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nt germination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31초

염화물계 제설제의 농도처리에 따른 벼과와 국화과의 종자 발아특성 (Effect of Chloride-containing Deicing Salts Concentration on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ix Species of Asteraceae and Poaceae Seeds)

  • 양지;이재만;송희연;박선영;윤용한;주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907-915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st tolerant species under salinity stress from amongst Asteraceae and Poaceae. The seeds of six species were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Cl_2$ (0, 9, 18, 45, 90 mM) and NaCl (0, 17, 34, 85, 170 mM), and germination was measured once every two day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nt germination of the six species of Asteraceae and Poaceae seeds were affected differently by changes in salinity concentration. Seed germination was reduced as salinity levels increase, and longer mean germination times correlated to lower percent germination and earlier germination cessation. Both Asteraceae and Poaceae seeds ha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s at 18 mM $CaCl_2$ and 34 mM NaCl, and seed germination and growth were severely reduced at salinities greater than 90 mM $CaCl_2$ and 170 mM NaCl. In the seeds of Poaceae, salt resistance was strong in the order of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and Phragmites communis Trin. In the seeds of Asteraceae, salt resistance was strong in the order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Aster yomena (Kitam.) Honda, and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Overall,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r in Asteraceae than in Poacea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is the most tolerant species and that a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salt tolerance of percent germination and the mean germination time in the leaves.

Effects of Restricted Oxygen, Nitric oxide, and Mercuric Chloride on the Seed Germination and Early Elongation Growth of Rice

  • Yang Woon-Ho;Kim Je-Kyu;Smucker Alvin J.M.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87-294
    • /
    • 2006
  • Germination and early elongation of rice after germination were investigated in anoxic air treatment, nitric oxide gas treatment, and six concentrations of mercuric chloride solution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mited oxygen environment, nitric oxide, and inhibited water flux through cell membrane in $17^{\circ}C$. Anoxic air treatment affected germination of tested six varieties very little. However root elongation rates were severely inhibited while shoot growth was affected less. Reductions in shoot and root elongations demonstrated genotypic variations. Nitric oxide delayed the germination of rice even though it didn't affect the final percent germination. Elongations of root and shoot were inhibited in nitric oxide treatment. The inhibitor effect of nitric oxide on the shoot elongation of rice was less severe, while nitric oxide completely inhibited the root emergence of rice. Concentrations of $HgCl_2$ greater than $300{\mu}M$ dramatically reduced the rate and percentage of germination when compared to distilled water treatment. The reduced percent germination showed the greatest variation among rice varieties in $500{\mu}M$ solution of mercuric chloride. Ansanbyeo, Jinheung, and Odaebyeo were affected less by $HgCl_2$, Nonganbyeo and Sangmibyeo were intermediate, and the germination of Andabyeo was greatly reduced by $HgCl_2$. Root elongation of germinated rice seedlings was more sensitive to oxygen deficits, nitric oxide, and $HgCl_2$ treatments than germination and shoot elongation. In conclusion, poor seedling establishment of rice sown in flooded paddy soils, in which the oxygen supply to the seeds is restricted, appears to the result of limited root elongation rate.

수분장애시 목초 발아특성 및 누적 발아율 곡선 예측을 위한 Sigmoid 함수들 간의 비교 (Comparison of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of Logistic and Weibull Functions to Predict Cumulative Germination of Grasses Under Osmotic Water Stress)

