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gmatit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4초

미얀마 모곡변성대 함보석 페그마타이트의 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특징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Gemstone-bearing Pegmatite of Mogok Metamorphic Belt, Myanmar)

  • 허철호;오일환;조성준
    • 광물과 암석
    • /
    • 제33권2호
    • /
    • pp.129-141
    • /
    • 2020
  • 모곡변성대는 과거 루비 광산들이 분포하던 지역으로, 주로 시생대 결정질암으로 구성된 고원지대이며, 보석류가 충적층에서 확인되어 표사광상을 이루고 있다고 미얀마지질조사광물탐사국의 미발간보고서에 수록되어있다. 루비와 함께 확인되는 광물로는 첨정석, 석류석, 홍전기석 등이 있다. 보석이 발견되는 충적층을 이루는 자갈류는 주로 편마암 및 페그마타이트 쇄설물로 구성되어있다. 특히 신구, 모곡, 모메익 지역에는 보석을 함유하는 다수의 페그마타이트가 모곡변성암류, 섬록암 및 화강암 등을 관입하여 분포한다. 신구 페그마타이트에서는 보석으로서 홍전기석, 고세나이트, 청인회석 및 자주 인회색이 산출된다. 모메익 페그마타이트에서는 보석으로서 버섯형 홍전기석, 페타라이트, 햄버어자이트, 폴류사이트 및 아쿠아마린이 산출된다. 모곡 페그마타이트에서는 보석으로서 황옥, 아쿠아마린, 고세나이트 및 허더라이트가 산출된다.

신보광산 주변지역의 지질구조와 우라늄 지화학 이상대 (Geological Structures and Geochemical Uranium Anormal Zone Around the Shinbo Mine, Korea)

  • 강지훈;이덕선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1호
    • /
    • pp.31-40
    • /
    • 2012
  • 본 논문은 전라북도 진안군 신보광산의 동부지역에서 고품위 우라늄 지화학 이상대와 지질구조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지하수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암상구분에 의한 상세한 지질도를 작성하고 이들 구성암류에 발달하는 연성 및 취성 구조요소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이 지역은 주로 동북동-서남서 방향으로 대상 분포를 보이는 선캠브리아기 규암, 변성이질암, 변성사질암과 이를 관입하는 시대미상의 페그마타이트와 백악기 반암류 등으로 구분되고, 추정과 달리 이들 암상을 부정합으로 피복하는 백악기 진안층군은 관찰되지 않았다. 선캠브리아기 변성퇴적암류의 주요 연성 변형구조는 적어도 세 번의 변형단계 [동북동 방향성의 광역엽리 (D1) -> 동북동 내지 동서 방향성의 파랑엽리 (D2) -> 서북서 내지 동서 방향성의 개방, 밀착, 킹크 습곡 (D3)]를 걸쳐 형성되었고, S1 광역엽리의 방향성은 선캠브리아기 변성퇴적암류의 대상 분포 방향과 유사한 동북동 주향에 남쪽으로 경사하는 것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지하수의 유동과 밀접한 관련성 있는 취성 고각 단열 (경사각${\geq}45^{\circ}$)의 방향성[동북동 (출현빈도: 24.3%), 남북 (23.9%), (북)북서 (18.8%), 서북서 (16.9%), 북동 (16.1%) 단열조 순]은 변성퇴적암류의 대상 분포 방향성 및 S1 광역엽리의 우세 방향성과 일치하는 동북동 주향에 남쪽으로 경사하는 것이 가장 우세하게 나타나고 남북 주향에 동서 방향으로 경사하는 것이 다음으로 우세하게 나타난다. 상기된 선캠브리아 변성퇴적암류의 대상 분포 방향성과 S1 광역엽리 및 고각 단열의 우세 방향성 등으로부터 신보광산과 그 동부지역의 우라늄 지화학 이상대의 형성요인을 고찰해 볼 때 이들 지역에서 기대되는 우라늄의 초생적인 근원암은 기존연구 결과와 같이 페그마타이트이며 광산지역의 우라늄 지화학 이상대는 이를 대수층으로 하는 지하수가 광산지역으로 통과하면서 이차적으로 부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Fluid Inclusions of Granitoids and their Bearing on Mineralization in South Korea

