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8초

딸기 시설재배지 토양 및 농산물 중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의 잔류량 - 유기염소계 농약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Residues in Greenhouse Soil and Strawberry Organochlorine Pesticides)

  • 임성진;오영탁;조유성;노진호;최근형;양지연;박병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14
    • /
    • 2016
  • BACKGROUND: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OCPs) are chemical substances that persist in the environment, bioaccumulate through the food web, and pose a risk of causing adverse effect to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They were designated a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by Stockholm Convention. Greenhouse strawberry is economic crop in agriculture, and its cultivation area and yield has been increased. Therefore, we tried to investigate the POPs residue in greenhouse soil and strawberry.METHODS AND RESULTS: Extraction and clean-up metho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OCP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y gas chromatography (GC)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ECD). The clean-up method was established using the modified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QuEChERS) method for OCPs in soil and strawberry. Limit of quantitation (LOQ) and recovery rates of OCPs in greenhouse soil and strawberry were 0.9-6.0 and 0.6-0.9 μg/kg, 74.4-115.6 and 75.6-88.4%, respectively. The precision was reliable since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percentage (0.5-3.7 and 2.9-5.2%) was below 20, which was the normal percent value. The residue of OCPs in greenhouse soil was analyzed by the developed method, and dieldrin, β-endosulfan and endosulfan sulfate were detected at 1.6-23, 2.2-28.4 and 1.8-118.6 μg/kg, respectively. Those in strawberry were not detected in all samples.CONCLUSION: Dieldrin, β-endosulfan and endosulfan sulfate in a part of investigated greenhouse soil were detected. But those were not detected in investigated greenhouse strawberr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residue in greenhouse soil were lower level than bioaccumulation occurring.

2001년 11월 제주도 고산에서의 대기 중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농도 변화 (Concentration Variations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Ambient Air of Gosan, Jeju in November 2001)

  • 김영성;김진영;진현철;문길주;김연제;한진석;김영준;김상우;윤순창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3-84
    • /
    • 2002
  • 우리 사회가 중국으로부터 오염물질 이동을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국지 오염 중심의 아황산가스, 먼지 등 1차 오염이 어느 정도 해결된 1990년대 초반 이후이다. 1992년 환경부 선도기술개발사업으로 산성비 감시 및 예측기술개발이 시작되고 1995년부터 국립환경연구원 주도로 배경농도 지역에서 미세입자 측정이 진행되면서 국내의 장거리 이동대기오염물질 연구는 점차 자리를 잡게 되었다. (중략)

  • PDF

대기 중 미량독성 유해물질의 특성과 현황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oxic Trace Substances in Ambient Air)

  • 김영성;김영주;임은정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134
    • /
    • 2002
  • 미량독성 유해물질은 크게 중금속 성분과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POP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로 나눌 수 있다. 아직은 우리 사회의 관심이 직접 주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국내 배출에 머물고 있으나 미량독성 유해물질로 분류되는 많은 물질들이 분해가 어렵고 대기 중 체류시간이 길어 장거리 이동의 가능성이 매우 크다. 실제 오염물질 배출이 거의 없는 북극의 북극곰, 물개, 물고기에서도 미량독성 유해물질 검출이 보고되고 있는데, 다른 지역에서 배출된 독성물질들이 침적과 휘발을 반복하며 이동하는 가운데 기온이 낮은 극지방에 축적됨으로써 나타난 현상이다. (중략)

  • PDF

Risk analysis of dioxin in human breast milk

  • Choi, Shin-Ai;Han, Jee-Yeun;Park, Jong-Sei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160.1-160.1
    • /
    • 2003
  •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have spread throughout the global environment to threaten human health and damage ecosystems. with evidence of POPs contamination in wildlife, human blood. and breast milk documented worldwide. Breast milk is an ideal medium for assessing exposures to POPs. POPs enter humans largely as contaminants of dietary animal products, where they sequester in adipose tissue, serum, and breast milk and equilibrate at similar levels on a fat weight basis. (omitted)

  • PDF

제주도 고산에서의 미량독성 유해물질 측정 (Measurement of Persistent Toxic Substances in Gosan, Jeju)

  • 김영성;김진영;문길주;한진석;김영준;윤순창;김용표;강창희;권성안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7-78
    • /
    • 2003
  • 2001년 5월 스톡홀름에서는 92개국이 DDT, 다이옥신 등 12개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POP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의 궁극적 소멸을 목표로, 배출 및 사용 저감을 위하여 유엔협약인 이른바 스톡홀름협약에 서명하였다. 이는 유럽에서 UNECE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s for Europe)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 협약의 일환으로 1998년 6월 덴마크 오후스에서 체결된 POPs에 관한 의정서에 뒤이은 결과이다 1998년 6월 오후스에서는 POPs와 함께 수은, 카드뮴, 납 등 3개 중금속에 관한 의정서가 체결되어 중금속에 관한 향후 국제사회의 동향을 짐작케 하고 있다. (중략)

  • PDF

식품 안전성과 환경보존을 위한 농약 잔류성 평가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 for food safety and environment protection)

  • 오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11
    • /
    • 2000
  • 지난 반세기 이상 작물보호제의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던 화학농약은 사용 후 식물과 환경구성 요소 중에 남게 되는 잔류성 문제로 일반사회의 지대한 관심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세계 각 국이 국가차원의 규제로써 등록시 안전성 요구자료를 강화하고 있고 일단 등록된 농약이라 할지라도 주기적으로 안전성은 다시 평가하는 재등록제를 도입하고 있다. 특히 최근 지구환경보호 차원에서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POPs), 내분비계 장애물질 (EDs)에 대한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국가차원에서 우리 먹거리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환경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조사사업과 정책 등이 수립 시행되고 있다. 이들 조사결과에 대하여 과학적인 평가와 진단 그리고 대책들은 소비자의 알 권리를 충족하기 위하여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하·폐수내 브롬화 디페닐 에테르(Polybrominated Diphenyl Ether, PBDEs)의 분포 및 제거기술 동향 (Treatment Technologies for Removal of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from Wastewater)