  • 이석하;윤선강;백성범;박현구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09-214
    • /
    • 1991
  • 수분 장애시 목초 발아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삼투압 0, -5 bar 두 수준에서 tall fescue, orchardgrass, Kentucky bluegrass 및 alfalfa의 총 발아율, 발아속도계수를 구하였으며, 누적 발아율의 경시적인 변화를 logistic 및 Weibull 함수를 이용하여 비선형회귀 잔차에 의하여 함수간 비교를 하였고, 각 함수로부터 추정된 계수를 조사 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삼투압 수준 -5 bar에서 대조구 대비 총발아율은 감소, 발아속도계수는 감소하였으며, alfalfa는 다른 초종에 비하여 그 변화정도가 적었다. 2.비총형회귀잔차 분석에 의하면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orchardgrass는 삼투압 조건에 관계없이 logistic과 Weibull 함수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Weibull 함수에 의한 alfalfa의 누적 발아율 곡선추정시 분석잔차가 logistic 함수보다 적었다. 3. 각 함수로 부터 20% 발아율 도달 일수를 추정한바, 수분장애에 의한 발아지연을 감지할 수 있었으며 함수들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4. logistic 함수로부터 추정된 비율계수는 alfalfa를 제외한 전 초종에서 수분장애에 의해 감소되었고, Weibull 함수로 부터 추정된 규모 및 형상 계수는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온도, Polyethylene Glycol 및 황사처리가 자운영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Polyethylene Glycol and Sulfuric Acid Treatments on Germination of Chinese Milkvetch)

  • 성락춘;박근용;조재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8-253
    • /
    • 1990
  •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 Line A) 종자의 발아와 묘신장을 네 온도(15, 25, 30 및 35$^{\circ}C$), 세 polyethylene glycol(PGE) 10,000(MW) 용액(0, 20 및 25g/100mg $H_2O$), 그리고 다섯수준의 황산(중량기준 conc. H$_2$SO$_4$ : Seeds; 0, 1:1 10분, 1:1 20분 1:1.5 10분 및 1:1.5 20분 침지)에 처리하여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운영의 발아율은 15$^{\circ}C$에서 가장 높았으나 묘장은 $25^{\circ}C$에서 가장 길었다. 발아율과 묘장 모두 PEG 무처리에서 25로 농도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감소되었다. 15$^{\circ}C$의 PEG 20과 25에서는 다른 온도보다는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황산처리효과에서는 발아율과 묘장 모두 황산무처리와 같거나 감소되었다. 그러나 PEG 무처리의 경우에는 황산:종자비율 1:1.5에서 10분간 침지시에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본 시험의 결과로는 종자의 발아는 수분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보였다.

  • PDF

Gibberellic acid 처리가 Kentucky bluegrass와 Tall fescue 잔디종자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bberellic Acid on Seed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and Tall Fescue Turfgrass)

  • 강점순;김용철;최인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2-39
    • /
    • 2007
  • 발아율이 저조한 한지형 잔디인 Kentucky bluegrass 와 Tall fescue종자를 식물생장조절제인 $GA_3$와 BAP를 처리하여 발아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최적 처리조건을 구명하였다. Kentucky bluegrass 초종에서는 $GA_3$ 처리는 농도에 관계없이 BAP 단독 또는 및 $GA_3$와 BAP혼용처리보다 발아증진 효과가 높았으며, 처리기간은 6일 처리가 3일 처리보다 좋았다. 따라서 최적 처리조건은 $GA_3$ $1000{\mu}M$농도로 6일간 처리였으며, 무처리보다 발아율을 $10{\sim}38%$ 향상시킬 수 있었다. Tall fescue 종자는 생장조절제를 처리하면 발아율이 향상되는 경향이나 현저한 수준은 아니었다. 최적 생장조절제 처리조건은 $GA_3\;1000{\mu}M$용액으로 3일간 처리였는데, 무처리 종자에서 비해 발아율을 10%증진시켰다. $GA_3$ 처리된 Kentucky bluegrass와 Tall fescue 종자는 묘출현율이 무처리에 비해 $8{\sim}9%$ 향상되었고, 묘출현속도는 1.2일 빨랐다. 또한 건물 중, 초장 및 뿌리생장 등 초기생육이 무처리에 비해 향상되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당근, 상추, 양파 및 파 종자 발아촉진을 위한 Priming 약제 종류와 농도에 따른 효과 (Germination of Carrot, Lettuce, Onion, and Welsh Onion Seeds as Affected by Priming Chemicals at Various Concentrations)

