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anent anchor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9초

장기계측을 통한 인장형 앵커의 인장력 손실 평가 (Evaluation of Loss of Prestress Force of Tensile Anchor by Long Term Measurement)

  • 이봉직;이종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10호
    • /
    • pp.15-2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앵커의 장기 거동특성과 인장력 손실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시공된 인장형 앵커를 대상으로 장기 계측을 실시하고 이를 기존 예측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영구앵커는 비탈면 안정 혹은 구조물의 부상방지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강재로써 가설 앵커와 달리 구조물의 공용기간 동안 기능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시간 경과에 따라 앵커의 릴렉세이션 및 크리프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기능발휘를 위해서는 인장력 손실에 대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인장력 손실은 탄성론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감소와 인장재 종류에 따른 릴렉세이션을 값을 이용하여 산정하여 왔으며 장기적인 계측결과를 이용한 검증은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시공된 인장형 앵커를 대상으로 현장조건과 상세 지반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하중계, 경사계 및 지하수위계를 설치하여 최대 500일 이상의 장기 계측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측정된 벽체의 변위 및 앵커의 인장력 손실을 기존 해석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앵커의 장기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대부분의 앵커력 손실은 90일 이내에 발생되며, 앵커력 손실은 예측된 값보다 작게 측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 대합지구 절취사면의 붕괴 및 보강대책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llapse and Reinforcement of Cut-slope in Gyeong-Nam Dae-Hap)

  • 이진권;박춘식;장정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03-710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stabilization of collapse of cut-slope in Chang-Nyung, Gyeong-Nam.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pplied a reinforcement method with the latticed beam $(0.50\times0.50)$ + permanent anchor($PC\;6\times\phi12.7mm$, Ta = 50.0t/EA, etc 3.0m), and fill gravels(D=35cm) in the latticed beam. We attenuated the slope (1:2.0), and stabilized the slope pace by ASANA method. We planned a drainage way(U-type, $0.40\times0.40$) in order to prevent surface water from inflowing into underground.

  • PDF

Successful Treatment Using Wire-reinforced Interdental Splint for a Puppy with Rostral Mandibular Fractures

  • Kim, Se Eun;Shim, Kyung Mi;Kim, Seung Hyun;Bae, Chun-Sik;Kang, Seong So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37-140
    • /
    • 2018
  • A five-month-old toy poodle was referred for treatment of bilateral mandibular fractures. Preoperative skull and dental radiographs showed rostral mandibular fractures and permanent teeth that had not yet erupted. In addition to providing stability for the healing of fractures, it is very important to focus on restoring normal occlusion. The mandibular fractures were repaired using interdental wiring in a dentate area where the deciduous canines and fourth premolars were stable and could be used to anchor the interdental fixation. In the absence of an erupted permanent mandibular first molar, the modified Risdon wiring was performed using the deciduous mandibular fourth premolars as anchor teeth. An intraoral splint was placed on the mandibular teeth using self-curing composite resin. Five months after surgery, the patient had experienced no complications, and the permanent teeth had erupted normally. In this case, which involves a small-breed puppy with deciduous dentition, treatment with a wire-reinforced interdental splint using intact deciduous fourth premolar teeth as anchor teeth can be considered as a suitable method for rostral mandibular fracture restoration.

현장 하중계 계측자료 분석을 통한 그라운드 앵커의 장기거동 예측 (Prediction of Long-term Behavior of Ground Anchor Based on the Field Monitoring Load Data Analysis)

  • 박성열;황범식;이상래;조완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8호
    • /
    • pp.25-35
    • /
    • 2021
  • 현재 국내에서는 비탈면 및 구조물 안정성 확보를 목적으로 네일, 록볼트 등과 함께 그라운드 앵커 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중 장기목적으로 사용되는 영구앵커의 경우 사용기간 중 지지력과 내구성이 확보되어야 하나,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장기거동에 따른 잔존 긴장력 감소와 비탈면 변형 등의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잔존 긴장력 감소 문제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로 인한 유지관리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해 영구앵커의 긴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였으며, 과거 수행된 하중계 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한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였다. 이후, 이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실제 현장에서 수집한 하중계 계측자료를 분석하여 앵커의 긴장력 감소현황을 파악하였고, 그 장기하중감소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내용을 종합하여, 설치 직후 100일 부근의 단기 데이터를 통해 영구앵커의 장기하중감소특성을 예측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지압형 앵커의 지압력 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for the Applicable Bearing-Resistance of Bearing Anchor in the Enlarged-Borehole)

  • 민경남;이재원;이중관;정찬묵
    • 지질공학
    • /
    • 제24권2호
    • /
    • pp.261-271
    • /
    • 2014
  • 일반적인 영구앵커(마찰형 앵커)는 정착장에서 지반과 그라우트의 마찰력으로 인발에 저항하는 구조이지만, 지압형 앵커는 확공부에서 발생하는 지압력으로 인발에 저항하여 지반변형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는 확공을 이용한 지압형 앵커 활용 시 합리적인 지압력 산정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지압력 산정 시 도해법, 실내실험, 수치해석적 방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지반의 일축압축강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도해법에서는 앵커의 지압력을 천공경($r_i$), 확장되는 천공경($r_e$), 일축압축강도(${\sigma}_c$)의 함수로 정의하였다. 실내실험을 통한 연구에서는 실내 모형을 제작하여 앵커 인장시험을 수행하여 지압력을 확인하였고, Flac 3D를 이용한 3차원 유한차분해석을 통해 지반조건별 지압력을 확인하였다. 실내실험 및 수치해석에서 도출된 지압력은 회귀분석을 통해 지압력 산정식을 제시하였다. 지압력은 실내실험에서 일축압축강도 대비 약 28.5배로 가장 큰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순수 지압력 뿐만 아니라 앵커체 확장에 따른 주면마찰저항력이 함께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해법과 수치해석에서 확인된 지압력은 일축압축강도의 13.3배, 9.9배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현장실험을 통한 지압력 산정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산정식에 대한 신뢰성 향상이 필요하다.

