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ptic ulcer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만삭아에서 발생한 상부위장관 출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Full-Term Infants)

  • 최현주;김재선;윤혜선;배선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164-171
    • /
    • 2005
  • 목 적: 건강한 만삭아로 출생한 신생아에서 상부위장관 출혈의 임상적 특징, 위내시경 소견, 연관된 위험요소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을지의과대학교 을지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토혈 혹은 혈변을 주소로 입원하여 위내시경상 출혈성 위염 또는 궤양으로 진단된 9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산전인자, 모체인자, 분만소견, 내시경 소견, 예후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1) 9명의 환아 중 원내 출생아는 5명(5명/3,734명)으로 발생률은 0.13%였고, 모두 적정체중 만삭아로 출생 시 가사소견은 없었다. 2) 산모들의 병력상 산전에 위염, 소화성 궤양, 제산제 복용 등의 기왕력, 위장관 질환의 가족력은 없었고, 분만과정 중 특이소견 없었다. 3) 토혈, 혈변, 반복되는 구토가 주증상이었으며, 출생 후 $4.4{\pm}3.8$일에 발생하였고, 입원 시 활력증후는 양호하였고, 혈액검사소견도 정상이었다. 내시경 검사상 출혈성 위염이 6예, 위궤양이 3예였다. 4) 모든 환아는 $H_2$ 수용체 차단제 치료와 보존적 치료을 실시하였고, 치료 시작 후 $0.9{\pm}0.3$일 이내에 임상증상은 호전되었다. $H_2$ 수용체 차단제는 $18.6{\pm}5.0$일 치료하였으며 추적관찰상 증상이 재발된 환아는 없어서 추적 내시경은 실시하지 않았다. 결 론: 만삭아에서 출혈을 동반한 상부위장관 점막질환은 대부분 예후가 양호하여 임상증상이 호전된 경우에는 추적 위내시경 검사는 불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erum 8 Hydroxydeoxyguanosine and Cytotoxin Associated Gene A as Markers for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 Yeniova, Abdullah Ozgur;Uzman, Metin;Kefeli, Ayse;Basyigit, Sebahat;Ata, Naim;Dal, Kursat;Guresci, Servet;Nazligul, Yas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3호
    • /
    • pp.5199-5203
    • /
    • 2015
  • Background: Helicobacter pylori (H.pylori) is associated with chronic gastritis, peptic ulcers, gastric adenocarcinomas and mucosa associated tissue lymphomas. Cytotoxin associated gene A (CagA) is one of the virulence factors of H.pylori. It is hypothesized tha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lay roles in H.pylori associated disease especially in development of gastric adenocarcinoma. Individuals infected with H.pylori bearing CagA produce more ROS than others. 8-hydroxydeoxyguanosine (8OHdG) is an in vitro marker of DNA damage and oxidative stres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8OHdG level, H.pylori infection and CagA and alterations of serum 8OHdG level after H.pylori eradication.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admitted with dyspeptic complaints and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were assessed. H.pylori was determined from histopathology of specimens. Serum 8OHdG levels of three groups (H.pylori negative, H. pylori positive CagA negative and H.pylori positive CagA positive) were compared. Patients with H.pylori infection received eradication therapy. Serum 8OHdG levels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were also compared. Results: In total, 129 patients (M/F, 57/72) were enrolled in the study. Serum 8OHdG level of H.pylori negative, H. pylori positive CagA negative and H.pylori positive CagA positiv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5.77{\pm}1.35ng/ml$, $5.43{\pm}1.14ng/ml$ and $7.57{\pm}1.25ng/ml$ respectively, p=0.05). Furthermore, eradication therapy reduced serum 8OHdG level ($6.10{\pm}1.54ng/ml$ vs $5.55{\pm}1.23ng/ml$, p=0.05). Conclusions: Individuals infected with H.pylori bearing CagA strains have the highest serum 8OHdG level and eradication therapy decreases the serum 8OHdG level.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evaluated the effect of CagA virulence factor on serum 8OHdG level and the effect of eradication therapy on serum 8OHdG levels together. Eradication of CagA bearing H.pylori may prevent gastric adenocarcinoma by decreasing ROS. 8OHdG level may thus be a good marker for prevention from gastric adenocarcinoma.

The Chronic and Acute Toxicity of Traditional Medicines Containing Terminalia chebula

  • ARONGQIQIGE ARONGQIQIGE;Gerelmaa Enebish;Wang Song;Wei Cheng Xi;Anuujin Gantumur;Oyunbaatar Altanbayar;Hirofumi Shimomura;Battogtokh Chimeddorj;Batnairamdal Chuluun;Avarzed Amgalanbaatar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26
    • /
    • 2023
  • Objectives: Terminalia chebula, the main ingredient of Altan Arur 5, has been used for many years in traditional medicine. This medicine is more effective than other drugs and is used to treat chronic gastritis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s such as peptic ulcers and esophageal reflux. Other ingredients of Altan Arur 5 are Punica granatum (pomegranate), tulip seeds, black balm, and excreta of Trogopterus xanthipes. The main ingredients of T. chebula are antibacterial and analgesic in traditional medicine. Despite having been used for many years and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beneficial effects of this medicine and its ingredients, the toxicity of Altan Arur 5 has not yet been elucidated. Therefore, we aimed to study the toxicity of Altan Arur 5 to ensure that it is safe to use. Methods: Acute and chronic toxicity of Altan Arur 5 were assessed in 10 Kunming mice and 8 Sprague-Dawley rats, respectively, in different doses. In the acute toxicity study, Altan Arur 5 was orally administered to Kunming mice in doses of 12 g/kg, 24 g/kg, and 48 g/kg for 14 days. In the chronic toxicity study, it was orally administered to Sprague-Dawley rats in doses of 1.25 g/kg, 2.5 g/kg, and 5 g/kg for 12 week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elative organ weights for mice treated with Altan Arur 5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no macro- or microstructural changes were noted in the organs of any group. Conclusion: Our toxicity testing revealed that the traditional medicine Altan Arur 5 has no toxic effects in vivo.