  • 정연옥;강성모;조정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2호
    • /
    • pp.93-97
    • /
    • 2000
  • 당근, 상추, 양파 및 파종자 발아촉진을 위한 priming 처리 시 약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고자 $KNO_3$, $KH_2PO_4$, $K_3PO_4$, NaOH 및 $Ca(NO_3)_2$는 3수준, PEG 8000은 4수준으로 농도를 달리하였으며, 처리 후 발아율, T50 및 평균발아소요일수(MDG)를 무처리 및 수침처리와 비교하였다. 당근 종자의 발아율은 무처리에 비하여 PEG, $Ca(NO_3)_2$, $KH_2PO_4$ 처리는 유의차가 없었고 T50 및 MDG는 처리약제 모두 단축효과가 있었지만 -0.50 MPa PEG 처리 시 가장 효과적이었다. 상추 종자의 발아율은 무처리에 비하여 유의차가 없었으며, T50은 모든 처리약제에서 단축효과가 있었지만 수침처리와는 차이가 없었고 MDG는 50mM $K_3PO_4$ 및 200mM $KH_2PO_4$에서 단축효과가 있었다. 양파 종자의 발아율은 무처리보다 감소되었으며, T50과 MDG는 200mM $KH_2PO_4$가 무처리에 비하여 단축효과가 있었다. 파 종자의 발아율은 무처리에 비하여 낮았으며, T50 및 MDG는 $KH_2PO_4$$Ca(NO_3)_2$에서 단축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Priming, 온도 및 광질이 미국자리공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iming, Temperature and Light Quality on Germination of Pokeweed(Phytolacca americana) Seed)

  • 강진호;류영섭;김동일;이외숙;김성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3-159
    • /
    • 1997
  • 미국자리공은 용도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성 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선진국에서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환경오염이 심한 공단 인접지역에 거대한 군낙을 형성하여 생태계 파괴를 가속화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어서 이의 자원화 및 번식억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아에 관여하는 요인으로서 nitrates를 이용한 priming, 온도 및 광질이 미국자리공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율은 priming 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priming 처리한 종자에서 현저히 높았으며, 치상 8일 후부터 C3(NO$_3$)$_2$처리에 비하여 KNO$_3$ 처리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KNO$_3$를 이용한 priming 처리에서 처리 농도를 증가할수록 발아율은 증가하나 150mM과 300mM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priming 처리기간에 차이가 거의 없는 1일과 3일에 비하여 6일간 처리할 때에는 발아가 현저히 둔화되었다. 3. 광질에 관계없이 발아온도 2$0^{\circ}C$ 항온에서는 발아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주/야 20/3$0^{\circ}C$ 변온, 3$0^{\circ}C$ 항온, 주야 30/2$0^{\circ}C$ 변온의 순서로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4. 암상태보다는 빛이 있는 조건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며, 백색광에 비하여 적색광에서 발아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5. 주/야 30/2$0^{\circ}C$ 또는 20/3$0^{\circ}C$ 변온에서 Priming을 가한 종자는 암상태에서도 발아되었다.-chamigrene, 1-(1,5-diMe-4-hexenyl) -4-mebenzene, $\beta$-endesmol의 성분이, 줄기의 경우는 sabinene, $\beta$-myrcene, ι-limonene, phellamdrene, $\alpha$-terpinene, ledene, 1-borneol, ${\gamma}$-terpinene, 2,4a,5,6,7,8,9,9a-octahydroben-zocycloheptane, elemol, ${\gamma}$-selinene, cis-3-hexanal, (Z)-3-hexen-1-ol acetate, ${\gamma}$-elemene, $\delta$-guaiene, $\delta$-cadinene, 9-octadecanal, 1-(1,5-diMe-4-hexenyl) -4-mebenzeno, $\beta$-endesmol, $\alpha$-charugrene의 향기성분이 주요 성분군으로 확인되었다. 2. 생강나무에서 생강의 향기를 발산하는 성분으로는 $\beta$-myrcene, o-terpinolene, phellandrone, ι-limonene, $\beta$-eudesmol, $\delta$-cadinone, elemol, trans-caryophyllene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phellandrene, $\beta$-eudesmol이 주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났고, 복부 비만의 지표인 허리엉덩이둘레비는 GPT, alkaline phosphatase, 공복시

