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el angl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2초

Thiol-ene 반응을 이용한 UV경화형 SIS/SBS계 점착제의 점착물성 (Pressure Sensitive Adhesion Performances of SIS/SBS based UV-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ing Thiol-ene Reaction)

  • 임동혁;도현성;김현중;윤관희;방정석
    • 접착 및 계면
    • /
    • 제6권3호
    • /
    • pp.19-25
    • /
    • 2005
  • 합성 고무계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SIS나 SBS 블록 공중합체와 점착부여수지, 가소제, 기타 첨가제를 함유한다. SIS/SBS 계 점착제는 우수한 접착력에도 불구하고 내용제성이나 내열성이 낮아서 그 사용에 한계가 있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SIS/SBS 점착제에 가교제, 광개시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제조된 점착제는 thiol-ene 광중합 반응에 의해 가교하였으며 점착제의 프로브 택(probe tack), 박리강도(peel strength) 전단접착파괴온도(shear adhsion failure temperature, SAFT)를 측정하여 UV 경화형 점착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UV 경화형 점착제의 택 성질을 프로브 택을 이용하여 프로브 재료별, 점착제의 두께별의 영향을 살펴보았고 접촉각 측정을 통해 점착제 표면 변화를 살펴보았다.

  • PDF

Polyetherimide 접착제의 표면 처리에 따른 MCM-D 계면 접착력 및 고온고습 신뢰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olyetherimide Surface Treatment on the Adhesion and High Temperature/High Humidity Reliability of MCM-D Interface)

  • 윤현국;고형수;백경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12호
    • /
    • pp.1176-1180
    • /
    • 1999
  • Polyetherimide와 실리콘 사이의 RIE 처리 및 알루미늄 킬레이트 계열의 adhesion promoter 처리에 따른 접착력과 고온고습환경에서의 신뢰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180$^{\circ}$ 필 테스트 및 <85$^{\circ}C$ 85%> 테스트, SEM, AFM, 증류수 접촉각 실험이 수행되었다. $^O_2$ RIE 실험 결과 초기 접착력은 RIE 처리시간에 따라 약간의 변화를 가져왔으나 고온고습 환경에서의 저항성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고 이것은 표면 거칠기의 영향이 아닌 표면의 친수성 정도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Al-chelate adhesion promoter의 경우 초기 접착력에는 변화가 없으나 고온 고습환경에서의 저항성이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표면이 소수성으로 변한 데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폴리우레탄 수지의 물성 및 접착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Adhesion Characteristics of Polyurethane Resin)

  • 김영준;장기영;김구니;전용철;유종선;박상욱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1권2호
    • /
    • pp.104-110
    • /
    • 1996
  • The polyurethane was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polycaprolactone diol(Mw 2000),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1,4-butanediol as the chain extender. Also, the modified polyurethane polymers based on liquid polybutadiene as a part of soft segment and dimethylolpropionic acid as a chain extender, giving polyurethane with various polarity, were synthesized. The thermal, mechanical, adhesion properties and water contact angles of the polyurethanes were examined. From the result of the water contact angle, the polarity of the acid modified PU containing 6% acid content was unchanged but mechanical and adhesion properties were improved. The water contact angles on polybutadiene modified PU film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polybutadiene conten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lybutadiene modified PU were higher than that of acid modified PU. However,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reduced as polybutadiene content increased. The result is presumably due to phase separation between hard segment and soft segment. The peel strength of the polyurethane introduced with 5wt% polybutadiene was improved about 150% than that of unmodified PU. The same as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more polybutadiene was introduced, the lower peel strength was obtained.

  • PDF

PEO를 이용한 Alg-Na 바인더의 물성향상 (Improvement of Binding Property of the Alg-Na/PEO Blends)

  • 박용완;김의화;조호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2-38
    • /
    • 2014
  • There has been increasing demand to the eco-friendly materials such as phytoncide which is extracted to plants in the textile industry, recently. It is interesting that alginic acid sodium salt(Alg-Na) is used to eco-friendly binder for the functional capsule finishing. In this study, we made PEO/Alg-Na blend solutions of various ratio and observed the changing binding property of the blend solutions according to PEO contents through FT-IR, DSC, contact angle, peel strength, etc. The viscosity of Alg-Na/PEO blend solutions increased with increase of contents and the viscosity quickly increased with increase of PEO content in Alg-Na 5% content, specially. It is shown that the hydrogen bond peak by blend of Alg-Na and PEO found through FT-IR analysis but the peak decreased in PEO above 60% content. And the peel strength was predominant in PEO 50% ratio.

