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pheral Axillary arter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관상동맥질환에 병발한 좌측쇄골하동맥폐색의 치험 (Combined Repair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Left Subclavian Artery Occlusion)

  • 김상익;김병훈;노정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1호
    • /
    • pp.773-776
    • /
    • 2007
  • 47세 남자 환자로 양측 하지의 파행을 주소로 내원하였는데 심한 흡연력, 당뇨와 고혈압을 가지고 있었다. 평소 허혈성 심질환의 증상과 뇌혈류의 역류로 인한 증상은 없었지만 상 하지 혈관조영술과 동시에 시행한 관상동맥조영술 검사에서 좌측쇄골하동맥 폐색을 포함한 말초혈관질환과 관상동맥에 심한 협착이 관찰되었다. 수술은 좌측 늑강을 경유한 상행대동맥-좌액와동맥 혈관우회술을 시행 후 우내흉동맥을 좌전하행지에 문합하고 복재정맥을 사선지와 인조혈관에 문합하였다. 하지 말초혈관의 폐색은 술 후 18일에 혈관우회술로 교정되었고 결과는 양호하였다.

말초동맥에 발생한 가성동맥류의 외과적 치료 -치험 6례- (Pseudoaneurysms of Peripheral Arteries - A Report of 6 Cases-)

  • 류완준;조창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8호
    • /
    • pp.927-930
    • /
    • 1996
  • 인제의대 서울백병원에서는 1986년부터 1994년까지 말초동맥에 발생한가성동맥류환자 6례를 수술 치험하였다. 발생원인은 자상의 일차 봉합술 후 3례, 혈관에 도관삽입 후 2례, 골절상 후 고정 핀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 후 1례였다. 발생부위는심부 대퇴동맥 2례, 총대퇴동맥 2례, 쇄골하동맥과 액와동맥에 각각 1례였다. 증상은 박동성 종괴가 4례에서 촉지되었고, 청진시 잡음은 3례, 동통과 종창이 2례, 압통이 1례에서 있었다. 이 중 5례에서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2례에서 심부 대퇴동맥을 결찰하여 가성동맥류를 제거하였다. 단순 가성동맥류의 절제, 요피정맥을 연결하여 성형술, 복재정맥의 첩제를 이용한 성형술을 각각 1례에서 시행하여 가성동맥류를 제거하였다. 1례는 자연 치유되었다.

  • PDF

급성 상행대동맥 박리증 수술에서 액와동맥 삽관술의 역할 (The Role of Axillary Artery Cannulation in Surgery for Type A Acute Aortic Dissection)

  • 유지훈;박계현;박표원;이영탁;김관민;성기익;양희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343-347
    • /
    • 2003
  • 배경: 급성 상행대동맥박리증 수술 시 대퇴동맥이 동맥삽관 장소로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관류 장애 및 역행성 색전증의 발생 위험이 적은 액와동맥삽관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기존의 대퇴동맥 삽관술과 액와동맥 삽관술을 이용한 수술성적을 비교하여 액와동맥 삽관술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0월부터 2001년 9월까지 급성 상행대동맥박리증으로 수술을 받은 7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수슬 전의 상태, 수술범위 및 방법, 수술 후 경과를 분석하였다. 대퇴동맥삽관은 40명으로 평균 연령은 57세, 액와동맥삽관은 31명으로 평균 56세였다. 결과: 액와동맥군의 평균 체외순환시간과 순환정지시간은 각각 207분과 39분으로 대퇴동맥군의 263분과 49분보다 의미있게 짧았고(p<0.05), 수술 후 입원기간 역시 액와동맥군에서 15일로 대퇴동맥군의 35일에 비하여 의미있게 단축되었다(p<0.05). 수술 후 사망률(액와동맥군 6.5%, 대퇴동맥군 10%)과 영구적 신경계 합병증 발생률(액와동맥군 3.2%, 대퇴동맥군 2.5%)은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시적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률은 액와동맥군에서 12.9%, 대퇴동맥군에서 25%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대퇴동맥군 중 2명의 환자에서 수술 중 대동맥궁 분지의 관류 부전이 발견되어 삽관 위치의 변경이 필요하였다. 액와동맥 삽관에 따른 합병증으로는 1명의 환자가 정중신경 손상을 경험하였다. 결론: 급성 상행대동맥박리증 수술에서 액와동맥 삽관은 뇌허혈시간의 단축과 이에 따른 수술 후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률을 낮추는 데 기여하는 안전한 술식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에 따라 대동맥궁에 내피 손상부위가 있는 환자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광범위한 수술 적용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