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ctin analysis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4초

무와 비교한 콜라비의 성분분석 (Composition Analysis between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and Radish (Raphanus sativus))

  • 최승현;류동걸;박수형;안경구;임용표;안길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69-475
    • /
    • 2010
  • 무의 소비에 있어서 주된 문제점은 glucosinolate에 의한 쓴맛과 매운맛이다. 최근에 무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있는 콜라비가 한국에 도입되어 제주도에서 월동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두 작물의 식감과 맛이 비슷하여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콜라비의 환원당, cellulose, pectin의 함량은 무보다 낮았다. 식감은 콜라비가 무보다 더 단단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미노산의 함량은 콜라비가 무보다 약 2.7배 정도 높았다. 특히 aspartate, glutamate, arginine과 같은 수용성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무보다 콜라비에서 3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총 glucosinolate 함량은 콜라비가 무의 내부 보다 12.4배, 외부 보다 28.5배로 각각 낮았다. 관능평가에서 콜라비의 쓴맛과 매운맛이 무보다 적게 나타났다. 항암성분으로 알려진 glucoraphanin은 무 보다 콜라비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콜라비의 환원당 함량이 무에 비해 적음에도 불구하고 관능평가에서 무보다 콜라비가 더 달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무보다 콜라비가 더 많은 수용성 유리 아미노산을 함유하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콜라비는 맛과 기능적인 면에서 무보다 높게 나타나 소비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증류주(蒸溜酒) 숙성(熟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사과 증류주(蒸溜酒) 숙성(熟成)에 있어서 숙성통재(熟成桶材)로서 한국산(韓國産) 참나무 품종별(品種別) 이용적성(利用適性)에 관(關)하여- (Studies on Fine Spirits Aging [Part I]-On the Aptitude of the Korean Oak Varieties as Barrels for Aging Apple Fine Spirits-)

