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ches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3초

냉풍 및 적외선 건조에 따른 건조 복숭아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ld-air and Infrared-dried Peaches)

  • 이혜림;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85-491
    • /
    • 2012
  • 복숭아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제품의 개발을 위하여 복숭아의 냉풍 및 적외선 건조 방법에 따른 품종별 건조 복숭아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건조 방법에 따른 품종별('천홍', '유명') pH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전반적으로 적외선 건조에서 냉풍 건조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천홍' 품종보다 '유명' 품종에서 pH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L과 ${\Delta}E$ value은 적외선 건조에서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a, b value는 냉풍건조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유리당 분석결과 조성은 sucrose > fructose > glucose 순이었고, 그 함량은 sucrose에서 50.71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적외선 건조가 냉풍 건조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기산은 품종 및 건조 방법에 상관없이 oxail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가 동정되었으며, 그 중 citric acid 함량이 6.17 mg / 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은 모든 조건에 상관없이 K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조성은 K > Mg > Ca > Na > Fe > Zn > Cu > Al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적외선보다 냉풍 건조에서 높게 나타났고, '천홍'보다 '유명' 품종에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과 맛은 적외선 건조에서 높게 평가되었고, 색도와 조직감에서는 냉풍 건조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NaCl로 전처리하였을 때 기호성이 높게 평가되어 건조와 함께 전처리를 병용하면 건조 과실의 기호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적외선 건조 방법으로 제조한 건조 복숭아의 품질이 전반적으로 우수하다고 판단되며, 건조 복숭아 제조 방법으로 적합할 것이라 사료된다.

예냉처리가 복숭아(미백)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cooling Treatments on the Quality of Peaches (Mibaek))

  • 김병삼;김민정;최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233-1236
    • /
    • 2003
  • 미백복숭아의 신선도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수확후 예냉처리가 행해졌다. 복숭아에 대한 예냉 시험 결과 $25.9^{\circ}C$에서 $5^{\circ}C$까지 3시간 이내에 냉각이 가능하였으며 풍량과 정압을 증가시킬수록 냉각속도는 증가하였다. 복숭아의 호흡속도와 에틸렌발생속도는 $20^{\circ}C$의 경우 $7^{\circ}C$에서의 4배 빠르게 나타났다. 예냉처리한 복숭아는 $7^{\circ}C$$20^{\circ}C$에 저장한 경우 무예냉처리구에 비해 당도, 감모율, 비타민 C, 외관등에서 30% 이상 우수한 상품성을 유지하였다.

Effect of Ripening and Peeling Methods on Composition and Quality of Canned Freestone Peaches

  • Chung, J.I.;Luh, B.S.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12
    • /
    • 1972
  • Fay Elberta freestone peaches were harvested at four maturity levels as judged by skin color and firmness. They were ripened at $68^{\circ}F$ under 80 percent relative humidity for 4, 6, 8 and 10 days respectively prior to canning. Results indicate that both harvest maturity and ripening conditions a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flavor and composition of canned freestone peaches. Peaches harvested at $18{\sim}24$ pounds on a Magness-Taylor pressure tester with a 7/16' plunger(M1) failed to ripen satisfactorily. Fruits harvested at $13{\sim}17$ pounds (M2) pressure test ripened successfully at $68^{\circ}F$ within 6 to 8 days; and those harvested at 6 to 12 pounds (M3) needed 4 days for ripening at $68^{\circ}F$. Tree-ripened fruits (M4) were undesirable for canning because of the high percentage of bruised fruits. The optimum firmness for canning appears to be in the range of 1.5 to 3.0 pounds. The titratable acidity of peaches decreased during maturation and ripening. The tannin content of peaches at M1 maturity decreased with ripening at $68^{\circ}F$. But no appreciable change was observed in the M2 and M3 series which were ripened at $68^{\circ}F$ for 4 to 10 days. The volatile reducing substances (V.R.S.) increased as the peaches developed on the tree and also during post-harvest ripening. The effect of harvest maturity and post-harvest ripening on color grade of the canned peaches is presented. Little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lavor and composition of peaches peeled by the cup-down lye peeling and the steam-peeling methods. The cup-down lye-peeling method might be most advantageous because of its higher peeling efficiency.