  • Tetsuya, Shoji;Than, Zaw
    • 자원환경지질
    • /
    • 제23권2호
    • /
    • pp.127-133
    • /
    • 1990
  • Relation between fluid inclusions and mineralization has been studied for 30 granitoid specimens from 19 localities in South Korea. Polyphase inclusions are found in granitoid specimens of 9 localities. In the vicinities of 6 localities among them occurs any of W, Cu or Fe deposits of the vein-, stockwork-, skarn-or pegmatite-type. On the contrary, no ore deposit is reported near the granitoids characterized by no polyphase inclusion except only one locality. This fact implies that the occurrence of polyphase inclusions is a good indicator for such kinds of mineralization. Ores and country rocks of some of the deposits contain polyphase inclusions in their quartz crystals. The fact that many polyphase inclusions occur in granitoids and ore constituents suggests that highly saline hydrothermal solu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formation of such kinds of deposits. On the contrary, the granite and the ore of the Mugug gold deposit have many fluid inclusions, but are free from the polyphase type.

  • PDF

한반도중부지역(韓半島中部地域)의 광상생성기(鑛床生成期)와 생성구(生成區) -경기육괴내(京畿陸塊內)의 광상생성연령(鑛床生成年齡)- (K - Ar Ages of Mineral Deposits in the Gyeonggi Massif)

  • 박희인;장호완;진명식
    • 자원환경지질
    • /
    • 제21권4호
    • /
    • pp.349-358
    • /
    • 1988
  • K-Ar ages were determined on gangue and wall rock alteration minerals from twenty metallic mineral deposits in the Gyeonggi Massif. Beryl deposits give the age of 185 Ma, whereas tungsten - molybdenum deposits reveal two different age groups such as 172~156 Ma and 91~86Ma. Lead - zinc deposits and gold - silver deposits yield the ages of 160 Ma and 71~197 Ma, respectively. Mineralization ages for each genetic type of deposits in the Gyeonggi Massif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egmatite deposits, 185 Ma; skarn deposits, 156~160 Ma; hydrothermal deposits, 71~197 Ma. Present results together with data previously reported reveal that rare earths, tungsten-molybdenum, base and precious metal deposits in the Gyeonggi Massif were formed in Jurassic and Cretaceous time with a genetic relationship to the Daebo and Bulguksa felsic igneous activity.

  • PDF

매월장석광산(梅月長石鑛山)의 페그마타이트내(內) 유체포유물(流體包有物)과 그 성인(成因)에 관한 모델 연구 (Study on Fluid Inclusion and Genetic Modelling of Pegmatites at the Maewol Feldspar Mine)

  • 문건주
    • 자원환경지질
    • /
    • 제21권4호
    • /
    • pp.381-387
    • /
    • 1988
  • Maewol Feldspar Mine produces feldspar ore from pegmatites. K-Rb Age of muscovite is 137.7Ma. Fluid inclusions in quartz crystal of the pegmatite show bimodal distribution of homogenization temperatures. The high homogenization temperatures range from 290 to $302^{\circ}C$ while low homogenization temperatures range from 157 to $195^{\circ}C$. Three phases liquid $CO_2$ bearing inclusions indicate $CO_2$ gases were abundantly mixed with granitic melt until the pegmatic magma melt cooled to $290^{\circ}C$. Low density of the magmatic melt relative to the same volume of granitic magma is due to mixture of volatiles(mainly $CO_2$ gases) with the melt and larger space and slow cooling allowed to grow crystals of the pegmatic magma.