  • 이계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1호
    • /
    • pp.66-80
    • /
    • 1977
  • 사과 증류주(apple One spirit) 숙성에 있어서 국산 참나무의 품종이 fine spirit숙성 술통재로서의 적성여부를 검토하는 기초적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를 실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조 원료를 대체 할 수 있는 과실로서 현재 대량생산 되는 과실의 화학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과 : (Apple) (Malus pumila Miller var domestica Schneider) 중 홍옥(Jonathan)은 총당 13.95%, 총산 0.46%, 휘발산 0.012%, pectin 0.20%, 국광(Ralls)은 총당 13.35%, 총산 0.43%, 휘발산 0.011%, pectin 0.455%이었다. 2. 사과중에는 당분과 산 이외에 cellulose, pectin, hemicellulose 등 때문에 사과즙수을이 떨어짐으로 Aspergillus niger SUAFM-430의 xylanase와 amylase, Aspergillus niger SUAFM-6의 cellulase, pectinase를 사과즙에 처리하여 사과즙의 수율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이황산 처리로 과즙중 여러 미생물을 살균하고 배양효모로서 발효능이 우수한 sacharomyces cerevisiae var. ellipsoidens Rasse Johannisberg II (SUAFM-1018)을 사용하여 사과주를 양조하였다. 사과주(Apple wine)는 원료에 대한 수율이 $86{\sim}87%$이고 Jonathan, Ralls가 ethanol 13.5%, extract분 5.4%, methanol $0.04{\sim}0.05%$이었다. 3. 사과주의 증류수(fine spirit) 제조는 단식증류법(Pot still)으로 2회 증류로서 실험하였다. 사과(apple) fine spirit는 apple wine mash에 대한 수율이 86.6%이고, 홍옥(Jonathan) fine spirit는 pH 4.1, 국광(Ralls) fine spirit는 pH 4.2이었다. 4. 사과주를 증류하여 제조한 fine spirit를 숙성시키기 위하여 국산 참나무 24품종을 나무의 심재(心材) (Inner part)와 변재(邊材) (Outer part)를 사용하여 fine spirit의 숙성융통제를 선발하는 실험을 하였다. 참나무 24품종과 그의 심재, 변재 별로 참나무의 절편(oaa chip) $(1{\times}1{\times}5cm)$을 만들고 oakchip 2개를 각 fine spirit 300ml씩 들은 640ml용맥주병에 담그고, 6개월간 숙성시키면서 색, 향기, 맛 등을 조사하였다. A. 숙성용술통재 선발의 1차 screen결과로서 색추출속도가 우수한 참나무 품종은 다음 순서와 같다. 갈참나무(심재) Quercus aliena Blume(Inner part), 굴참나무(변재) Q variabilis Blume (Outer part), 갈참나무(변재) Q. aliena Blume (Outer part), 졸참나무(심, 변재) Q. serrata Thumb (Inner & Outer part), 신갈참나무(변, 심재) Q. mongolca Fisher (Outer & Inner part), 상수리 나무(변, 심재) Q. acutissima Carruthers (Outer & Inner part)의 순서등 5품종을 선정하였다. B. 숙성온도별 영향으로서 실온 $24{\sim}25^{\circ}C,\;30^{\circ}C,\;45^{\circ}C$ 별로 각 fine spirit에 oak chip을 넣고 숙성시킨 결과 $45^{\circ}C$에서 숙성시킨 것이 가장 숙성이 촉진 되었고 다음이 $30^{\circ}C$, 다음이 실온에서 한 순서의 경향이었다. C. 투명한 삼각후라스크에 각 fine spirit에 oak chip을 담그고 자외선 조사를 하여 3개월간 숙성 시켰드니 숙성효과가 contral구 보다 거의 2배가 촉진하는 흥미있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D. 사과주에서 증류한 fine spirit 300ml에 2개의 oak chip을 담그어 숙성시킴에 있어 oak chip의 여러성분이 fine spirit에 용출되여 나오는 정도가 fine spirit의 pH에 중요한 관계가 있음을 알았다. E. 선정된 5개 품종의 oak chip과 블란서 참나무 술통재(Limousin white oak from France)를 control로 하여 각 사과주를 증류한 fine spirit에 2개의 oak chip($1{\times}1{\times}5cm$)을 담그고 실온, $(24{\sim}25^{\circ}C)$, $30^{\circ}C,\;45^{\circ}C$, 실온에서 자외선조사 하면서 각각 6개월간 매일주일 마다 진탕하면서 숙성시켰다. 6개월간 수성시킨 fine spirit(young brandy)의 관능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불란서 oak chip의 실온 숙성한 fine spirit 하고 비슷한 것은 참갈나무 chip을 넣은 사과의 young bandy($45^{\circ}C$에서 숙성함)이었고 갈참나무 chip을 넣고 실온에서 UV-ray 조사한 사과의 young brandy는 불란서 oak chip의 실온 숙성한 young brandy 보다는 약간 떨어지지만 그런대로 국산 참나무를 각 fine spirit 숙성용으로 이용할 가치가 있음을 알았다.

  • PDF

배추 약 발달 시기별 유전자의 발현 양상 (Expressional Patterns of Anther-specific Genes from Chinese Cabbage during the Flower Development)

  • 김현욱;정규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1호
    • /
    • pp.7-10
    • /
    • 1999
  • 배추의 약(anther)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분리, 특성을 구명하고, 궁극적인 목표로는 특이 발현을 조절하는 프로모터를 분리 작물의 웅성불임 유기 및 임성화복에 응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배추 약 cDNA 유전자 은행으로부터 차별화 선별(differential screening)에 의해 얻어진 15개의 약특이 유전자들의 부분 염기서열 결정 후 기존에 보고된 유전자들과 상동성 검색을 통해 그 기능을 추정해 본 결과 cDNA clone BAN52는 polygalacturonase, BAN84는 ascorbate oxidase, BAN101은 $H^+-translocating$ ATPase, BAN2는 pectin esterase 유전자와 상동성을 보였으나, 그 외 유전자들은 상동성이 없어 그 기능을 추정할 수 없었다. 상기 유전자들의 발현시기를 꽃 발달 시기별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유전자들이 (BAN5, 10, 33, 52, 57, 102, 103, 215, 229) 꽃봉오리 2.1mm 내외에서 발현이 시작하여 성숙화분까지 그 발현양이 증가하였고, BAN32, 54, 62, 84, 101는 꽃봉오리 3.9mm인 약발달 후기부터 나타났고, BAN87 유전자는 그 양은 적지만 약 발달 초기부터 후기까지 발현하였다.

