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fectionism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9초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고등학생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및 자의식 정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Self-Conscious Emotion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 김혜인;도현심;지연경
    • 아동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5-36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self-conscious emotion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The sample consisted of 471 adolescents (212 boys, 259 girls) attending high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self-conscious emotions mediated the impa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depression only in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such that with mothers' greater psychological control, girls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self-conscious emotions, and reported higher depression scores. Similarly, dysfunctional perfectionism functioned as a mediator i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depression. This tends to support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ame sex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s.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lso had the largest direct effect of all variables analyzed on depressi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elf-conscious emotions for either boys or gir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s designed to promote adolescents' mental well-being should focus on parenting of the same sex parent as well as adolescent cognitive characteristics.

중학교 과학영재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Perfectionism and stres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 송경애;이지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37
    • /
    • 2001
  • 본 연구는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 요인별 강도를 비교하고 완벽주의 유형과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질문지 조사를 통해 143명의 과학영재 중학생과 148명의 일반 중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완벽주의 성향은 과학영재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영재집단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높았으며, 스트레스는 일반학생들이 영재집단에 비해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집단의 경우 학교생활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에 있어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exercise burnout of amateur boxers

  • OH, Chae Yun;HUR, Seung Eun;SONG, Youn Sang;MOON, Hwang Woon
    • Journal of Sport and Applied Science
    • /
    • 제5권3호
    • /
    • pp.7-12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ectionism tendency of amateur boxers and exercise exhaustion, to understand the perfectionism tendency of boxers in the sports of speculative sports, and to provide startigic insights for reducing exercise exhaus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this study, adult boxers registered with the Korean Boxing Association of the Korea Sports Council in 2019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opulation. 280 box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responded the survey items, which were constructed by research variables, perfectionism and burnout.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version 18.0 for statistics. In details, frequency, correlation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to test the proposed relationship.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mateur boxers' perfectionism and athletic exhaustion,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mong amateur boxers' perfectionist tendencies was high,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burnout. Conclusions: In order to reduce the pressure of amateur boxers to win and the pressure to pass through the weight class, which is characteristic of weight control events, if the athlete manages himself well, the athlete's exercise exhaustion will decrease. If professional mental training is combined, it is judged that amateur boxing will be able to develop once again.

임상간호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대처유형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rfectionism and Coping Styles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 유지혜;최현경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4-7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burnout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clinical nurses' various perfectionism and coping style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clinical nurses who had six months or more years of clinical experiences from two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D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Results: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tive coping styl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tive coping style and passive coping style. Influencing factors on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wer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beta}=.37$), satisfied work unit (${\beta}=-.64$) and neutral satisfaction of work unit (${\beta}=-.27$), over 40 years of age (${\beta}=-.21$), and active coping style (${\beta}=-.14$). The model consisting of these variables explained 42% of variance of burnout in clinical nurse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that consider influencing factors such as perfectionism and coping styles is needed to reduce the level of burnout of clinical nurses.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Dance Commitmen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Dance Achie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 Min, Yun-M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3호
    • /
    • pp.172-18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and dance achie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on dance achievement through the medium of dance commit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as constructed with perfectionism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dance commit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dance achievement as endogenous variables. The fina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 data were processed by frequency analysis to find out personal characteristics using SPSS 23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research tools. In addition, AMOS 21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s a result of data processing on the research model. First, the sub-dimensions of perfectionism tendency 'worry about mistakes', 'personal standard', and 'doubt about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ance commitment. Second, the sub-dimensions of perfectionism 'worry about mistakes', 'personal standard', and 'doubt about behavio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dance commitmen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ance achievement, bu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ance achievement.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양궁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Job Stress of Archery Trainers)

  • 홍길동;임태희;고용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61-372
    • /
    • 2008
  • 본 연구는 양궁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07년도에 개최된 전국 중 고 양궁선수권대회에 참여한 양궁팀의 지도자 113명을 대상으로 목적적 표본 추출하였다. 측정도구는 Hewitt & Flett(1991)가 개발한 완벽주의 척도를 임태희(2005)가 한국적 문화와 정서에 맞도록 개발한 완벽주의 척도와 조만태(1998)가 개발한 직무스트레스 척도로 각각 5점 척도와 7점 척도로 평정하였다. 입력된 자료는 SPSS 13.0 for Window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궁 지도자의완벽주의 성향은 개인완벽, 타인완벽, 사회완벽 요인 순으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여건스트레스, 시합스트레스, 직무부하스트레스, 지원체계스트레스, 대인관계스트레스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양궁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 요인 중에서 개인완벽 요인은 직무여건스트레스, 시합스트레스, 직무부하스트레스와, 타인완벽 요인은 시합스트레스, 직무부하스트레스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궁지도자의 개인완벽주의 성향 요인은 직무여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완벽과 타인완벽주의 성향 요인은 시합스트레스와 직무부하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정신건강이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s' Raising Attitudes, Mental Health on Multidmensional Perfectionism University Students)

  • 장성화;구승신;이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797-80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정신건강이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대전과 서울 지역에 소재한 4개의 대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변인들간의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어머니의 애정,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편집증만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상의 부모양육태도, 정신건강이 다차원적 완벽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거부, 애정 양육태도와 대학생의 적대감이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거부, 애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대학생의 적대감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거부, 애정태도, 대학생의 적대감과 편집증은 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거부적, 애정태도가 높을수록, 적대감, 편집증이 지각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융복합을 활용한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 대처가 만성적 피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tress Coping on Chronic Fatigue of Adolescent Athletes through Convergence)

  • 장홍영;김상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371-379
    • /
    • 2018
  • 이 연구는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대처가 만성적 피로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청소년 운동선수들 총 254명을 대상으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대처가 만성적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적응적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대처의 소극적 대처 요인인 정서 완화적 대처 수준과 소망적 사고 추구 수준, 그리고 만성적 피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대처 및 만성적 피로 하위요인들 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성적 피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실수에 대한 염려요인이었고 다음으로 수행에 대한 의심과 소망적 사고 추구 및 정서 완화적 대처의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만성적 피로의 대처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대처에 대해 다루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와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 성별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al Perfectionism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vestigating the Roles of Gender Effect)

  • 채희선;박지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25-631
    • /
    • 2021
  • 본 연구는 개인 수준에서 조직시민행동이 초래하는 딜레마적 상황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인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 성격과 성별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즉, 자원보존이론을 바탕으로자기 비판적 완벽주의 성격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고, 성별 차이가 이 관계를 어떻게 변화 시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보존이론에서 주장하듯이,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 성격은 조직시민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성별 관련 논의들에 근거하여 여성에 비해 남성일 경우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와 조직시민행동 간 부(-)의 관계가 강하게 나타날 것임을 가설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상사-부하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150쌍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기 비판적 완벽주의 성격과 조직시민행동 간에 부(-)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 하였고, 이러한 부적 효과는 남성의 경우 더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시민행동을 설명하는 개인적 특성과 성별효과를 살펴봄으로 인해, 조직시민행동 관련된 분야에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일부 대학생의 외적 이미지와 자기 완벽성에 대한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their External Image and Self Perfectionism on Depression)

  • 전상남;박지은;황성완;김선희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3-6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xternal image and self perfectionism on the depression. The survey collected 240 subjects from 3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May to June of 2011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5.0.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ose with lower self image level, those with higher self perfectionism increased the depression level.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considering the fact that external image and self perfectionism influence on the depression. Moreover, it should be developed that solutions can decrease psychological pressure and overcome overwhelming expec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