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psin-modific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Pepsin으로 수식된 정어리 myofibrillar protein의 특성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Pepsin-modified Myofibrillar protein from Sardine, Sardinops melanostica)

  • 김병묵;김병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0-116
    • /
    • 1994
  • 효소적수식에 따른 정어리 myofibrillar protein의 특성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1/100량의 pepsin으로 $37^{\circ}C$. pH 1.65에서 각각 1, 4, 8, 12, 24시간 부분가수분해시킨 후 단백질의 물리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정어리 myofibrillar protein은 pepsin에 의하여 가수분해 1시간까지는 직선적으로 가수분해율이 증가되어 약 30%의 가수분해율을 나타내었고 가수분해 4시간에는 약 40%의 가수분해율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에는 더 이상 가수분해되지 않아 가수분해 24시간에도 가수분해율은 크게 증가되지 않았다. 전기영동상은 분자량 40,000정도의 굵은 band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고 비교적 분자량이 큰 것으로 보이는 상층부의 몇몇 엷은 band와 분자량이 작은 하층부의 band가 가수분해가 진행되면서 소실되었다. 중간부위에 위치하는 몇몇 엷은 band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나면서 하나로 뭉쳐지는 듯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Gel여과 pattern은 두개의 큰 peak와 세개의 작은 peak를 나타내 주고 있는데 가수분해 1시간에 작은 peak는 모두 사라지고 앞쪽의 큰 peak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뒷쪽의 큰 peak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약간씩 뒤로 밀려가는 경항을 나타내었다. 유화활성과 유화용량은 pepsin 가수분해에 의하여 모두 감소되었으며 특히 유화용량은 가수분해 시간이 경과되면서 현저히 감소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약 59%로 저하되었다. 유화활성은 가수분해기간중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가수분해 24시간에도 약 94%의 유화활성이 유지되었다. 기포력은 크게 증가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대조구의 1.9배나 증가되었다. 거품안 정성은 반대로 감소되어 가수분해 8시간에는 약 0.6배로 감소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다시 증가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약 0.8배로 감소율이 둔화되었다. 열응고성은 pepsin수식에 의하여 0.55 내지 0.69배로 감소되었으며 점도는 가수분해시간이 길어지면서 점차 증대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약 1.36배 증대되었다. 흡수율은 현저히 떨어져 가수분해 1시간에 약 0.32배로 감소되었고 용해도는 현저히 커져 가수분해 1시간에 약 1.46배로 증대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흡수율이나 용해도 모두 더 이상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용해도의 pH의존성은, pH 5와 9부근에서 다소 낮은 용해도를 나타내었으며 pepsin수식에 의하여 이러한 경향은 가수분해 초기인 1시간에는 더욱 뚜렸이 나타났다가 가수분해 후기인 24시간에는 크게 둔화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단백분해효소에 의한 대두단백의 기능적 특성변화 (Modification of Functional Properties of Soy Protein Isolate by Proteolytic Enzymes)

  • 차명화;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9-45
    • /
    • 1993
  • 대두 단백분해효소(pepsin, actinidin)를 작용시켜 단백질 분자에 변형을 줌으로써 이에 따른 식품학적인 기능성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효소와의 반응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효소와의 반응시간에 따른 대두단백질의 가수분해도를 측정한 결과, pepsin은 초기부터 매우 급격히 대두단백을 가수분해 시켰으며 반면 actinidin에 의한 가수분해는 반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완만하게 진행되었다. PAGE에 의한 결과는 두 효소가 비슷한 경향을 보여 반응이 진행될수록 아랫쪽으로 점차 이동하는 하나의 넓은 band를 보였다. SDS-PAGE에 서는 native SPI가 약 9개의 뚜렷한 band를 보였으나 actinidin에 의한 경우 $3{\sim}4$개의 band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pepsin으로 5분 반응시킨 경우 MW $24,000{\sim}13,000$에 이르는 하나의 band를 나타내어 actinidin이 특정한 band를 선택적으로 가수분해하는 경향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대두 단백 가수분해물의 기능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pepsin으로 반응시킨 경우 용해도는 대조군이나 actinidin의 경우보다 뚜렷이 증가했고, 전 pH 범위에서 유화형성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모든 실험군의 기포형성력이 전 pH에서 증가했으며, 등전점 부근에서는 효소반응 시간이 경과할수록 기포안정성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actinidin 처리시 등전점 부근에서만 유화형성력이 향상되었고, 5분 반응시킨 실험군의 기포형성력이 가장 높았으며, alkaline 범위에서 기포안정성이 증가되었다. 이와 같이 각 가수분해물의 기능성의 차이는 단백분해효소마다 그 작용부위가 다르고 이에 따른 단백 가수분해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이 달라져, 그 결가 가수분해물의 기능적 특성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정어리 분말(粉末) 단백질(蛋白質)의 효소적(酵素的) 수식(修飾) (Enzymatic Modification of Sardine Protein Concentrate)