  • PDF

딸기 첨가 수준을 달리한 딸기잼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Containing Strawberry Puree)

  • 김진숙;강은정;장영은;이지현;김기창;김경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25-731
    • /
    • 2013
  • 딸기 과실과 설탕 이외에 젤리화 형성에 영향을 주는 산, 펙틴 등을 따로 첨가하지 않고 딸기와 설탕의 배합비를 달리한 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딸기를 70~30% 수준으로 감소한 처리구의 당도는 $59.00{\sim}77.33^{\circ}Brix$, pH는 4.17~4.28으로 증가한 반면, 총산도는 1.55~0.31%로 감소하였다. 딸기 함량이 줄어드는 S1~S5 처리구의 L값은 5.36~30.83, a값은 27.83~37.19, 그리고 b값은 9.08~40.52로 모두 증가하였다. 딸기 함량이 줄어들수록 딸기잼의 안토시아닌 함량과 펙틴 함량은 각각 9.91~5.15 mg/g, 4.86~1.46 mg/g으로 감소하였다. 딸기 첨가량에 따른 딸기잼의 물성 측정 결과에서도 hardenss, gumminess 및 chewiness은 딸기 함량이 줄어들수록 감소하였다. 딸기 첨가 수준이 낮아지는 S1~S5 처리구의 glucose, fructose 함량이 감소된 반면 sucrose 함량은 증가하였다. 유기산 구성은 oxalic aic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formic acid으로 조성되었고, 이들 함량 변화는 딸기 첨가 수준이 낮아질수록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산과 펙틴 등의 첨가물 없이 딸기와 설탕으로만 잼 제조가 가능하지만 색, 맛 등의 품질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상적인 과실잼은 과실과 설탕을 동량인 50%(w/w) 수준으로 제조하고 있으나 과실을 60~70%(w/w) 수준으로 높인 고품질 딸기잼은 당도, 유리당, 유기산 및 안토시아닌 함량 등의 품질이 좋았다. 하지만 당도 $65^{\circ}Brix$ 이하인 점을 고려하여 저장안정성 연구, 안토시아닌 색소 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국내산 블루베리의 품종별 성분분석 및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잼 제조 (Composition Analysis of Various Blueberries Produced in Korea and Manufacture of Blueberry Ja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조원준;송범석;이주연;김종곤;김재훈;윤요한;최종일;김강성;이주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19-323
    • /
    • 2010
  • 본 실험은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국내에서 재배된 20종의 블루베리에 대한 일반성분, 산도 및 당도 분석과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잼의 관능적 특성 최적화가 수행되었다. 전체 품종에 대한 일반성분의 경우 수분은 75~88%, 단백질은 0.32~0.62%, 지방은 0.12~0.39% 및 탄수화물은 10.18~23.80%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산도 및 당도를 측정한 결과 품종별로 각각 0.82~1.58%와 $7~12^{\circ}Brix$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잼을 가공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설탕(200~300 g), 펙틴(0~10 g) 및 구연산 분말(0.0~0.5 g)의 함량을 중심합성실험계획법에 의해 제조된 블루베리 잼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전반적 기호도에 대한 최적점을 평가한 결과 블루베리, 설탕, 펙틴 및 구연산 분말의 함량이 각각 200 g, 248 g, 4.8 g 및 0.26 g으로 제조되었을 때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한국산(韓國産) 무화과(無花果)의 화학조성(化學組城) 및 저장성(貯藏性)에 관(關)하여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Figs and Its Storage Stability)