FOWLP 적용을 위한 Cu 재배선과 WPR 절연층 계면의 정량적 계면접착에너지 측정방법 비교 평가 (Comparison of Quantitative Interfacial Adhesion Energy Measurement Method between Copper RDL and WPR Dielectric Interface for FOWLP Applications)

  • 김가희;이진아;박세훈;강수민;김택수;박영배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1-48
    • /
    • 2018
  • Fan-out wafer level packaging (FOWLP) 적용을 위한 최적의 Cu 재배선 계면접착에너지 측정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전기도금 Cu 박막과 WPR 절연층 계면의 정량적 계면접착에너지를 $90^{\circ}$ 필 테스트, 4점 굽힘 시험법, double cantilever beam (DCB) 측정법을 통해 비교 평가 하였다. 측정 결과, 세 가지 측정법 모두 배선 및 패키징 공정 후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산업체 통용 기준인 $5J/m^2$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DCB, 4점 굽힘 시험법, $90^{\circ}$ 필 테스트 순으로 계면접착에너지가 증가하는 거동을 보였는데, 이는 계면파괴역학 이론에 의해 위상각 증가에 따라 이종재료 계면균열 선단의 전단응력성분 증가에 따른 소성변형에너지 및 계면 거칠기 증가 효과에 의한 것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FOWLP 재배선에 대한 최적의 계면접착에너지 도출을 위해서는 시편제작 공정, 위상각 차이, 정량적 측정 정확도 및 결합력 크기 등을 고려하여 4점 굽힘 시험법 또는 DCB 측정법을 적절히 혼용 사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크릴계 복합입자 바인더의 제조와 플라즈마 처리영향 (Synthesis and Effect of Plasma Treatment of Acrylic Composite Particle Binder)

  • 심동현;설수덕
    • 폴리머
    • /
    • 제32권3호
    • /
    • pp.276-283
    • /
    • 2008
  • 단량체의 종류(MMA, EA, BA, St), 단량체의 중량비($80/20{\sim}20/80$) 등을 변화시켜 core shell 바인더를 제조하구 여기에 플라즈마 처리하여 물성을 향상시켰다. 각 소재별로 플라즈마 처리시간($1{\sim}10\;s$)을 변화시켜 인장강도, 접촉각 및 접착박리강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core shell 바인더의 표면처리 조건을 산출하였다. 중합에서는 바인더의 종류와 조성에 관계없이 개시제는 APS, 반응온도 $85^{\circ}C$에서 0.3 wt%의 유화제를 사용했을 때 가장 높은 전환율을 나타내었고,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공중합체의 단일 전이 곡선에 비하여 core shell 바인더는 2개 이상의 전이 곡선을 얻었다. Core shell 바인더에 플라즈마 처리 전 후의 접촉각 변화는 PEA/PSt의 경우 5초 이내에 38%의 완만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처리하지 않은 경우는 감소율이 급격히 $0^{\circ}$에 도달하였다. 인장강도는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PSt/PMMA의 경우 $46.71{\sim}46.27\;kg_f$/2.5 cm로 처리전 후 모두 근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접착박리강도는 PEA/PMMA의 경우 처리 전 $7.89\;kg_f$/2.5 cm에서 처리 후 $14.44\;kg_f$/2.5 cm로 약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 접착박리강도의 크기는 shell 단량체가 MMA인 core 단량체에 대하여 PEA>PBA>PSt의 순으로 되었다.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소재의 접착력 향상 (II) (Adhesion Enhancement of Polyurethane Foam Using Atmospheric Plasma (II))

