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estrian environment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24초

LGP-FL과 해마 구조를 이용한 H-CNN 기반 보행자 검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CNN Based Pedestrian Detection Using LGP-FL and Hippocampal Structure)

  • 박수빈;강대성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75-83
    • /
    • 2018
  • 최근 자율 주행 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자율 주행 자동차는 보행자 검출 및 인식 기술이 중요하다. 최근에 주로 사용되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한 보행자 검출은 대체로 좋은 성능을 보이나 영상의 환경에 따른 성능 저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LGP-FL(Local Gradient Pattern-Feature Layer)을 추가한 CNN Network를 기반으로 해마 신경망의 장기 기억 구조를 적용한 보행자 검출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입력 이미지를 $227{\times}227$의 크기로 변경한다. 그 후 총 5개 층의 Convolution layer를 거쳐 특징을 추출한다. 그 과정에서 추가되는 LGP-FL에서는 LGP 특징 패턴을 추출하여 출현 빈도수가 높은 패턴을 장기 기억 장치에 저장한다. 이후 검출 과정에서 밝기 및 색상 변화에 강인한 LGP 특징 패턴 정보를 이용해 검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보행자를 검출할 수 있다. 기존의 방법들과 제안하는 기법의 비교를 통해 약 1~4%의 검출률 증가를 확인하였다.

모자이크 배경이미지 추출과 적응적 신경망을 이용한 다중 보행자 추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ple Target Tracking Using Adaptive Neural Network and Mosaic Background Extraction)

  • 서창진;양황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1802-1808
    • /
    • 2003
  • 본 논문은 자동 보행자 추적 시스템에 필요한 배경 이미지를 추출하는 방법과 추출되어진 배경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행자를 탐지하고 적응적 신경망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이동 궤적을 추적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은 고스트(ghost)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모자이크 배경 이미지 추출 법으로 배경 이미지를 추출하였으며, 보행자의 탐지에 차영상 분석법을 기반으로 하여 보행자를 탐지하였다. ART2 네트워크는 프레임에 존재하는 이동 물체의 중심점을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전 프레임에서 탐지되어진 물체의 정보를 이용하여 물체의 이동궤적을 추적할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비강체(non­rigid)형태 운동을 하는 보행자를 탐지하고 그 궤적 추적에 대한 실시간 시스템 구성의 가능성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실내 환경에서의 3차원 공간데이터 취득을 위한 IMU, Laser Scanner, CCD 센서의 통합 (Acquisition of 3D Spatial Data for Indoor Environment by Integrating Laser Scanner and CCD Sensor with IMU)

  • 서용철;나가이 마사히코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
    • /
    • 2007
  • 최근 들어 보행자 내비게이션을 위한 3차원 공간데이터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보행자 내비게이션에 있어서, 3차원 모델은 일반인의 시각에서 구체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보행자 내비게이션을 위한 공간을 상세하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실외 환경뿐만 아니라 지하쇼핑센터와 같은 실내 환경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3차원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GPS 없이 모바일 맵핑만으로 3차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득하기란 대단히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형상을 레이저 스캐너로 측정하고, 표면 텍스쳐는 CCD 센서로 취득하였으며,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센서의 위치와 높이는 IMU를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IMU의 위치데이터는 GPS의 위치보정 없이 CCD 이미지의 상대 표정을 통해 수정하였다. 연구결과로써, 디지털 카메라 및 레이저 스캐너와 IMU와의 통합을 통해 실내 환경에서 신뢰성 높고, 빠르며, 간편하게 3차원 공간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노인의 관점에서 본 동네환경의 노인친화도 -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비교연구 - (The Age-friendly Degre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in aspects of the Aged - A Comparative Study of Urban Area and Rural Area -)

  • 오찬옥;김수영;강동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217-226
    • /
    • 2015
  • As the aging society is globally increasing, the guide for the aged-friendly city is suggested by WHO and many cities are preparing to meet with it. The base of this guide for an age-friendly city is an active aging. This study examined how degree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is age-friendly from older persons' standpoin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with old persons who aged more than 65 years, 117 persons in an urban area and 110 ones in a rural area. The age-friendly degre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was examined from two aspects. One is how close 12 neighborhood facilities were from the elderly's houses. Another one is how degree the elderly were considered in 4 areas: pedestrian road, traffic, the amount of housing for the elderly, and space layouts of their house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related neighborhood facilities in urban area were closer located to old persons' houses than in rural area, except the senior center. Second, in case of the age-friendly degree of their neighborhood environments, the space layout of house was the highest, and then traffic, pedestrian road, and the amount of housing for the elderly, in order. The consideration degree of wheelchair users was the lowest. Third, the age-friendly degree of pedestrian road, traffic, and room layout of house in rural area were higher than in urban area. However, the amount of housing for the elderly in urban area was higher than in rural area.