  • 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5-169
    • /
    • 1981
  • 한국산(韓國産) 무화과(無花果)의 가공적성(加工適成)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외국도입품종(外國導入品種)과 성분(成分)을 비교(比較)하였고, 저장기간(貯藏期間)을 연장(延長)시키기위해 마산(馬山) No.1 품종(品種)을 Polyethylene film을 이용(利用)하여 냉장실험(冷藏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한국산(韓國産) 무화과(無花果)의 화학성분중(化學成分中) 총당(總糖)은 $37.74{\sim}89.68%$ (건물중(乾物中))의 범위(範圍)였고, 총산(總酸)은 $0.59{\sim}1.08%$ pectin은 $4.30{\sim}7.79%$의 함량(含量)을 보였다. 2. 저장중(貯藏中) 수분(水分)은 대조구(對照區)가 급격(急激)한 변화(變化)를 보여16일후(日後) 5%이상(以上) 감소(減少)하였으나 포장구(包裝區)에 있어서는 3% 이하(以下)의 감소(減少)를 보였다. 3. 당(糖)과 산(霰)은 저장중(貯藏中) 전반적(全般的)으로 감소(減少)하였는데 0.06mm 및 0.08mm PE, 대조구(對照區)가 0.1mm PE 포장구(包裝區) 및 대조구(對照區)보다 완만(緩慢) 변화(變化)를 보였다. 4. 저장중(貯藏中) hardnss와 fracturability는 거의 비슷한 경향(傾向)으로 감소(減少)하였고 adhesiveness는 증가(增加)하였다.

  • PDF

게껍질 Chitin 및 Chitosan의 소화관내 기능성에 관한 in vitro 연구 (In vitro Study on the Functionality in Digestive Tract of Chitin and Chitosan from Crab Shell)

  • 장현주;전동원;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8-354
    • /
    • 1994
  • 반응 조건을 달리하여 게껍질에서 chitin을 추출하고 이를 탈아세틸화하여 chitosan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소화관내 기능성을 in vitro법으로 실시하였다. 이들 chitin질의 bulk density는 $127{\sim}208\;mg/ml$, 점도는 0.1% chitin의 경우 $80{\sim}581\;cP$, 0.5%, chitosan은 $80{\sim}3,670\;cP$로 다양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chitosan의 탈아세틸화도는 $81{\sim}93%$로 비교적 높았다. Chitosan 제조시의 알칼리 농도와 반응 온도가 일정할 때 반응 시간이 경과할수록 탈아세틸화도는 증가하였고, 점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hitin질의 보수력은 온도 상승에 따라 약간 상승하였고, $37^{\circ}C$에서 chitosan D가 가장 높았으며, bulk density가 낮을수록 높은 보수력을 나타냈다. Glucose 흡수 억제 효과는 bulk density가 낮고 보수력이 큰 chitin길이 더 컸고 chitosan D가 가장 높은 38%를 나타냈다. Chitin질의 bile acid 흡수 억제 효과는 투석 1시간 후에 $15{\sim}34%$를 나타냈고, pectin은 39%, cellulose는 9%를 나타냈으며 chitosan D는 3% 농도에서 34%의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xo-polygalacturonase from Botrytis cinerea

  • Lee, Tae-Ho;Kim, Byung-Young;Chung, Young-Ryun;Lee, Sang-Yeol;Lee, Chang-Won;Kim, Jae-W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5권2호
    • /
    • pp.134-140
    • /
    • 1997
  • Botrytis cinerea T91-1 has been shown to produce at least four different polygalacturonases into a liquid medium containing citrus pectin, a carbon sousrce. One of the enzymes, which had an apparent molecular weight of 66 kDa estimated by denatured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as purified to electrophoretic homogeneity by a series of procedures including a cetone precipitation, ion exchange, heparin affinity, and reverse phase column chromatographies. The molecular weight of native enzyme was determined to be 64 kDa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indicating the enzyme to be a single polypeptide chain. By viscometric analysis, the enzyme was revealed as exo-polygalacturonase. The enzyme activity was inhibited by divalent cations such as $Ca^{2+}$, $Mg^{2+}$, and Cu$^{2+}$. Km and Vmax for polygalacturonic acid hydrolysis were 0.33 mg/ml and 28.6 nM/min, respectively. The optimum temperature for enzymatic activity was 5$0^{\circ}C$. And the enzyme showed optimal pH values between 4.0 and 5.0. The enzyme was stable upto 12 hours in the range of pH 3 to 8 and at temperature below 3$0^{\circ}C$.