  • PDF

′창방조생′과 ′미백′ 복숭아의 저장중 특성 변화 (Changes of the Characteristics of ′Kurakatawase′ and ′Mibaek′ Peaches during Storage Period)

  • 최금주;이제홍;주선종;김기식;박성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46-251
    • /
    • 2001
  • '창방조생 ' 과 '미백' 복숭아의 저장기간중 중량감모율은 상온무포장에서 4일후 각각 6.8%, 4.9% 이었으나 저온 (0~2$^{\circ}C$), 고습(95$\pm$3%) 조건에서 PE 무천공필름 포장저장구는 25일째 모두 1% 이내였다. 복숭아 저장중 경도변화는 상온에 비해 저온저장에서는 모두 큰 차이가 없었다. 두 품종 모두 저장기간중의 유기산과 가용성 고형분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칭방조생'과 '미백' 의 fructose, glucose 함량은 두 품종 모두 지장전보다 약간씩 증가였으나 Sucruse 함량은 25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복숭아는 30$\mu\textrm{m}$ LDPE fim 또는 25$\mu\textrm{m}$ SM60 film으로 포장하여 저온(0~2$^{\circ}C$), 고습(95$\pm$3%) 조건에서 저장할 경우 '창방조생'은 20일, '미백'은 25일까지 저장 가능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Peach Grading System using NIR Spectroscopy

  • Lee, Kang-J.;Choi, Kyu H.;Choi, Dong S.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267-1267
    • /
    • 2001
  • The existing fruit sorter has the method of tilting tray and extracting fruits by the action of solenoid or springs. In peaches, the most sort processing is supported by man because the sorter make fatal damage to peaches. In order to sustain commodity and quality of peach non-destructive, non-contact and real time based sorter was need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peach sorter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in real time and nondestructively. The prototype was developed to decrease internal and external damage of peach caused by the sorter, which had a way of extracting tray with it. To decrease positioning error of measuring sugar contents in peaches, fiber optic with two direction diverged was developed and attached to the prototype. The program for sorting and operating the prototype was developed using visual basic 6.0 language to measure several quality index such as chlorophyll, some defect, sugar contents. The all sorting result was saved to return farmers for being index of good quality production. Using the prototype, program and MLR(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it was possible to estimate sugar content of peaches with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0.71 and SEC of 0.42bx using 16 wavelengths. The developed MLR model had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0.69, and SEP of 0.49bx, it was better result than single point measurement of 1999's. The peach sweetness grading system based on NIR reflectance method, which consists of photodiode-array sensor, quartz-halogen lamp and fiber optic diverged two bundles for transmitting the light and detecting the reflected light, was developed and evaluated.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soluble solid contents of peaches in real time and nondestructively using the system which had the accuracy of 91 percentage and the capacity of 7,200 peaches per an hour for grading 2 classes by sugar contents. Draining is one of important factors for production peaches having good qualities. The reason why one farm's product belows others could be estimated for bad draining, over-much nitrogen fertilizer, soil characteristics, etc. After this, the report saved by the peach grading system will have to be good materials to farmers for production high quality peaches. They could share the result or compare with others and diagnose their cultural practice.

  • PD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Peach Cultivars

  • Lee, Jun-Young;Park, Heui-Dong;Park,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07-111
    • /
    • 2001
  •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our white-and one yellow-fleshed peach cultivars were compared at optimum maturity stage. In addition, differences of phenolic composition,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ies and PPO isozyme patterns in two peach types were also investigate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rmness and color values between two peach types, except for "Yumyung", a white-fleshed peach with the highest firmness, and "Hwangdo", a yellow-fleshed peach with the highest yellowness (b)* value. In general, the soluble solid/titratable acidity ratios, ascorbic acid and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white-fleshed peaches than those for yellow-fleshed peach (p<0.05). Three major phenolic compounds, catechin, neochlorogenic acid and chlorogenic acid, were found in both the white-and yellow-fleshed peaches. Among them, catechin was the predominant phenolic compound in the white-fleshed peaches, followed by neochlorogenic acid, and chlorogenic acid. Meanwhile, neochlorogenic acid was present in the highest level of the yellow-fleshed peach, but levels of two other phenolic compounds were lower. PPO activities of the white-fleshed peaches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the yellow-fleshed peach, with the one major band and two minor bands, and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in PPO isozyme patterns between two different peach cultivars.

