0으로 나타났다. 모든 공시 균은 Leonian, PSA 그리고 오트밀 배지에서 양호한 균사 생육을 보였으며, 포자 형성은 오트밀과 PSA 비재에서 많은 량의 포자를 형성하였으나 대체적으로 PSA 배지에서 많은 량의 포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소원 typtone과 glycine, 탄소원 starch, dextrose, galactose 그리고 lactose 등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좋았다. 또한 질소원 glutamic acid, peptone과 tryptone, 탄소원으로 starch, sucrose와 galactose은 포자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비타민은 균사 생육 및 포자 형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배양 기간에 따른 배지의 pH 변화에서 배양전 pH 7인 배지는 배양 10일 후에는 SP2, SP3균은 각각 pH 4.5~4.7로 P. theae와 P. longiseta은 각각 5.0~5.4로 낮아졌지만, 배양전 pH가 5.0인 배지는 배양 10일 후에 모든 균이 pH 4.5~4.7로 유지되었다.

  • PDF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차나무 겹둥근무늬병의 방제 (Control of Gray Blight of Tea Plants Using a Biofungicide)

  • 김경희;임명택;허재선;염규진;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14권1호
    • /
    • pp.37-42
    • /
    • 2008
  • 차나무 엽권에서 분리한 길항세균 Bacillus subtilis BD0310 균주를 차나무 겹둥근무의병을 일으키는 Pestalotiopsis longiseta에 대한 미생물제제로 개발하고. 대량배양 후 액상수화제로 제제화한 미생물제제의 차나무 겹둥근무의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온실과 포장에서 검증하였다. 온실실험 결과 병원균을 접종한 2일 후에 차나무 잎에 미생물제제를 처리한 치료효과에 비해 병원균을 접종하기 2일전에 차나무 잎에 미생물제제를 처리한 예방효과가 훨씬 높았다. 2005년과 2006년 수행한 포장실험 결과 미생물 제제의 살포횟수에 따라 차나무 겹둥근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증가하였는데, 미생물제제만 1주일 간격으로 4회 및 6회 살포한 경우 52.4%와 66.7%의 방제효과를 얻은 반면에, 미생물제제와 화학약제를 1주일 간격으로 2회씩 교호살포한 경우와 화학약제만 4회 살포한 경우에는 71.4%와 85.7%의 방제효과를 얻었다. 따라서 미생물제제와 화학약제를 단독으로 살포하는 것에 비해 교호살포하면 화학약제의 사용을 절감하고 전체 살포휫수를 경감하면서 차나무 겹둥근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In vitro에서 단감나무 둥근갈색무늬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 (In vitro selection of fungicides for control of leaf blight of sweet persimmon tree caused by Pestalotiopsis theae)

  • 장태현;임태헌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0-56
    • /
    • 2001
  • 국내에 등록된 살균제를 대상으로 Pestalotiopsis theae (SP-3)에 의해 발생되는 단감나무 둥근갈색무늬병 방제약제 선발을 위하여 in vitro에서 병원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상 약제 중 prochloraz, tebuconazole, fluazinam, fludioxonil, iminoctadine-triacetate 등은 $10{\mu}g/m{\ell}$에서 85% 이상, dichlofluanid과 chlorothalonil은 각각 10%, 33%의 균사생장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나, benomyl은 전혀 억제시키지 못하였다. 이들의 균사생장 최소억제농도 (MIC)는 iminictadine-triacetate가 P. theae SP-3 균수에 대해서는 $10{\mu}g/m{\ell}$인 반면, 대조균인 P. theae $\underline{MAFF}$ 752002와 P. longiseta $\underline{MAFF}$ 752001에 대해서는 $1{\mu}g/m{\ell}$ 미만으로 나타났다. fludioxonil, fluazinam, tebuconazole의 MIC는 $10{\mu}g/m{\ell}$이었고, Benomyl, chlorothalonil 및 dichlorofluanid의 MIC는 $1,000{\mu}g/m{\ell}$ 로 나타났다. 분생포자의 발아는 $1{\mu}g/m{\ell}$의 prochloraz, tebuconazole, fluarinam, fludoxonil, iminoctadine-triacetate가 함유된 배지에서 80% 이상 억제되었고, benomyl, chlorothalonil, dichlofluanid이 함유된 배지에서는 각각 40%, 60%, 30% 억제되었다. 단감나무 잎 절편과 공시균의 포자현탁액을 이용한 약효 검정에서 $10{\mu}g/m{\ell}$ iminoctadine-triacetate는 93% 이상 발병 억제력을 보였으나 동일 농도의 benomyl과 dichlofluanid는 발병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예방 및 치료 효과는 Fludoxonil, tebuconazole, fluazinam 및 iminoctadine-triacetate이 94% 이상을 보인 반면, benomyl과 dichlofluanid은 예방과 치료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차나무 겹둥근무늬병의 발생소장 및 엽권 길항미생물 선발 (Disease Progress of Gray Blight on Tea Plant and Selection of a Biocontrol Agent from Phylloplanes of the Plant)

  • 오순옥;김경희;임광미;허재선;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62-166
    • /
    • 2005
  • 차나무(Camellia sinensis O. Kuntze) 겹둥근무늬병의 발생소장을 2004년도 전남 보성군 보성읍 소재 전남농업기술원 보성차시험장에 식재되어 있는 야부기타 품종에서 조사하였다. 차나무 겹둥근무늬병은 6월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7월말에 최대발병률을 나타내었다. 차나무의 엽권으로부터 차나무 겹둥근무늬병균에 대한 길항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차나무 겹둥근무늬병균에 대하여 가장 길항능력이 우수하고 차나무에는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는 BD0310 균주를 겹둥근무늬병 방제용 길항미생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배양적, 형태적, 생화학적 특성 조사와 16S rDNA염기서열 분석에 의하여 Bacillus subtilis 로 동정되었다.

Antifungal Activity of Lichen-Forming Fungi Isolated from Korean and Chinese Lichen Species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 Oh, Soon-Ok;Jeon, Hae-Sook;Lim, Kwang-Mi;Koh, Young-Jin;Hur, Jae-Seo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381-385
    • /
    • 2006
  • Antifungal activity of Korean and Chinese lichen-forming fungi(LFF) was evaluated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of Botryosphaeria dothidea, Botrytis cinerea, Diaporthe actinidiae, Pestalotiopsis longiseta, Pythium sp., Rhizoctonia solani, and Sclerotium cepivorum. The LFF were isolated from Cladonia scabriuscula, Melanelia sp., Nephromopsis asahinae, Nephromopsis pallescens, Parmelia laevior, Pertusaria sp., Ramalina conduplicans, Ramalina sinensis, Ramalina sp., Umbilicaria proboscidea and Vulpicida sp. with discharged spore method. The isolates were deposited in the herbarium of Korean Lichen Research Institute(KoLRI) i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The LFF of Melanelia sp., P. laevior, Pertusaria sp., R. conduplican and Ramalina sp. exhibited stro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all of the pathogenic fungi examined. Among them, LFF of P. laevior showed more than 90% of inhibition in fungal hyphae growth, compared with control. The results imply that LFF can be served as a promising bioresource to develop novel biofungicides. Mass cultivation of the LFF is now under progress in laboratory conditions for chemical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sub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