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etration pattern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8초

타국영화산업에 대한 미국영화산업의 진입패턴 (The Pattern of Penetration of US Films into Foreign Film Markets)

  • 최영준;황윤섭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3호
    • /
    • pp.135-149
    • /
    • 2008
  • 본 논문은 미국 영화산업의 해외 수출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세계시장에서 미국영화의 경쟁력은 영화연구에 있어 중요한 주제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영화산업의 무역패턴에 결정을 주는 요인으로는 시장규모, 투자규모와 정치적 영향력 등이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다. 미국 영화산업의 무역패턴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도 주로 시장규모와 투자규모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영화와 같이 차별화된 상품의 무역패턴에 있어서 다양성은 무역의 패턴을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 영화의 수출패턴을 분석하고 영화의 무역패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세계 영화산업에서 중요한 선진 7개국에 대한 미국의 영화수출의 패턴을 분석하여 미국영화의 수출을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미국은 자국의 영화의 다양성이 작은 국가에 대한 수출이 크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미국 영화산업의 다양성은 미국영화의 국제경쟁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Factors affecting waterproof efficiency of grouting in single rock fracture

  • Lee, Hang Bok;Oh, Tae-Min;Park, Eui-Seob;Lee, Jong-Won;Kim, Hyung-Mok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2권5호
    • /
    • pp.771-783
    • /
    • 2017
  • Using a transparent fracture replica with aperture size and water-cement ratio (w/c), the factors affecting the penetration behavior of rock grouting were investigated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s. In addition, the waterproof efficiency was estimated by the reduction of water outflow through the fractures after the grout curing process. Penetration behavior shows that grout penetration patterns present similarly radial forms in all experimental cases; however, velocity of grout penetration showed clear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perture sizes and water-cement ratio. It can be seen that the waterproof efficiency increased as the aperture size and w/c decreased. During grout injection or curing processes, air bubbles formed and bleeding occurred, both of which affected the waterproof ability of the grouting. These two phenomena can significantly prevent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rock grouting in field-scale underground spaces, especially at deep depth conditions. Our research can provide a foundation for improving and optimizing the innovative techniques of rock grouting.

TIG 용접에서 열유속이 용융효율과 용입형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Flux on the Melting Efficiency and Penetration Shape in TIG Welding)

  • 오동수;조상명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27권2호
    • /
    • pp.44-50
    • /
    • 2009
  • The characteristics of arc pressure, current density and heat flux distribu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understanding physical arc phenomena, which will have a marked effect on the penetration, size and shape of a weld in TIG wel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heat flux on the melting efficiency and penetration shape in TIG welding us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investigators. The conclusions obtained permit to draw a proper method which derived the heat flux distributions by arc pressure distribution measurements, but previous researchers calculated heat flux and current distribution with the heat intensity measurements by the calorimetry. Heat flux of Ar gas arc was concentrated at the central part and distributed low from the arc axis to the radial direction, that of He mixing arc was lower than that of Ar gas, and it was wide distributed to radial direction. That showed a similar characteristic with the Nestor's by calorimetry calculated values. Throughout heat flux drawn in this study was discussed melting efficiency and penetration shape on Ar gas and He mixing gas arc.

EPG를 이용한 벼 재배품종별 벼멸구의 섭식행동특성 (Characteristics of Feeding Behavior of the Ric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Using Electrical Penetration Graph (EPG) Technique on Different Rice Varieties)

  • 김남성;서미자;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77-187
    • /
    • 2005
  • 충남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10개의 벼 품종을 대상으로 벼멸구(Nilaparvata lugens)의 섭식행동을 EPG 패턴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벼의 섭식시간과 감로분비량의 관계를 알아보고 측정한 EPG 패턴을 비교분석하였다. 벼멸구의 각 EPG type을 전기적인 특성에 따라 1-6까지의 6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중 Type 1은 구침을 꽂지 않고 쉬거나 돌아다닐 때 나타나는 패턴이고 Type 2는 체관을 흡즙할 때 나타나는 패턴이고 Type 3은 처음으로 구침을 꽂을 때, Type 4는 타액 분비시, Type 5는 물관의 흡즙시, Type 6은 구침의 세포내 이동시 나타난다. 벼멸구의 각 품종에 대한 섭식시간은 금남벼에서는 짧은 시간동안 이루어졌고 동전벼, 대안벼, 동안벼, 대산벼에서는 오랜 시간 흡즙을 하였다. 또한 금남벼에서는 장시간 구침을 삽입하지 않는 시간이 길었다. 감로의 분비량은 동진벼에서 가장 많았고 금남벼에서 가장 적은 감로를 분비했다. 이 감로의 분비량은 체관의 흡즙시간과 비례하여 나타났다. EPG type과 감로의 분비량을 분석한 결과 벼멸구가 선호하는 품종은 동진벼, 동안벼, 대산벼, 대안벼 등이었고 그렇지 않은 품종은 금남벼, 다산벼, 남천벼 등이었다.