  • 김세권;이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3호
    • /
    • pp.234-241
    • /
    • 1987
  • 어육(魚肉) 단백질(蛋白質)의 기능성(機能性)을 개선(改善)하기 위해 정어리 분말단백질(粉末蛋白質)의 pepsin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을 이용(利用)하여 plastein을 합성(合成)하기 위한 반응조건(反應條件)을 검토(檢討)하였다. Plastein의 합성조건(合成條件)은 papain 및 pepsin의 경우 pH는 각각(各各) 6, 4, 기질농도(基質濃度)는 각각(各各) 50%, 40%, 반응시간(反應時間) 및 효소농도(酵素濃度)는 각각(各各) 2시간(時間), 1%였으며 반응온도(反應溫度)는 papain 및 pepsin 모두 $50^{\circ}C$였다. 기질(基質)의 가수분해도(加水分解度)가 60% 이상(以上)에서 plastein 합성반응(合成反應)이 이루어졌으며 가수분해도(加水分解度)가 77.2% 이상(以上)이었을 때 plastein 생성량(生成量)이 높았다.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은 50% ethanol 침전(沈澱) plastein이 90% 정도(程度)로 10% TCA 침전(沈澱) plastein의 74%에 비(比)해 높았으나 회분(灰分) 함량(含量)은 10% TCA 침전(沈澱) plastein이 14.4%로 50% ethanol 침전(沈澱) plastein의 1.2%보다 월등히 높았다. 수율(收率)은 papain의 경우 10% TCA 침전(沈澱) plastein 및 50% ethanol 침전(沈澱) plastein이 각각(各各) 49.5%, 43.6%로서 pepsin plastein의 45.3%, 41.0%보다 약간 높았다.

  • PDF

효소처리한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Silkworm Larvae Protein Concentrate After Enzyme Treatments)

  • 전정례;박정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06-711
    • /
    • 1992
  • Papain과 pepsin에 의한 부분 가수분해가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기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TCA 가용성 질소량을 측정하여 얻은 가수분해 정도는 papain으로 10분과 60분간 처리한 결과 각각 10.23%와 19.17% 였으며 pepsin으로 10분과 60분간 처리한 경우는 각각 15.41%와 21.41%로 나타났다. 효소처리한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질소 용해도는 실험한 pH 전범위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papain과 pepsin 모두 60분 처리한것이 10분간 처리한것 보다 높게 나타났다. 0.03M $CaCl_2$를 첨가한 결과 전반적으로 질소 용해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겉보기 밀도는 papain으로 처리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pepsin의 겨우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수분 흡수력의 경우 pepsin으로 10분간처리한것 이외에는 큰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지방흡수력은 papain과 pepsin으로 부분 가수분해한 결과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 PDF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참깨박 단백질의 기능성 변화 (Functional Properties of Proteolytic Enzyme-Modified Isolated Sesame Meal Protein)

  • 이선호;조영제;천성숙;김영활;최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08-715
    • /
    • 1995
  • Pepsin, papain 및 trypsin 처리 참깨박 단백질의 기능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용해도에 있어 pH 4에서 2%의 대조군에 비해 $53{\sim}94%$까지 뚜렷한 증가를 보였으며, trypsin에 의한 10%, 20% 가수분해도 처리군은 등전점에서 약 6배, papain에 의한 10% 가수분해도 처리군은 약 4.5배 가량의 유화능의 향상을 보였다. 기포 형성력은 각 효소 처리군의 30% 가수분해도 처리군의 알칼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전반적인 증가를 보였다. trypsin, papain 처리군의 겉보기 밀도와 수분 흡착력은 약 0.1 g/ml와 $0.3{\sim}0.7\;ml/g$ 정도 감소하였으나, 유지흡착력은 약 1 ml/g 정도의 증가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