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usability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1초

A Comparative Study by Age in Evaluating Web-based 3D Model House

  • Ha, Jimin;Park, Soobee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175-182
    • /
    • 2013
  • This study aims to explore age-related differences with the assessment tools in the web-based 3D virtual model house and to propose the 3D model house criteria which everyone can use easily. The participants came from three age groups, ranging from their 20s to their over 40. Presence, Usability and Space perception and cognition in the experiment for navigating and evaluating the web-based 3D model house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rough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 younger the participants were, the more positive they evaluated the experiment on Presence. However, 20s needed higher presence than other two groups. (2) 30s and over 40 groups evaluated that the 3D virtual model house was more efficient than an actual model house on Usability. When the participants were younger, the values of 'expressivity' factor were higher. (3) The younger the participants were, the more positive they perceived the virtual environment (VE) on Space perception and cognition sca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of dwelling size and the floor plan typ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ge and online gaming experience on Presence and Usability.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 tha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age groups and older groups have difficulty navigating and assessing in a VE. Although older groups take longer to adapt in the VE, they regard the 3D model house as an effective tool for purchase of house.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이용한 해부학 학습에 대한 기술 수용도와 영향요인: 기술수용모델에 기초한 사용성 조사 (Technology Acceptance and Influencing Factor of Anatomy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Usability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안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87-494
    • /
    • 2019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은 교육 분야에서 학습자가 직접 관찰하기 어렵거나 텍스트로 설명하기 어려운 학습의 내용을 교육 분야에 적용하기에 유용하다. 본 연구는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바탕으로 증강현실을 이용한 해부학 교육을 통하여 간호학생의 기술 수용도를 탐색하는 연구로 2019년 5월 K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 1, 2학년 학생들 중 편의표집한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에게 증강현실을 활용한 해부학 학습을 완료한 후 기술 수용도에 대한 설문을 작성하도록 하였고 증강현실을 활용한 학습방법의 사용성(usability)을 탐색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51.2%의 설명력으로 인지된 유용성이 높을수록 기술 수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학습방법을 적용할 때 기술의 유용성을 고려한 학습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사로의 기울기와 높이에 따른 휠체어 사용자의 사용성 및 생리적 특성 분석 (Effects of Ramp Slope and Height on Usability and Physiology during Wheelchair Driving)

  • 김충식;이동훈;이지혜;권성혁;정민근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81-686
    • /
    • 2010
  • Although the height of a ramp is an important design element, it has not been considered in prior studi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amp slope and height are consid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lope and height, five levels of slope (1:6, 1:8, 1:10, 1:12 and 1:14) and three levels of height (15cm, 30cm and 45cm) are considered. For the dependent variables, the total time, velocity and perceived discomfort were considered as usability measures, pulse rate changes and EMG signals of four related muscles (extensor carpi radialis, triceps brachii, anterior deltoid and posterior deltoid) were considered as physiology measures. As a result, differences among usability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for the five slopes increased as the height increased. Additionally, slope effects were minor when the height was low (15cm). Almost domestic/international regulations and guidelines related to ramp recommended 1:12 slope for the ramp desig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10 and 1:12 according to result of this study. In addition, slope effects were minor at a low height; thus, a slope of 1:8 can be recommended if the installation space for a gentler ramp is not sufficient.

심미성과 사용성 : 제품 선택에서의 문화차 (Aesthetics versus Usability : Cultural Difference in Product Choice)

  • 곽해리;김봄메;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14권3호
    • /
    • pp.361-37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구매 의사결정에서 소비자가 심미성과 사용성 중 어느 제품 속성에 우선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제품을 선택하는지 알아본다. 최근 독일에서 진행된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은 외관 디자인이 뛰어난 제품을 선호하지만 실제로 제품을 선택할 때는 심미성을 상대적으로 중시하지 않았다(Diefenbach & Hassenzahl, 2009). 개인적 가치를 중시하는 개인주의 문화(예, 독일)에 비하여 집단주의 문화(예, 한국)에서는 타인으로부터 인정받는 것을 매우 중시한다. 한국에서는 사람들이 인지하기 쉬운 제품 속성(심미성)이 그렇지 않은 제품 속성(사용성)보다 우선될 것이다. 독일에서 실시된 연구를 한국에서 동일한 절차로 재연한 결과, 예상한대로 참가자들은 심미성에 우선적인 가치를 두고 제품을 선택하였다. 참가자들은 심미성에 있어서는 가격이 비싸더라도 심미성이 높은 제품을 더 많이 선택한 반면, 사용성에 있어서는 사용성이 높지 않더라도 가격이 싼 제품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연구 1). 심미성과 사용성이 상충하는 경우에는 사용성이 낮더라도 심미성이 높은 제품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연구 2). 개인의 사회인정 욕구를 살펴본 결과, 심미성이 높은 제품을 선택한 참가자는 심미성이 낮은 제품을 선택한 참가자보다 사회인정 욕구가 높았으나 사용성에 있어서는 그러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모바일 기기의 사용편리성, 채널선호도, 인지된 가치가 모바일 뱅킹시스템 사용에 미치는 영향

  • 강현정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08년도 연합학회학술대회
    • /
    • pp.43-53
    • /
    • 2008
  • 모바일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는 가운데 모바일 뱅킹 서비스는 가장 잠재력인 비즈니스 모델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뱅킹과 다른 사용환경으로 인해 성장속도의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모바일 채널선호도, 사용편의성, 인지된 가치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고 향후연구의 방향에 대해 토의하였다.