  • 김민희;현승훈;이원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54-768
    • /
    • 2017
  •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are a group of industrial aromatic organobromine chemicals that have been used since the 1970s as flame retardants in a wide range of consumer products and articles, including plastics, computers, textiles and upholstery. Commercial PBDEs were added to Annex A of the Stockholm Convention a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May 2009. PBDEs are still frequently found in sludge and effluent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even though commercial PBDEs were prohibited or voluntarily phased out several years ago.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are not designed to effectively remove PBDEs.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new developments and improvements to enhance upon the treatment techniques which are currently available.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the potential removal and degradation technologies for PBDEs in wastewater.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and compositional profiles of PBDE congeners in sludge and effluent a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relevant literature data in relation to their usage patterns in commercial products in North America and South Korea.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urrent PBDEs removal techniques (i.e., biodegradation, zero-valent iron, photolysis, sorption, etc.) are discussed critically. In addition, future research direction regarding the treatment and removal of PBDEs from wastewater is also sugges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환경 및 생체시료 중 과불화 화합물의 분석 동향 (Analytical trend of perfluorinated compounds in environmental and biota samples)

  • 이원웅;장원희;표희수;강태석;홍종기
    • 분석과학
    • /
    • 제23권4호
    • /
    • pp.331-346
    • /
    • 2010
  • 과불화 화합물(perfluorinated compounds, PFCs)은 열과 산성, 염기 등과 같은 화학적 조건에 높은 안정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수성, 발유성, 방오성과 제품 친화적인 특징 때문에 다양한 산업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근래에 이르러서는 대규모로 생산되고 있는 산업제품이다. 그러나 난분해성으로 인하여 환경 내에 잔류하여 전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나 동식물에 이르는 생물체에 이르기까지 오염되어 분포하고 있다. 또한 인체를 비롯한 생물체에 장기적으로 축적될 시 암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됨에 따라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스톡홀름 협약에서 과불화 화합물을 새로운 환경지속성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로 규정함에 따라 이에 대한 분석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경 및 생체 시료 내에서 과불화 화합물의 분석법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 및 문제점과 더불어 최근 연구 동향을 소개하였다.

Review of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AOPs) for treatment of pharmaceutical wastewater

  • Verma, Manisha;Haritash, A.K.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1-17
    • /
    • 2020
  •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PhACs) have become an environmental havoc in last few decades with reported cases of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ARB) and antibiotic resistant genes (ARGs), lethal effects over aquatic organisms, interference in natural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reduced diversity of microbial communities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mpartments, inhibition of growth of microbes resulting in reduced rate of nutrient cycling, hormonal imbalance in exposed organisms etc. Owing to their potential towards bioaccumulation and persistent nature, these compounds have longer residence time and activity in environment.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of wastewater treatment have got poor efficiency towards removal/degradation of PhACs and therefore, modern techniques with efficient, cost-effective and environment-friendly operation need to be explored.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AOPs) like Photocatalysis, Fenton oxidation, Ozonation etc. are some of the promising, viable and sustainable options for degradation of PhACs. Although energy/chemical or both are essentially required for AOPs, these methods target complete degradation/mineralization of persistent pollutants resulting in no residual toxicity. Considering the high efficiency towards degradation, non-toxic nature, universal viability and acceptability, AOPs have become a promising option for effective treatment of chemicals with persistent nature.

활성탄 위에서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2,3,7,8-TCDD)의 등온 흡착식 및 확산계수 예측 (Prediction of Adsorption Isotherms and Diffusivity on Activated Carbon for Persistent Organic Pollutant(2,3,7,8-TCDD))

  • 임영일;손혜정;이오성;남경수;유경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6호
    • /
    • pp.747-75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1,000^{\circ}C$에서 24시간 열처리된 활성탄에서 다이옥신과 유사구조를 갖는 o-DCB(ortho-dichlorobenzene)의 등온흡착식을 실험을 통하여 구하였고, 분자모사를 통하여 예측하였다. 실험으로 분석된 활성탄의 분자식 및 작용기 비율을 바탕으로 초기 활성탄 기본구조를 설계한 후, COMPASS(condensed-phase optimized molecular potentials for atomistic simulation studies) force field를 이용하여 이 구조를 최적화하였다. 최적화된 활성탄 분자구조에서 공극률, 비표면적, 및 입자밀도의 모사결과는 실험값과 비교되었고, 이들에 대한 실험과 모사결과의 오차는 각각 7.62, 3.79, 2.80%를 보여주었다. 통계 열역학적 방법인 GCMC(Grand Canonical Monte Carlo) 기법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활성탄 구조에서 온도에 따른 o-DCB의 등온흡착 상수값을 예측하였으며, 이 모사결과는 실험값과 비교될 때, 3% 이하의 오차를 보였다. o-DCB의 흡착특성을 바탕으로 확인되어진 활성탄 구조에서 다이옥신의 일종인 2,3,7,8-TCDD(tetrachlorodibenzo-p-dioxin) 등온흡착상수, 흡착열, 그리고 기공확산계수를 최종적으로 구함으로서, 실험적으로 구하기 힘든 맹독성 잔류성 유기물질의 흡착특성을 분자모사기법을 통하여 예측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