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largonidin 3-glucosid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ish Purple Rice

  • Ryu Su-Noh;Han Sang-Jun;Park Sun-Zik;Kim Hong-Reo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73-178
    • /
    • 2006
  • Anthocyanin in blackish purple rice is composed of cyanidin, peonidin, malvidin, pelargonidin and delphinidin flavylium ion and their glucosides, which shows antioxidant activity similar to a-tocoperol.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cyanidin-3-glucoside(C3G) of anthocyanin has a high-potency antioxidant activity, and is a prominent in anticancer and antithrombotic activity. In analysis of content of anthocyanin from the genetic source of blackish purple rice, the level of C3G was approximately 80% of total contents of anthocyanins, and showed the highest content in Heugjinjubyeo, of which contains an amount of 500 mg by weight of 100g brown rice in comparison that most of varieties has less than 50mg by weight of 100g brown rice. We found that C3G pigment in blackish purple rice was considerably affected by cultural season, cultivation area, ripening temperature, and weather condition, etc. as well as genetic properties. In cross combination between Heugjinjubyeo and Suwon425, intermediate parent $F_9$ generation which was three times higher or more in C3G content than that of Heugjinjubyeo was bred, of which it contained an amount of 1678 mg by weight of 100g brown rice, and we called it 'C3GHi' Rice. And, we found that the C3GHi rice was more excellent than that of the existing Heugjinjubyeo in anticancer and antithrombotic activity. Methanol extract from Heugjinjubyeo was fractionated by organic solvents in order of n-hexane, $CH_{2}Cl_2$ and n-BuOH, and then oryzafuran, quercetin, vanillic acid and protocatechuic acid and their structures from the n-BuOH fraction were ascertained. Oryzafuran of these compounds was a natural compound found firstly in nature. Quercetin and protocatechuic acid besides new compound oryzafuran showed excellent antioxidant ability to vitamin C. These results suggest that blackish purple rice has very high value as a source of various functional food as well as staple food.

파종시기에 따른 유색찰옥수수 품종의 등숙 중 이삭 및 종실 특성 변화 (Changes in Ear and Kernel Characteristics of Colored Waxy Corn Hybrids During Ripening with Different Sowing Dates)

  • 김미정;이재은;김정태;정건호;이진석;김선림;윤경진;김욱한;정일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08-31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간식용 풋옥수수로 이용되는 유색찰옥수수 주요 품종인 흑진주찰과 얼룩찰1호를 이용하여 품질 좋은 유색찰옥수수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삭과 종실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출사일수는 7월 20일에 파종하였을 때 4월 20일 파종보다 약 20일 정도 빨라졌고, 출사에서 수확적기까지는 약 10일 정도 느려졌다. 파종에서 출사까지의 적산온도는 7월 20일 파종이 4월 20일 파종보다 낮았으며 약 $1,380{\sim}1400^{\circ}C$ 범위였다. 반면 출사 후부터 수확 적기까지의 적산온도는 7월 20일 파종이 4월 20일 파종보다 높았으며 약 $600{\sim}610^{\circ}C$ 범위였다. 이삭무게와 이삭 직경은 출사 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확 적기의 이삭무게는 파종시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얼룩찰1호는 파종시기에 따른 이삭길이의 차이가 없었지만 흑진주찰은 4월 20일 파종시 이삭길이가 더 길었다. 착립률은 흑진주찰과 얼룩찰1호 모두 파종시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이삭길이와 착립길이(r=0.98***), 이삭길이와 줄당 립수(r=0.85***), 그리고 착립길이와 줄당 립수(r=0.66***)는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등숙 중 백립중과 전분함량은 출사 후 일수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또한 종실의 경도도 출사 후 일수가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백립중은 전분 함량과 고도의 정의상관을 보였으며 (r=0.74***), 종실의 경도는 백립중(r=0.37*)과 전분 함량(r=0.42*)에 정의상관을 나타내었다. 유색찰옥수수의 전분립은 과피와 가까운 배유의 상단부터 집적되기 시작하여 출사 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배유 내부까지 집적되었으며, 7월 20일에 파종한 유색찰옥수수는 4월 20일 파종에 비해 전분립 축적속도가 느리고 조밀하지 않은 것이 관찰되었다. 등숙 중 안토시아닌 색소 성분 분석 결과 총 안토시아닌 함량, cyanidin-3-glucoside와 pelargonidin-3-glucoside 함량은 출사 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7월 20일 파종이 4월 20일 파종보다 색소의 발현이 느렸다.

옥수수 색소 2호 품종의 일반성분, 유리당, 지방산 및 안토시아닌 색소의 함량 (Proximate, Free Sugar, Fatty acids Composition and Anthocyanins of Saekso 2 Corn Kernels)

  • 이기연;김태희;임상현;박종열;김경희;안문섭;김희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35-341
    • /
    • 2016
  • 본 연구는 흑자색 알곡 품종으로 등록된 색소 2호 옥수수 알곡의 일반성분 및 색소 함량을 분석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색소 2호 알곡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은 각각 8.84%, 1.44%, 5.46%, 10.31%이었다. 색소 2호 알곡의 유리당 성분으로 fructose, glucose, maltose 및 sucrose가 검출되었으며, 함량은 sucrose (1.00%) > glucose (0.63%) > maltose (0.52%) > fructose (0.44%) 순이었다. 색소 2호 알곡의 지방산 분석결과 총 11종의 지방산이 검출되었으며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은 16.09 : 83.91로 linoleic acid가 50.8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소 2호 알곡 추출물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0.24%였고, 알곡 추출물을 HPLC-MS/MS로 분석한 결과 색소 2호 알곡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색소는 C-3-G, Pg-3-G, Pn-3-G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from The Extract of Soybean Seedcoat

  • Park, Sun-Mi;Kim, Ji-Na;Dung, Tran-Huu;Do, Le Thanh;Thu, Do Thi Anh;Sung, Mi-Kyung;Kim, Jong-Sang;Yoo, 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6권2호
    • /
    • pp.59-64
    • /
    • 2011
  • Anthocyanins are naturally occuring phytochemicals and the main components of the coloring of plants, flowers and fruits. They are known to elicit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cancer preventive activ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hocyanins in black / yellow soybean seedcoats using different methods of detection -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capillary zone electrophoresis (CZE) and HPLC analysis. The anthocyanins in soybean seedcoats were extracted by five independent methods of extraction and the aglycons (anthocyanidins) of the corresponding anthocyanins were prepared by acid mediated hydrolysis. The anthocyanin / anthocyanidin in black soybean seedcoat showed characteristic TLC mobility, CZE electrophoretic retention and HPLC migration time while little of anthocyanins were detected from yellow soybean seedcoat. The extracted anthocyanins showed pH dependent retention time in CZE and spectral change in UV-Vis spectrum. HPLC analysis of the hydrolyzed extract of black soybean seedcoat identified the presence of four anthocyanidins. The major anthocyanin in black soybean seedcoat was cyanin (cyanidin-3-O-glucoside), with the relative order of anthocyanidin in cyanidin > delphinidin > petunidin > pelargoni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