하악 제1대구치 맹출 장애에서 Cantilever-Type의 견인 장치를 활용한 맹출 유도 (Cantilever-Type Traction Appliance for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s with Eruption Disturbances)

  • 임희정;이은경;정태성;신종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29-236
    • /
    • 2021
  •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는 매우 드물지만, 발생할 경우 교합 발육에 다양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의 조기 진단과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맹출 장애를 가진 하악 제1대구치의 두 증례에 대한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하악 제2유구치를 고정원으로 하는 cantilever-type의 spring을 추가한 견인 장치를 적용하여 매복된 제1대구치 견인을 시행했다. 따라서, 건전한 제2유구치가 존재하는 환자에서 이 장치가 짧은 시간 안에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지하구조물 부력방지를 위한 연직배수시스템의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ertical Drainage System for Resisting Uplift of Sub-structure)

  • 천병식;여유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83-190
    • /
    • 2001
  • A sub-structure is uplift if the floating greater than dead load of a structure. When such occasion arise, a structure sustain damage. In general, the measures for floating prevention of structure are a permanent anchor method and a drainage method. The primary construction cost of a permanent anchor method is heavy. And a drainage method is needed maintenance management long term. At this point, the measures for floating prevention of a notion being requires the other days. Therefore, at this study a simple construction and a economic vertical drainage system was developed. The findings be used in the in-situ and gave careful consideration to an application. The result of examination, this system considering a characteristic of coefficient of permeability for the ground controls occurrence of floating despite the water level rise of the ground, which a period of construction get shorter compared with other methods, which understood that measures satisfactory in the financial aspect. Especially, A structure occurring effects of flatting under the course of construction made use of it. As the result of the effect of it was confirmed by construction.

  • PDF

Seismic response of combined retaining structure with inclined rock slope

  • Yu-liang, Lin;Jie, Jin;Zhi-hao, Jiang;Wei, Liu;Hai-dong, Liu;Rou-feng, Li;Xiang, Liu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4권5호
    • /
    • pp.591-604
    • /
    • 2022
  • A gravity wall combined with an anchoring lattice frame (a combined retaining structure) is adopted at a typical engineering site at Dali-Ruili Railway Line China. Where, the combined retaining structure supports a soil deposit covering on different inclined rock slopes. With an aim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inclined rock slopes on the response of combined retaining structure under seismic excitation, three groups of shaking table tests are conducted. The rock slopes are shaped as planar surfaces inclined at angles of 20°, 30°, and 40° with the horizontal, respectively. The shaking table tests are supplemented by dynamic numerical simulations. The results regarding the horizontal acceleration response, vertical acceleration response, permanent displacement mode, and axial anchor force are comparatively examined. The acceleration response is more susceptible to outer structural profile of combined retaining structure than to inclined angle of rock slope. The permanent displacement decreases when the inclined angle of the rock slope increases within a range of 20°-40°. A critical inclined angle of rock slope exists within a range of 20°-40°, and induces the largest axial anchor force in the combined retaining structure.

국내 도심지 굴착공사에 적용된 Top-Down 공법의 시공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Top-Down Methods Performed in the Excavation Works of Domestic Downtown)

  • 정지승;박석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5-19
    • /
    • 2017
  • 국내 건축물 시공을 위한 지하 굴착은 안정성, 경제성 및 굴착 주변 여건 등을 고려하여 재래식 버팀대 공법(Strut, Ground Anchor)에서 점차 Top-Down 공법을 개량한 내부 영구 지지체 공법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Top-Down 공법, New Top-Down 공법, S.P.S 공법, S.T.D 공법 및 B.R.D 공법 등 내부 영구 지지체 공법 현장을 선정하여 재래식 버팀대 공법과 공사비 및 공기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공사 중 흙막이 벽체의 계측 자료를 분석하여 흙막이 벽체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깊은 굴착 및 기반암층이 지표면으로부터 가까운 경우 영구 지지체 공법이 재래식 버팀대 공법보다 경제성과 시공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Measured Performance of Full Scale Tieback Walls in

  • Kim, Nak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3호
    • /
    • pp.5-24
    • /
    • 1998
  • 사질토 지반에서 앵커로 지지된 토류벽의 거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텍사스 에이엔엠 대학에 소재한 미국 국립 토질 시험장에 계측기가 장착된 실물 크기의 앵커 토류벽을 시공하였다. 기간 중의 단계별 계측과 시공후의 계측을 실시하여 사질토 지반에서의 앵커 토류벽의 현장 거동을 분석하였다. 시공 단계별 토류벽의 수평 변천, 토류벽의 휨 모멘트, 토류벽의 연직 하중, 배면토의 침하와 앵커 하중을 계측하여 앵커 토류벽의 현장 거동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사질토 지반에서의 토류벽의 거동 특성을 실측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