  • PDF

감자의 조리방법에 따른 물성 변화 (A Study of Rheology with Cooking Methods of Potato)

  • 이정숙;황영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5-97
    • /
    • 2003
  • This study is an attempt that Rheology changes are occurred by boiling, frying, and boiling potatoes with soy bean sauce. Three different methods are tested for chemical analysis, fine potato starch grain structural change, sensory evaluation. 1) Alkaline number and acidity number are changed (+)2.17 in raw, decreased (+)1.76 by boiling, increased (+)2.38 by frying, and (-)2.22 by boiling with soy bean sauce. 2) Potatoes are completely dissolved into the gelatinization when they are boiled at 10$0^{\circ}C$ for 15minutes(PB III), fried at 18$0^{\circ}C$ for 3 minutes(PF IV), and boiled with soy bean sauce l0$0^{\circ}C$ for 30 minutes(PS III). 3) The pectin content ratio is decreased according to frying (31.78$\mu\textrm{g}$/$m\ell$), boiling(44.20$\mu\textrm{g}$/$m\ell$), boiling soy bean sauce(36.37 $\mu\textrm{g}$/$m\ell$), Hemicellulose content ratio is decreased according to frying(1.19%), boiling(1.17%), boiling soy bean sauce(0.92%). And the contend of cellulose and lignin is still regardless of any cooking method. 4) The sensory evaluation conducted by 30 university students as panelists showed that there are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our samples in appearance, flavour, texture. As a result, the optimum cooking condition for potatoes is that potatoes are boiled l0$0^{\circ}C$ for 15minutes, fried at 18$0^{\circ}C$ for 3minutes, and boiled with soy bean sauce at 1$0^{\circ}C$ for 30minutes.

  • PDF

Native and Foreign Proteins Secreted by the Cupriavidus metallidurans Type II System and an Alternative Mechanism

  • Xu, Houjuan;Denny, Timothy P.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4호
    • /
    • pp.791-807
    • /
    • 2017
  • The type II secretion system (T2SS), which transports selected periplasmic proteins across the outer membrane, has rarely been studied in nonpathogens or in organisms classified as Betaproteobacteria. Therefore, we studied Cupriavidus metallidurans (Cme), a facultative chemilithoautotroph. Gel analysis of extracellular proteins revealed no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he wild type and the T2SS mutants. However, enzyme assays revealed that native extracellular alkaline phosphatase is a T2SS substrate, because activity was 10-fold greater for the wild type than a T2SS mutant. In Cme engineered to produce three Ralstonia solanacearum (Rso) exoenzymes, at least 95% of their total activities were extracellular, but unexpectedly high percentages of these exoenzymes remained extracellular in T2SS mutants cultured in rich broth. These conditions appear to permit an alternative secretion process, because neither cell lysis nor periplasmic leakage was observed when Cme produced a Pectobacterium carotovorum exoenzyme, and wild-type Cme cultured in minimal medium secreted 98% of Rso polygalacturonase, but 92% of this exoenzyme remained intracellular in T2SS mutants. We concluded that Cme has a functional T2SS despite lacking any abundant native T2SS substrates. The efficient secretion of three foreign exoenzymes by Cme is remarkable, but so too is the indication of an alternative secretion process in rich culture conditions. When not transiting the T2SS, we suggest that Rso exoenzymes are probably selectively packaged into outer membrane vesicles. Phylogenetic analysis of T2SS proteins supports the existence of at least three T2SS subfamilies, and we propose that Cme, as a representative of the Betaproteobacteria, could become a new useful model system for studying T2SS substrate specifi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