  • PDF

단감나무 둥근갈색무늬병균(Pestalotiopsis theae)의 분생포자 발아에 미치는 환경요인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Conidial Germination of Persimmon Leaf Blight on Sweet Persimmon Tree)

  • 장태현;임태헌;정봉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0-124
    • /
    • 1998
  • The conidial germination of Pestaotiopsis theae was occurred in cells attched with pedicels, the inferior cell of conidium. The cells were swollen like a ball, and then germinated in 4 hours under favorable conditions. Generally, it was considered that fifty percent of whole conidia was germinated in the range 6~12 hours.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conidial germination of P. theae (SP-3) causing leaf blight on sweet persimmon was $25^{\circ}C$ and pH 5, respectively. Conidial germination rate was higher than 90% at 100% relative humidity, but never germinated at a relative humidity lower than 88.5%. Conidial germination was highest at the concentration of 1~4$\times$104 conidia/ml. In case of cultural media, the conidial germination was higher than 90% on PDA, PSA, OME and Leonian agar.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light and conidial germinat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key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conidial germination of the fungus (SP-3) were temperature and moisture.

  • PDF

식물의 아황산 가스 피해에 대한 암모니아 가스의 영향 (Effects of Ammonia on the Sulfur Dioxide Injury in Plants)

  • 성민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6권1_2호
    • /
    • pp.17-22
    • /
    • 1973
  •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injuries of $SO_2$, $NH_3$, and $SO_2$ and NH3 mixed gas to the germination and the growth of plants. Six kinds of plants were used as the material. These plants seeds were treated with the gases for five days. Rate of the germination and the growth in height of varying plan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gases. The critical concentration of the gases for both the germination and the growth were in 5ppm of $SO_2$, 50ppm of $NH_3$, and 50ppm $SO_2$ and 50ppm $NH_3$ mixed gases. When a low concentration of $SO_2$ was treated together with NH3, especially it was reduced to 60 percent of the damage in the germination and the growth. In the treatemnt with $SO_2$, the germination of the seeds which soaked in water for 24 hours reduced the injuries more 40 percent than those which for one hour. It was observed that the seeds with thick coasts or with originally intact coats were suffered but little damaged by the gases, and the external symptoms of an injury were shown, at first, in water pore, and then, in guard cell on the leaves.

  • PDF

소나무 우량 임분의 구과 생산량에 따른 종자 및 발아 특성 (Seed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Properties according to Change of Cone Production in Pinus densiflora Stands)

  • 최충호;조경진;탁우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317-324
    • /
    • 2007
  • 종자 공급 방안 개선에 필요한 기초 자료 획득을 위해 소나무 우량 임분 3개소를 대상으로 2003년부터 2006년까지 구과 생산량에 따른 종자 및 발아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과 생산량은 2년을 주기로 하여 풍 흉 상태를 보였다. 주요 종자 특성 중 종자 생산 능력과 충실 종자율은 대체적으로 구과 생산량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 반면 성숙 종자율과 종자 효율은 반대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자 특성과 구과 생산량과의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종자 생산 능력 ($R^2=0.682$, p<0.01)과 충실 종자율($R^2=0.l61$, non-significant)은 정(+)의 경향을, 성숙 종자율($R^2=0.418$, p<0.05)과 종자 효율($R^2=0.308$, non-significant)은 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아 특성에 있어서 발아율은 대체적으로 구과 생산량과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나, 평균 발아 일수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회귀분석결과에서도 발아율은 구과 생산량과 정(+)의 관계($R^2=0.576$, p<0.01)를 보인 반면, 평균 발아 일수는 부(-)의 관계($R^2=0.400$, p<0.05)를 보여 구과 생산량이 많은 시기에 이를 채취하여 사용할 때 발아율도 높고 발아에 소요되는 기간도 짧아져 즉, 발아 효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