  • 심동현;설수덕;오상택
    • 접착 및 계면
    • /
    • 제8권3호
    • /
    • pp.1-8
    • /
    • 2007
  • 폴리우레탄 폼 소재에 평판형 플라즈마 전처리 방식을 적용시켜 접촉각 및 접착력을 향상시켰다. 플라즈마 반응기의 최적의 반응조건을 조사하기 위해서 반응가스(질소, 아르곤, 산소, 공기), 가스의 유량(30~150 mL/min), 그리고 반응시간(0~30초) 등을 변화시켜 전처리하여 진공식 플라즈마 방식과 비교 검토하였다. 처리 후 소재의 표면 변화는 SEM과 ATR-FTI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폴리우레탄 폼에서 질소의 유량이 100 mL/min이고 반응시간이 10초일 때 접촉각의 저하에 따른 가장 좋은 접착력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결과적으로 평판형 플라즈마 조작 방식에 의한 처리로 폴리우레탄 폼의 접촉각과 접착박리강도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고분자 소재의 접착력 향상 (III) (Adhesion Enhancement of Polymer Material Using Atmospheric Plasma (III))

  • 심동현;설수덕
    • 접착 및 계면
    • /
    • 제8권4호
    • /
    • pp.23-31
    • /
    • 2007
  • 고분자 소재에 평판형 플라즈마 전처리 방식을 적용시켜 표면의 접촉각 및 접착력을 향상시켰다. 분위기 기류를 질소로 하고 유량을 30~100 mL/min, 반응시간은 0~30초로 하여 PU 소재를 주 물질로 하여 EVA foam, Leather (Action), Rubber, Unwoven 소재에 대하여 각 조건별로 플라즈마 처리시켜 처리 전후의 각 소재별 접촉각과 접착박리강도 측정을 통한 소재의 물성변화와, SEM분석을 이용한 처리 전후의 표면 변화를 측정하여 플라즈마 처리의 영향과 효과를 산출하였다. 대기압 평판형 플라즈마 반응기를 이용하여 최적 조건인 기체유량 100 mL/min, 전처리시간 10초에서 EVA foam, Leather (Action) 및 Rubber 소재의 접촉각 감소와 접착력 향상을 확인하였다.

  • PDF

플라즈마를 이용한 고분자물질의 표면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ymer Surface Treatment Using Plasma)

  • 박희련;임종민;설수덕;이내우;문진복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4-100
    • /
    • 2005
  • The plasma, ionized gas state, is generally composed as the 4th state in the universe. Generating the plasma artificially has been studied by spending energy and it has been applied so much in human's life. There are several merits to modify the surface of polymer using plasma. Above all, plasma maintains the properties of polymer itself, but changes the properly of polymer surface only. Also, it is the environmentally fraternized because there are no waste processing from organic solvent. Furthermore, it is possible that continuous automated-processing in case of high-pressure plasma. Therefore, we have tried the reforming of surface to rise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material of polymer, and have experimented rising the adhesive strength through peel strength by virtue of processing time and using gas, of course, confirmed the change of polymer surface through measuring the contact angle analysi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Structure Analyses of Rubber/Filler System under Shear Flow by Using Time Resolved USAXS Method

  • Nishitsuji, Shotaro;Takenaka, Mikihito;Amino, Naoya;Ishikawa, Yasuhiro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4권2호
    • /
    • pp.156-160
    • /
    • 2019
  • The changes in the dispersion of carbon black in liquid polyisoprene under shear flow with time have been investigated by time-resolved ultra small-angle X-ray scattering (USAXS) method. The analyses of USAXS profile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shear flow clarified that the aggregates of carbon black with a mean radius of gyration of 14 nm and surface fractal dimension of 2.5 form the fractal network structure with mass-fractal dimension of 2.9.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hear flow, the scattering intensity increases with time at the observed whole entire q region, and then the a shoulder appears at $q=0.005nm^{-1}$, indicating that the agglomerate is broken and becomes smaller by shear flow. The analysis by the Unified Guinier/Power-law approach yielded several characteristic parameters, such as the sizes of aggregate and agglomerate, mass-fractal dimension of agglomerate, and surface fractal dimension of the primary particle. While the mean radius of gyration of the agglomerate decreases with time, the mean radius of gyration of the aggregate, mass fractal dimension, and surface fractal dimension don't change with time, indicating that the aggregates peel off the surface of the agglome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