  • PDF

깐포도 및 복숭아 통조림의 부패미생물에 관한 연구 (Microbiological Investigation of Swollen Commercially Canned Grapes and Peaches)

  • 신향숙;경규항;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53-455
    • /
    • 1987
  • 팽창된 깐포도 및 복숭아 통조림을 시중에서 수거하여 부패현상을 검사한 결과 pH가 비교적 낮은 깐포도 통조림은 52개의 팽창관중 6개가 또 pH가 비교적 높은 복숭아 통조림은 23개 중 19개가 미생물에 의해 부패되었음을 알았다. 깐포도 통조림의 주요 부패 미생물은 Saccharomyces cerevisiae였고, 복숭아 통조림의 주요 부패 미생물은 S. cerevisiae 및 Torulopsis stellata로 밝혀졌다. 기타 Lactobacillus 및 Leuconostoc속의 젖산균도 흔히 발견되었으며, 포자형성세균으로는 Bacillus licheniformis가 한 개의 통조림에서 발견되었다.

  • PDF

분광반사특성(分光反射特性)과 삼자극치(三刺戟値)를 이용(利用)한 복숭아의 품질평가(品質評價) (Quality Evaluation Using Spectral Reflectance and Tristimulus Values of Peaches)

  • 김용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9권1호
    • /
    • pp.33-41
    • /
    • 1994
  •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of peaches non-destructively, the surface color and spectral reflectances of KURAKATAWASE, MIBAEKTO, and OKUBO cultivar were measured. Also an attempt was made to correlate reflectance characteristics and tristimulus values with quality evaluation parameters such as chlorophyll content, soluble solids, anthocyanin content, and firmness. Further analysi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showed that spectral reflectance would be effective for the quality evaluation of peaches.

  • PDF

복숭아의 상온유통을 위한 기능성 포장기법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Peaches (Prunus persica L. Batsch) for Distribution at Ambient Temperature)

  • 박종대;홍석인;박형우;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227-1234
    • /
    • 1999
  • 여름철에 생산되는 '미백' 품종 복숭아의 기존 유통조건을 고려하여 $20^{\circ}C$에 저장하면서 기능성 MA 포장기법의 적용효과를 실험하였다. 필름 포장내의 ${O_2}$${CO_2}$ 함량은 포장 후 7시간까지 급격히 변하였으며 에틸렌도 밀봉 직후 급격히 증가하여 40LD 포장구가 64.2 ppm까지 증가하였다. 저장중 품질변화 측정에서 대조구의 중량손실은 저장 8일 후 11.8%였으나 포장구는 2.0% 이하의 수준이었다. 가용성고형분, pH 등 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산도는 20CK 포장구가 저장 8일 후 0.25%로 가장 높게 유지되었고 경도 역시 20CK가 20LP 포장구와 더불어 높게 유지되었다. 과피색은 20CK의 복숭아가 Hunter 'L' 값을 높게 유지하였다. 저장 중 혐기호흡으로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와 에탄올은 각각 40LD와 40CK 포장구가 높았으며 20CK는 포장구중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20CK 포장구는 외관 및 관능적 품질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아서 상품성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여름철 복숭아의 유통을 위한 포장처리구중 20CK 포장구가 종합적인 품질 측면에서 상품성이 높게 유지되어 단기간 상온유통용 포장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감마선 조사와 저장온도에 따른 복숭아의 품질특성 변화 (Changes of Nutritional Compounds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Peaches (Prunus persica L. Batsch) during Post-irradiation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

  • 윤혜정;임상용;허정무;이보영;최영지;권중호;김동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77-384
    • /
    • 2008
  • 복숭아의 보존기한 연장을 위한 품질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적숙기의 복숭아에 1 kGy의 감마선 조사를 실시한 다음, $4^{\circ}C$$25^{\circ}C$의 저장조건에서 복숭아의 일반적인 품질 특성 및 관능학적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과실류에 대한 Codex 권장선량인 1 kGy 선량의 감마선 조사에서 복숭아의 품질변화는 나타나지지 않았으며 초기 오염미생물의 균수를 약 2 log 단위($10^2\;CFU/g$) 정도 감소시키는 제어 효과가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 복숭아의 보존 실험에서, 감마선 조사된 복숭아는 $25^{\circ}C$의 조건에서는 약 1주, $4^{\circ}C$의 조건에서 약 6주 이상의 미생물학적 품질 안전성을 나타내었으며 위축률, 수분감소, 경도 등의 이화학적 품질에서도 개선효과가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 직후에는 감마선 조사 복숭아와 비조사 시료간의 관능특성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보존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마선 조사시료의 선호도가 비조사 시료보다 더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와 냉장보존을 병용할 경우, 상온 1주 이하인 복숭아의 미생물학적 보존기한을 4주 이상으로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