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forated ray cell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Perforated Ray Cells in Korean Celastraceae and Oleaceae

  • Eom, Young-Geun;Chung, Youn-Jib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2호
    • /
    • pp.24-28
    • /
    • 1998
  • Ray cells with perforations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Celastraceae species of Euonymus sieboldiana and Tripterygium regelii and the Oleaceae species of Abeliophyllum distichum, Forsythia ovata, Ligustrum japonicum, and Osmanthus heterophylla, All these anomalous ray cells have simple perforations, and the vessel elements of all these species have simple perforation plates, Thus, in the Korean Celastraceae and Oleaceae, the perforations of ray cells appear to be identical with the types of perforation plates in the vessel elements of the same wood, The diagnostic value of the perforated ray cells is also discussed.

  • PDF

한국산(韓國産) 장미과(科) 활엽수재(闊葉樹材)의 천공(穿孔)을 지니는 방사조직(放射組織) 세포(細胞) (Perforated Ray Cells in Korean Rosaceae)

  • 엄영근;정연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432-436
    • /
    • 1995
  • 본(本) 연구(硏究)는 국산(國産) 장미과(科)의 찔레꽃, 덩굴장미, 해당화, 공조팝나무 및 국수나무에 있어서 목부(木部) 방사조직(放射組織)내에 천공(穿孔)을 지니는 방사조직(放射組織) 구성세포(構成細胞)가 존재(存在)함을 처음으로 보고(報告)하는 것으로 이들 방사조직(放射組織) 세포(細胞)의 천공(穿孔)은 도관요소(導管要素)에 발달(發達)하는 천공(穿孔)과 동일(同一)하게 단일천공(單一穿孔)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한국산(韓國産) 매자나무과(科) 및 대극과(科) 활엽수재(闊葉樹材)의 천공(穿孔)을 지니는 방사조직(放射組織) 세포(細胞) (Perforated Ray Cells in Korean Hardwoods of Berberidaceae and Euphorbiaceae)

  • 엄영근;정연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374-378
    • /
    • 1999
  • 본(本) 연구(硏究)는 매자나무과(科)의 매발톱나무와 당매자나무 그리고 대극과(科)의 예덕나무와 사람주나무에 있어서 목부(木部) 방사조직(放射組織)내 에 천공(穿孔)을 지니는 방사조직(放射組織) 구성세포(構成細胞)가 존재(存在)함을 처음으로 보고(報告)하는 것으로써 천공(穿孔)을 지니는 이들 방사조직(放射組織) 세포(細胞)의 천공(穿孔)은 도관요소(導管要素)에 발달(發達)하는 천공(穿孔)과 동일(同一)하게 단일천공(單一穿孔)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한국산(韓國産) 수국과(科) 일부(一部) 수종(樹種)의 천공(穿孔)을 지니는 방사조직(放射組織) 구성세포(構成細胞) (Perforated Ray Cells in Some Species of Korean Hydrangeaceae)

  • 엄영근;정연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319-323
    • /
    • 1997
  • 본(本) 연구(硏究)는 수국과(科)의 물참대(댕강말발도리), 둥근잎말발도리(꽃말발도리), 나무수국 및 고광나무에 있어서 목부(木部) 방사조직(放射組織)내에 천공(穿孔)을 지니는 방사조직(放射組織) 구성세포(構成細胞)가 존재(存在)함을 처음으로 보고(報告)하는 것으로써 천공(穿孔)을 지니는 이들 방사조직(放射組織) 세포(細胞)는 도관요소(導管要素)에 발달(發達)하는 계단상(階段狀) 천공(穿孔)과는 달리 물참대는 단일(單一) 내지 계단상(階段狀) 천공(穿孔)을 그리고 나무수국, 둥근잎말발도리 및 고광나무는 계단상(階段狀) 내지 망상(網狀) 천공(穿孔)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조사 수종 가운데 애기말발도리에서는 천공(穿孔)을 지니는 방사조직(放射組織) 구성세포(構成細胞)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천공(穿孔)을 지니는 버즘나무의 방사조직(放射組織) 세포(細胞) (A New Record of Perforated Ray Cells in Platanus orientalis L.)

  • 엄영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1호
    • /
    • pp.40-43
    • /
    • 1994
  • 본(本) 논문(論文)은 버즘나무과(科)의 버즘나무 (Platanus orientalis L.)에 있어서 목부(木部) 방사조직(放射組織)내에 천공(穿孔)을 지니는 방사조직(放射組織) 세포(細胞)가 존재(存在)함을 처음으로 보고(報告)하는 것으로 이들 방사조직(放射組織) 세포(細胞)의 천공판(穿孔板)은 도관요소(導管要素) 상호간(相互間)에 발달(發達)하는 천공판(穿孔板)과 동일(同一)하게 단일천공판(單一穿孔板)과 계단상천공판(階段狀穿孔板)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탄소나노섬유 모형을 이용한 천공된 다각형 코발트 산화물 합성 (Synthesis of Perforated Polygonal Cobalt Oxides using a Carbon Nanofiber Template)

  • 신동요;안건형;안효진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50-355
    • /
    • 2015
  • Perforated polygonal cobalt oxide ($Co_3O_4$) is synthesized using electrospinning and a hydrothermal method followed by the removal of a carbon nanofiber (CNF) template. To investigate their formation mechanism, thermogravimetric analysis,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re examined. To obtain the optimum condition of perforated polygonal $Co_3O_4$, we prepare three different weight ratios of the Co precursor and the CNF template: sample A (Co precursor:CNF template- 10:1), sample B (Co precursor:CNF template-3.2:1), and sample C (Co precursor:CNF template-2:1). Among them, sample A exhibits the perforated polygonal $Co_3O_4$ with a thin carbon layer (5.7-6.2 nm) owing to the removal of CNF template. However, sample B and sample C synthesized perforated round $Co_3O_4$ and destroyed $Co_3O_4$ powders, respectively, due to a decreased amount of Co precursor. The increased amount of the CNF template prevents the formation of polygonal $Co_3O_4$. For sample A, the optimized weight ratio of the Co precursor and CNF template may be related to the successful formation of perforated polygonal $Co_3O_4$. Thus, perforated polygonal $Co_3O_4$ can be applied to electrode materials of energy storage devices such as lithium ion batteries, supercapacitors, and fuel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