반응 금속 침투법에 의한 $Al/Al_2O_3$복합체의 제조 및 기계적 특성 (Fabric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l/Al_2O_3$ composites by reactive metal penetration method)

  • 윤영훈;홍상우;최성철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239-245
    • /
    • 2001
  • 뮬라이트 preform과 비정질 실리카를 알루미늄 용융체에서 $1100^{\circ}C$, 5시간 동안 반응시켜 $Al/Al_2O_3$복합체가 제조되었다. 뮬라이트 preform과 알루미늄 용융체 간의 화학적 반응은 상호 연결된 미세구조를 형성하였다. $Al/Al_2O_3$복합체의 금속의 양은 뮬라이트 preform의 소결 온도($1600^{\circ}C$, $1625^{\circ}C$, $1650^{\circ}C$, $1700^{\circ}C$)에 따른 겉보기 기공율의 변수로서 조절되었으며,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들은 알루미늄 양에 따라 조사되었다. $16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소결된 뮬라이트 preform은 침투된 알루미늄 용융체와 화학반응을 이루었으나, $1600^{\circ}C$에서 소결된 뮬라이트 소결체는 알루미늄 용융체에 대해 젖음이 이루어지지 않아 화학반응이 진행되지 않았다. 알루미늄 용융체의 침투 방향에 따른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영향은 알루미늄 용융체의 수직, 평행한 침투 방향 패턴의 두 가지 다른 모델들에 의해 고려되었다. $Al/Al_2O_3$복합체에서 알루미늄의 양의 증가에 따라 파괴강도는 감소하였으며, 파괴인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Al/Al_2O_3$복합체의 미세구조는 금속의 침투 방향에 의해 결정되었지만, 복합체의 파괴강도와 파괴인성은 금속 침투 방향에 대한 의존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 PDF

인도네시아 전통직물 디자인의 패턴 분석 (Analysis of Pattern for Indonesian Traditional Textile Design)

  • 구희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83-94
    • /
    • 2005
  • This paper is to analyze patterns for Indonesian traditional textiles. Ikat is the resist-dyeing process in which designs are reserved in warp or weft yams by tying off small bundles of threads with fiber resists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dye. Batik is the technique applying a wax resist before dyeing to form a pattern in negative. Ikat and batik are the most renowned textile arts of Indonesia. Patterns are classified as geometric pattern, plant pattern, animal pattern. Also this paper discusses the origins of ikat and batik.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classification and feature extraction of ikat and batik patte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develop competitive pattern design for Indonesian textile market.

  • PDF

Simulate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Temperature on Irradiating of a Laser

  • Lee, Young-Wook;Yeon, Sa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5권2호
    • /
    • pp.16-19
    • /
    • 2009
  • In this paper, we concern about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temperature by the increment of time, diffusivity and heat flux on irradiating of a laser. The penetration depth corresponding to the induced constant heat flux or irradiated laser, is simulated by a computer algorithm. The distribution of temperature versus penetration depth for the variation of time and diffusivity is characterized at the constant heat flux and on irradiating of a laser. The temperature of constant heat flux at the fixed diffusivity or time, is decreased by the pattern of exponential function as the time t or diffusivity a is increased (a=10, 100, 1000). The temperature of constant heat flux is not changed but exponentially fixed with the increasing diffusivity and the fixed time. 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of laser at the fixed diffusivity or time is decreased linearly. Our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mulated surface temperature in a semi-infinite solid are similar to the graphs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그라비어에서 잉크 침투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The Computer Simulation of Ink Penetration in the Gravure)

  • 윤종태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5-56
    • /
    • 2010
  • The computer simulation is presented of gravure ink transferring behavior and penetration to the paper when an gravure roller is used to transfer a printing ink onto a substrate. The three dimensional unsteady ink motion is simulated by Polyflow package software and experimented by IGT gravure printing test machine. The simulation is performed where the flow domain is bounded above by a stress free surface and bounded below by a moving substrate. Specific predictions are made for particular pattern of cells and substrates. Cell size and ink rheological properties are found to be the principal determination of transferring behavior. Simulation is currently restricted to the flow domain beneath the receding meniscus. Both Newtonian and shear thinning inks are considered.

FDTD 방법을 이용한 복잡한 구조물에서의 전자파 침투 특성 해석 (Analysis of EM Penetration Problems in Complex Structures Using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

  • 김병남;채찬병;박성욱;이형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68-7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PML 흡수 경계 조건을 만족하는 FDTD법을 이용하여 안테나의 방사 특성 및 EM penet tration 문제를 해석하였다 설린더 위에 탑재된 짧은 모노폴 안테나의 경우 far-field에서의 주 방사 성분인 $E_0(\varphi=90^\circ)$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된 FDTD 해석 결과와 Carter에 의한 정확한 해석적 방법과 서로 비교 해 보았으며 그 결파 두 해석 방법에 의한 결과 값이 서로 매우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렇게 검증된 본 FDTD법을 이용하여 헬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물에서의 EM penetration 문제를 해석 하였다. 헬기의 외부에서 평면파가 입사함에 따라 헬기 내부로 침투되는 전자파 특성을 고찰하였다. 해석 결과, 헬기의 창문 및 측면 출입구를 통하여 입사 전자파의 대부분이 침투되는 특성을 확인하였다.

  • PDF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GTA 용접부 특성에 미치는 보호가스 중 산소의 영향 (Effects of Oxygen Contents in Shielding Gas on the Properties of Ferritic Stainless Steel GTA Weld)

  • 이원배;엄상호;우인수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28권5호
    • /
    • pp.93-98
    • /
    • 2010
  • The properties of GTA weld for ferritic stainless steel have been studied with different $O_2$ contents in Ar shielding gas at the constant welding speed. A small amount of $O_2$ (0.01~1.0%) was mixed in Ar shielding gas in order to improve the weld penetration. The fully penetrated GTA weld was acquired at 160A weld current shielded by pure Ar gas. Addition of oxygen larger than 0.1% made a full penetration at lower weld current than 160A. The small addition of $O_2$ in Ar shielding gas improved the penetration properties of GTA weld because the $O_2$ in the molten pool accelerated the flow of molten pool and changed the flow pattern from outward to inward direction. The impact energy and DBTT (Ductile- Brittle- Transition-Temperature) of the GTA weld shielded by Ar+$O_2$ (less 0.3%) was similar and the corrosion properties of GTA weld was slightly inferior to those of GTA weld shielded by pure Ar g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