간외담관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성적 (Treatment Outcome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 최영민;조흥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27-34
    • /
    • 2003
  • 목적 : 간외담관암 환자들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성적을 조사하여, 방사선치료의 역할과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10월부터 2001년 7월까지 간외담관암으로 근치적 절제술 후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연령은 39$\~$75세(중앙값 61세)였고, 남여의 비는 16:5였다. 근위부 담관암이 14명이었고, 원위부 암이 7명이었다. 수술 후 조직 검사에서 미세 병변이 19명에서 남았고, 림프절 전이가 7명에서 관찰되었다. AJCC 병기는 I, II, III 기가 각각 10, 10, 1명이었다. 총방사선량은 4,500$\~$6,300 cGy의 범위(중앙값 5,040 cGy)였고, 추적 조사 기간은 20$\~$81개월(중앙값 57.5개월)이었다 결과 : 3년, 5년 생존율이 각각 41.0$\%$, 29.3$\%$였고, 3년,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41.6$\%$, 29.7$\%$였다.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연령, 성별, 종온기 위치, 분화도, 수술 후 미세 병변의 잔존 유무, 신경 침범, 7 병기, N 병기, 병기, 방사선량, 화학요법 유무 등을 조사하여서, 단변량 분석에서 T 병기와 병기가 유의하였지만(p<0.05), 대상 환자의 수가 적어서 의미를 주기에는 제한이 있었다 12명(57.1$\%$)에서 재발이 발생되었는데, 국소 부위가 5명, 원격 전이가 4명, 국소 및 원격 전이가 동반된 경우가 3명이었고, 원격 전이 부위로는 간이 6명, 뼈가 1명이었다. 급성 부작용으로 2, 3도 백혈구 감소증이 각각 1명에서 발생되었고, 만성 부작용으로 2도 소화성 궤양이 4명에서 발생되었으나, 모두 보조적 치료로 회복되었다 결론 : 간외담관암 환자들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의 방사선치료는 심각한 부작용의 발생 없이 적용 가능하며,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효과와 예후 인자의 분석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 소아에서 Helicobacter pylori 박멸 후 13C-요소 호기 검사와 내시경적 생검을 이용한 재감염률 연구 (Helicobacter pylori reinfection rate by a 13C-urea breath test and endoscopic biopsy tests in Korean children)

  • 심정옥;서정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3호
    • /
    • pp.268-272
    • /
    • 2006
  • 목 적 : Helicobacter pylori 재감염률은 내시경적 생검만이 가능했던 시대에는 $^{13}C$-요소 호기 검사의 출현 이후에 비해 높게 보고되었다. 소아는 일반적으로 침습적인 내시경적 생검을 시행하기 용이치 않다. 본 연구는 $^{13}C$-요소 호기 검사와 내시경적 생검에 의한 재감염률을 비교하고, 그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방 법 : H. pylori 감염으로 치료받고 박멸이 확인된 소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박멸 확인 후 18개월이 경과한 시점에 재감염을 확인하기 위하여 내시경적 생검(n=34명, 평균 연령 $11.5{\pm}3.7$세) 혹은 $^{13}C$-요소 호기 검사를(n=38명, 평균 연령 $10.0{\pm}3.6$세) 시행하였다. 첫 진단 시 내시경적 생검으로 위전정부 및 체부에서 세 절편을 채취하여 urease 검사, Giemsa 염색 및 Warthin-Starry 염색이 모두 양성으로 나오거나 생검 조직에서 H. pylori균이 배양된 경우 감염된 것으로 판정하였고, 박멸 치료 1-3개월 후 모든 검사상 음성인 경우 박멸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13}C$-요소 호기 검사는 최소 4시간 금식 후 75 mg의 $^{13}C$-요소를 주스에 섞어 마시도록 하는데, 복용 전 및 30분 후 Helikit(Isodiagnostika, Alberta, Canada)를 이용하여 숨을 불어넣도록 하고 delta $^{13}C$ per mil이 4.00 이상일 때를 양성으로 판독하였다. 결 과 : 내시경적 생검을 시행하였을 때 재감염률은 35.3%(12/34)였다. 내시경적 생검을 받은 모두가 당시 복부 증상이 있어 $^{13}C$-요소 호기 검사를 시행한 경우에 비해 복부 증상이 있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P=0.000). $^{13}C$-요소 호기 검사를 시행하였을 때 재감염률은 13.2%(5/38)였다. 추적 관찰 시 복부 증상이 있는 경우 재감염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8), 성별(P=0.694), 연령별(P=0.827). 궤양과 비궤양 간(P=0.730), 치료 방법 간에는(P=0.087) 재감염률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한국 소아에서 H. pylori 박멸 후 18개월이 경과하였을 때 비침습적인 $^{13}C$-요소 호기 검사를 이용한 재감염률은 13.2%이다. 내시경적 생검은 정확하나 침습적이어서 특히 무증상인 소아의 경우 이를 기피할 확률이 높아, 순응도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소아에서 재감염률 조사를 평가할 때에는 비침습적이면서 간편한 방법인가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