  • PDF

옥방중석광상(玉房重石鑛床)의 성인(成因)에 관(關)하여 (On the Genesis of Ogbang Scheelite Deposit)

  • 김옥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2권2호
    • /
    • pp.73-75
    • /
    • 1969
  • Ogbang scheelite deposit imbedded in amphibolite of unknown age was believed, by the previous workers, to be of pegmatite vein. The vein material is composed mainly of plagioclase (albite and oligoclase) and minor amount (less than 5 to 10% each) of hornblende, biotite and quartz. Orthoclose and tourmaline are accompanied in few places and scheelite and minor amount of fluorite, are the ore minerals. On the basis of mineralogical constituents of the vein, vein structures, mode of occurrence of the vein and gradational contact between veins and amphibolite, the present writer conclude that the deposit was formed by segregation from the parent basic igneous rock of amphibolite. The main portions of the deposit were formed by intrusion of ore solution into already solidified amphibolite after being segregated in deeper horizone, whereas the minor portion by segregation of ore solution in situ.

  • PDF

상동지역 페그마타이트 및 관계 화성암의 전기적 분화 특징 (The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Tourmalines from Pegmatites and Its Associated Rocks, Sangdong Area)

  • 김수영;문희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27권5호
    • /
    • pp.441-449
    • /
    • 1994
  • The tourmalines distributed in the Sangdong area belong to the dravite-schorl series in terms of the cell dimension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s.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urmalines indicate that Naedeogni granite and pegmatite appear to be derived from Li-poor and Fe-riched aplite rocks, but Nonggeori granite is derived from Ca-poor or Si-riched pelitic rocks. The Mg+Fe contents of tourmaline in Naedeogni granitoids are decreased from the granites to the pegmatites with the Fe contents increased while Mg contents decreased. It indicates the differentiation during the crystallization of tourmalines. These phenomena are coincided with the chemical variations from cores toward rims of the zonal tourmalines. Such a compositional variations in Nonggeori granite can not be observed.

  • PDF

에티오피아 북동부 하라르 일대의 지질과 지질구조 (Ge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 around Harar, NE Ethiopia)

  • 류충렬;허철호;양석준;타데스 알레무
    • 암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5-75
    • /
    • 2015
  • 에티오피아 북동부 하라르 일대에는 선캠브리아기 기반암인 화강편마암을 반려암이 관입하고 있으며, 이들 내에 홍색의 알칼리 화강암과 다수의 페그마타이트가 발달하고 있다. 이들 모두 구조적으로 연성과 취성의 변형을 보이고 있다. 이들 내에 발달하는 습곡과 전단구조, 그리고 드러스트와 단층 등 지질구조를 논의한다.

순경(順鏡) 페그마타이트에서 산출(産出)되는 석석(錫石), 콜럼바이트, 탄탈라이트 및 수반광물(隨伴鑛物)에 대한 광물화학(鑛物化學) (Mineral Chemistry of Cassiterite, Columbite, Tantalite and Associated Minerals from Soonkyoung Tin-bearing Pegmatite)