  • PDF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시각적 조직자(Visual Organizer) 전략의 효과 (Effects of Visual Organizer for supporting Web-based Instruction)

  • 한안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81-292
    • /
    • 2008
  • 본 연구는 웹 기반 학습 상황에서 전자 텍스트 문서 공간에 대한 시각적 이해를 돕고 네비게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시각적 조직자(visual organizer)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선행 연구된 시각적 조직자의 설계원리에 따라 시각적 조직자를 개발하고 방향감 상실, 인터페이스 만족도,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 지속적 이용의도 측면에서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에 비해 모든 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통계처리용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품질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Comparison of Software Packages for Statistical Analyses)

  • 이상석;윤민석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95-210
    • /
    • 1999
  • The multiplicity of software packages brings about a choice problem to the end-user and a multi-fold intensity to the competing developer.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guidelines solving the problems for both the end-user and the developer of packages for automatic statistical analyses. For the purpose, we adopt an appropriate evaluation model in terms of user-perceived quality through the applicable criteria and an evaluation method. The result of empirical study is described, which shows that the weight of each criterion is dynamic along usage levels. Briefly, functionality, usability, and reliability are key factors to contribute to the perceived quality. The empirical study also illustrate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ominant products, SAS and SPSS, in Korea.

  • PDF

스마트 패드 활용수업 사례분석에 기반한 스마트 캠퍼스 구축 발전방향 (Suggestions for Building 'Smart Campus' Based on Case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s with Smart-Pads)

  • 박성열;임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3호
    • /
    • pp.1-12
    • /
    • 2012
  • 최근 스마트 기기 보급 등 유비쿼터스 환경의 등장에 따른 새로운 교육방법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 속에서 본 연구는 대학에서 스마트 패드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스마트 캠퍼스의 발전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S대학교에서 스마트 캠퍼스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스마트 시대와 교육' 시범수업이 연구의 주요 환경으로 선정되었다. 해당 수업은 2011년 여름학기에 12회차시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총 6명의 학습자가 참여하여 스마트 패드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교수학습을 경험하였다. 반구조화된 인터뷰 및 자극회상기법 등의 연구방법론을 바탕으로 학습효과, 만족도, 그리고 스마트 패드 사용성 결과 등이 제시되었다. 주요 결과로는 높은 수준의 인지된 학습효과 및 만족도가 나타났으며 유용한 사용성이 확인되었으나, 각 변수들에 대한 상반된 논의도 제기되었다. 이에 근거한 제언 및 발전방향으로는 하드웨어 측면, 소프트웨어 측면, 그리고 휴먼웨어 측면으로 구분된 세부적인 고려사항이 제시되었다.

챗봇의 오류 유형과 오류 메시지 구조화 여부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atbot's Error Types and Structures of Error Message on User Experience)

  • 이미진;한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9-34
    • /
    • 2021
  • 본 연구는 챗봇의 오류의 유형과 오류 메시지의 구조화 여부에 따른 태도, 행동의도, 사용성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챗봇의 오류 유형은 마음지각 이론을 기반으로 기대수준이 서로 다른 경험요소 오류와 기능요소 오류로 나누었으며 오류 메시지는 오류 사실만을 명시하는 비구조화 조건과 사과 표현, 오류의 원인, 개선의지를 포함한 구조화된 조건으로 나누었다. 오류 유형에 따라 사용성 점수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조화된 오류 메시지 조건에서 태도, 행동의도, 사용성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경험요소 기대격차는 세 종속 변인을 예측하지 못했으나, 기능요소 기대격차는 세 종속 변인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기능요소 기대격차에 대하여 오류 유형과 오류 메시지 구조화 여부의 상호작용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오류 메시지의 완충효과를 검증하였고 오류 유형에 따라 완충효과가 달라질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사용자 경험을 증진하는 오류대처전략설계에 적용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외식상품의 소셜네트워킹서비스 특성이 지각된 사용 용이성·유용성과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Service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 오왕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50-1057
    • /
    • 2016
  • SNS (Social network service) characteristics are perceived to simplify use. We carried out empirical studies on these parameters to observe the impact on the image of catering SNS online by word-of-mouth.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32.3% (392 persons) 19 years old, 67.7% (821 persons) over 19 years, 51.0% (619 persons) in their 20s, 22.1% (268 persons) in their 30s, 17.6% in their 50s, and 9.3% (112 persons) over 50 years. After verifying the hypothesis proposed that SNS characteristics perceived the ease of use, the significant factor identified in usability were connectivity Speed (${\beta}=0.213$), playfulness (${\beta}=0.246$), information (${\beta}=0.115$), and reciprocity (${\beta}=0.357$). Dual reciprocity had the most impact. It was observed that a longer impact of these significant factors improved the feel and fun of use. If SNS companies cater to, quick and easy, diverse, reliable and latest information, they can increase the ease of use, and availability, depending on the goals. Also, significant factors in the SNS features and online word of mouth was playfulness (${\beta}=0.312$), information (${\beta}=0.207$), reciprocity (${\beta}=0.066$) and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beta}=0.293$), double playfulness had the maximum impact. These features provided more fun, reliable information, and could quickly deliver the latest information. The more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higher was the online word-of-mouth effect. SNS usage characteristics of connectivity Speed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nline word-of-mouth. Thus, catering businesses need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ease of use, make the usefulness multifaceted, constantly checking the catering information on the SNS and ensuring to get the latest information is from diverse and reliable sources. This would increase the fun for the customer making the SNS to actively be utilized as a marketing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