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17초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nd clinical outcomes in maintenance dialysis patients

  • Kang, Seok Hui;Do, Jun Young;Kim, Jun Chul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8권2호
    • /
    • pp.127-135
    • /
    • 2021
  • Background: Dialysis patients are prone to having disabilities. We ai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disability and various clinical outcomes in Korean dialysis patients. Methods: This study consisted of 1,615 dialysis patients from 27 centers. We evaluated disability by using four questions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concerning whether help was needed for feeding, dressing/undressing, getting in/out of bed, or taking a bath/shower.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hree groups: no disability (Non-D, none of the four ADL domains required help; n=1,312), mild disability (Mild-D, one ADL domain required some/full help; n=163), or moderate to severe disability (MS-D, two or more ADL domains required some/full help; n=140). We evaluated falls, frailt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mortality, and hospitalization. Results: The numbers of participants with a fall during the last 1 year were 199 (15.2%), 42 (25.8%), and 44 (31.4%) in the Non-D, Mild-D, and MS-D groups, respectively (p<0.001). The numbers of participants with frailty in the Non-D, Mild-D, and MS-D groups were 381 (29.0%), 84 (51.5%), and 93 (66.4%), respectively (p<0.001). In bot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the physical component scale and mental component scale scores decreased as the grade of disability increased (p<0.001 for both scores). Hospitalization-free survival rate at 500 days was 64.2%, 56.7%, and 51.1% in the Non-D, Mild-D, and MS-D, respectively (p=0.001 for trend). Patient survival rate at 500 days was 95.3%, 89.5%, and 92.3% in the Non-D, Mild-D, and MS-D, respectively (p=0.005 for trend). Conclusion: Disability was associated with falls, frailty, HRQoL scales, and survival trends in Korean dialysis patients.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수요자의 등록 및 이용수준 영향 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the Registration and Access Levels of the Pilot Project for the General Physician System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 최은희;구여정;임승지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5-195
    • /
    • 2024
  • 연구배경: 장애인의 일상적 건강관리 미흡과 낮은 의료접근성으로 인해 다양한 건강문제 발생 및 과다한 의료비 지출 부담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장애인건강권법"에 근거하여 2018년 장애인 건강주치의제도 시범사업을 시행하였으나 2021년 기준 전체 중증장애인 중 시범사업 참여자는 0.2%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수요자의 장애인 건강주치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시범사업 등록 여부와 시범사업 이용수준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8년 5월 30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시범사업 정보와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연계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장애인건강주치의 참여 장애인의 시범사업 등록 및 서비스 이용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는 장애유형,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과 건강상태(만성질환의 개수, 찰슨동반상병지수(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 외래민감질환 및 복약불순응과 다제약제관리 필요의 해당 여부), 시범사업 서비스 이용 관련 변수를 포함하였다. 결과: 시범사업의 등록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결과, 주장애관리 가입 대상에 해당하는 장애유형(지체, 뇌병변, 시각, 지적, 정신, 자폐성 장애인)이 그 외 장애유형(odds ratio [OR], 4.157)보다, 군 지역 거주자보다 특별광역시 거주자(OR, 4.330)와 시 지역 거주자(OR, 3.332)가 시범사업에 등록할 확률이 높았으며, CCI와 만성질환 개수와 같은 건강수준의 영향도 있었다. 그러나 주치의 서비스 이용수준의 결정요인으로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장애유형, 연령, 의료보장 형태, 거주지역)과 건강수준(만성질환 개수, CCI) 등 개인적 요인보다 시범사업 서비스 가입 형태에 해당하는 변수군(수요자가 등록한 주치의의 소속 및 서비스 유형)이 더 높은 설명력(20.4%)을 보였다. 결론: 수요자의 장애유형과 지역과 건강수준에 따른 시범사업의 참여 편차를 고려하여 향후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며, 수요자의 서비스 이용수준에 공급자의 요양기관 형태나 서비스 유형의 영향력이 큰 바 향후 공급자의 참여 양상과 수요자의 참여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