  • 김수영;문희수;박노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22권4호
    • /
    • pp.327-339
    • /
    • 1989
  • 상동지역(上東地域), 순경(順鏡) 함광석(含鑛石) 페그마타이트에서는 석석(錫石)을 비롯하여 탄탈라이트-콜롬바이트, 그리고 함(含)Ta-금홍석(金紅石) 등(等)이 산출(産出)된다. 석석(錫石)은 산포상(散布狀)의 미정질(微晶質)에서부터 거정질(巨晶質)에 이르기까지 다양(多樣)하며, 일반적(一般的)으로 탄탈라이트-콜롬바이트, 함(含)Ta-금홍석(金紅石)과 공존(共存)하고 있다. 탄탈라이트-콜롬바이트는 미세맥(微細脈) 혹은 용리상능(溶離狀能)로서 석석결정(錫石結晶)에 배태(胚胎)되며 간혹 독립광물(獨立鑛物)로서 석영(石英)에 수반(隨伴)되는 경우가 있다. 함(含)Ta-금홍석(金紅石)은 상기(上記)한 광물(鑛物) 중 최후기상(最後期相)으로서 석영(石英)을 수반(隨伴)하는 세맥상(細脈狀)으로 산출(産出)된다. 석석(錫石)에서 ${\Sigma}Ta^{+5}$, $Nb^{+4}$, $Ti^{+4}$ 및 Fe*은 $Sn^{+4}$과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로 치환(置換)에 전적(全的)으로 관계(關係)하고 있으며, 0.01-0.15mol.% 까지 치환(置換)하고 있다. $Ta^{+5}$$Nb^{+5}$는 Fe* 쌍치환관계(雙置換關係)이며 $Ta^{+5}$$Ti^{+4}$와 화학적(化學的) 친화관계(親化關係)로서 밀접(密接)히 수반(隨伴)된다. 이상구조(異常構造)가 발달(發達)된 석석(錫石)은 결정(結晶)의 내핵(內核)에서부터, 외각(外殼)으로 갈수록 Ta/Nb 비(比)가 증가(增加)하며, 이는 온도(溫度)의 하강(下降)에 따른 Ta의 참여효과(參與效果) 가 높아지는데 기인(起因)된다. 함(含)Ta-금홍석(金紅石)은 $TiO_2$:57.41-86.00wt.%, $Ta_2O_5$:5.08-21.51 wt.%, $Nb_2O_5$:1.60-6.81 wt.%, FeO*:2.06-5.85 wt.% 그리고 $SnO_2$:1.74-10.35 wt.%의 화학조성(化學造成)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본 광물(鑛物)은 탄탈라이트-콜롬바이트에 비(比)하여 Ta/Ta+Nb의 비(比)가 높다. 탄탈라이트-콜롬바이트의 화학조성(化學造成)에 의하면, Ta/Ta+Nb가 증가(增加)하고, Mn/Mn+Fe*는 감소(減少)하는 분결경향(分結傾向)을 보여 주고 있다. 이것은 분결작용(分結作用)이 진행(進行)되는 동안 Ta의 활동도(活動度)가 증가(增加)되는 것으로 Li과 F가 고갈(枯渴)되고, Be과 P가 풍부(豊富)한 환경(環境)을 지시(指示)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환경(環境)은 순경(順鏡) 페그마타이트에 Li과 F 운모(雲母)의 부재(否在)와 탄탈라이트와 녹주석(綠柱石)이 석석(錫石) 광화작용(鑛化作用)과 밀접(密接)히 수반(隨伴)되는 것과 일치(一致)하는 것이다. 본 페그마타이트는 Ta-Be 복합형(複合型)의 페그마타이트로서 석석(錫石)은 탄탈라이트-콜룸바이트, 녹주석(綠柱石) 등(等)의 분결작용(分結作用)을 수반(隨伴)하며 형성(形成)되었다.

  • PDF

기질내에서의 확산작용에 관한 자연유사연구의 한계 (Limitation of Natural Analogue Studies on Rock Matrix Diffusion)

  • Kim, Chang-Lak;Chang, Ho-Wan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0-104
    • /
    • 1994
  • 기질내에서의 원소의 확산현상은 흡착 및 비흡착성 방사성핵종의 지하매질내 이동을 지연시키는 특성때문에 처분장의 안전성평가에서 매우 중요한 현상으로 간주된다. 이 현상을 실제 안전성평가에 적용하기 위하여 확산현상이 인지되는 자연현상 중에서 자연방사성원소의 농도변화 및 붕괴사슬을 이용한 자연유사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고 그 현상이 준정량적으로 확인된다. 기질내 원소의 확산현상은 액체상의 흐름에 수반되어 일어나거나 열적 영향에 의해 국부적으로 일어나기도 하는데 후자의 경우는 고준위 방사성페기물 처분과 관련된 안정성평가에 그 중요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내덕리 화강암이 후기에 관입한 페그마타이트와 접촉하는 곳에서는 페그마타이트의 열적 영향에 의해 K, Rb, Sr 및 Ba과 같은 알카리 또는 알카리토 원소들과 Li, V및 Nb원소들이 접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약 9 cm 정도의 거리에 이르기까지 부화 또는 결핍된 이동현상이 관찰된다. 그러나 운반모델 설정을 위한 화산시간의 규모, 기질내 흡착된 핵종과 확산된핵종의 구분 등에 관한 연구는 필요한 시료의 취득치 불가능하여 이를 수행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국내 처분장의 안전성 평가시에는 처분매질에 대하여 기질내 확산현상을 어느 정도 고려할 수 있는지를 자연유사 연구를 통해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