기상조건에 따른 도시내 위험물질 확산정보와 보행자환경 위험영향평가 (Dispersal of Hazardous Substance in a City Environment Based on Weather Conditions and Its Risk Assessment at the Pedestrian Level)

  • 김은령;이광진;이채연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4호
    • /
    • pp.242-25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질 누출 사고로 인한 영향을 예측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응 방안으로 기상장(풍향 풍속)과 실제 도시 구조를 고려한 가상의 사고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위험물질 확산에 대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서울시 강남 지역을 대상으로 보행자 환경에서의 위험특성을 분석하였다. 풍향과 풍속 조건에 따라 48개의 시나리오를 가정하였으며, 스칼라 물질의 확산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위험물질로써 불화수소를 가정하였다. CFD_NIMR_SNU 모델을 이용하여 모의한 기상장(풍향 풍속) 평가를 실시하여 모든 검증 지수가 유효한 범위 내에 나타남을 보였다. 보행자 고도에서 모의된 확산장 분석 결과, 도시의 인공적 구조에 의해 기상장의 조건에 따라 상세 흐름이 변화하며 위험물질이 확산되는 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입류의 풍속이 가장 약한 조건의 경우, 하층에서 유입방향의 역방향으로 흐름이 형성되어 보행자 고도에서의 물질 이동경로가 변화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지역의 난류흐름 형성에 도시의 인공적 구조가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기술은 향후 실제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도시 내 산업단지에 확산모의 실험과 보행자 환경에서의 위험성 평가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원인 분석 및 대책 (Analysis of Elderly Pedestrian Traffic Accident Data and Suggestions)

  • 지우석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843-853
    • /
    • 2010
  • 본 연구는 노인들의 보행 교통안전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어린이 교통사고를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우리나라의 교통사고는 감소추세에 있지만 아직도 노인교통사고는 줄지 않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서 노인 보행교통사고 저감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통공단에서 제공한 최근 보행관련 교통사고를 유형별로 분석하여 노인 보행교통사고의 특성을 이해하고, 추가적으로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보행안전을 위협하는 요인과 개선대책을 파악하였다. 연령대별 차대사람 교통사고 자료 분석결과 노인교통사고는 횡단보도나 교차로보다는 횡단보도 부근, 교차로 부근에서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보행자 과실 사고는 감소추세인 반면 운전자 과실로 인한 사고는 오히려 증가추세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연령대별 교통사고 발생비율을 살펴보면 ;U'자형 분포를 보이고 있어 향후 교통안전개선지점의 우선순위는 12세 이하의 어린이와 65세 이상의 노인연령대의 교통사고 잦은 지점을 통합한 기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된 내용으로써는 노인들은 도로교통 안내 표지판을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많은 노인들이 교통정보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들이 교통안전상 불안을 느끼는 때는 교차로 횡단 시와 이면도로 보행시로 나타났으며 교통안전을 가장 위협하는 대상은 보도를 주행하는 오토바이와 보도에 불법 주차된 차량이라고 응답하였다. 교통사고자료와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교차로 및 횡단보도의 시설개선이 시급하며, 운전자를 대상으로 노인 보행특성에 대한 교육의 필요, 노인을 위한 휴게시설의 확충, 보도의 자전거도로 공유 금지, 보행교통사고지도 작성 등이 대책으로 제시되었다.

Crime Mapping Based on Experts' and Residents' Assessmen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 Kim, Jaecheol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13-220
    • /
    • 2017
  • This study examin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crime mapping that relies mainly on reported crime data, suggests a crime mapping method based on experts' and users' assessments of a neighborhood environment as an alternative approach, and conducts a case study on a real-world site by applying the suggested approac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while the areas adjoining arterial roads with heavy pedestrian traffic were shown as high crime risk areas in the crime map based on actual reported crime data, the areas adjoining local roads with low pedestrian traffic were high-risk areas in the crime risk area map based on experts' and residents' evaluations.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field in that it demonstrates the detailed application process of crime risk area mapping according experts' and residents' evaluations, compares the results with those of an existing crime map, and finally shows that the former can function as a complement to the latter.

가상주행환경 기반 초음파 센서의 승합차 측면 보행자 인식 (Pedestrian Detection Using Ultrasonic Distance Sensors Based on Virtual Driving Environments)

  • 윤현철;최주용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309-316
    • /
    • 2017
  • In shuttle vans designed to transport children, the recognition of a child's approach and departure is very important. Ultrasonic sensors are generally used for a short distance around a vehicle. Although ultrasonic sensors are cheaper than other ADAS sensors, the number of sensors installed in a van should be optimized. In order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a child around a shuttle van, this paper proposes the placement of ultrasonic sensors in the van. Considering the turning radius of the van and the distance from each sensor to a child, collision risk is classified as 'safe', 'warning', and 'danger'. The sensor placement and the recognition algorithm are verified in a virtual driving environment.

읍소재지 중심가로의 보행환경 개선 방향 - 전라남도 4개 지방정부 읍소재지의 중심가로를 대상으로 -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Main Street of Towns - Targeting Main Street in Four Local Government Towns in Jeollanam-do -)

  • 박성진;강인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35-42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the path that affects the user's walking satisfaction on main street in four local government towns in Jeollanam-do. and as an empirical study to fi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toward the main street from the perspective of walk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etwork had a direct (+) effect on walking satisfaction as a main street.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land use had no direct (+) effect on walking satisfaction on the main street, but had a direct (+) effect on the network. Second, it was analyzed from the fact that the walking environment does not have a direct (+) effect on walking satisfaction, but has a direct (+) effect on the network.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street-building relationship had a direct (+) effect on the street landscape, and the street landscape had a direct (+) effect on the walking environment. The study was completed by suggesting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