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uli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수확 후 과실류에 발생하는 진균독소의 탐색 및 방제 II. 사과, 배, 귤, 포도의 저장중에 발생하는 Penicillium 독소 검출과 방제 (Survey and Control of the Occurrence of Mycotoxins from Post-harvest Fruits. II. Detection and Control of the Occurrence of Penicillium Mycotoxins Producing Pathogen in Storaged Fruits (Apple, Pear, Citrus and Grape))

  • 백수봉;정일민;유승헌;김은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9-54
    • /
    • 2000
  • 1. 저장 중 Penicillium에 이병된 사과, 배, 귤, 포도를 TLC 및 HPLC로 주요독소들을 검정한 결과 patulin만 검출되었고, citrinin은 검출되지 않았다. patulin 독소는 사과에서 $5.68\;{\mu}46.81\;{\mu}g/g$, 배에서 $3.48{\sim}84.71\;{\mu}g/g$, 귤에서 $0.16{\sim}0.27\;{\mu}g/g$검출되었으나 포도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2. 과실류 Penicillium 저장 중 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사과, 배, 귤에 대하여 sodium hypochloride gas처리나 열처리$(37^{\circ}C)$에 의하여 방제효과가 켰으며 특히 열처리$(37^{\circ}C)$는 100%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처리에 의한 장해를 보면 열처리$(37^{\circ}C)$에서는 장해가 발생하지 많았으며 sodium hypochloride gas 처리에는 배, 귤에서 장해가 나타났으나 사과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 PDF

오염된 곡물류(밀, 콩, 옥수수)에서 주요 진균독소 검출 (Detection of Major Mycotoxins from Contaminated Cereals (Wheat, Soybean and Corn))

  • 정일민;김은영;백수봉;유승헌
    • 분석과학
    • /
    • 제12권6호
    • /
    • pp.534-539
    • /
    • 1999
  • Penicillium, Aspergillus 및 Fusarium에 오염된 밀(Triticum aestivum L.), 콩(Glycine max Merr), 옥수수(Zea mays L.)에서 HPLC를 이용하여 주요 독소들을 검정하였다. Penicillium 독소인 brefeldin A는 밀에서 3.1~270 ppm, 콩에서 45~230 ppm, 옥수수에서 1030~1240 ppm 다량 검출되었다. Citreoviridin과 griseofulvin은 밀, 콩, 옥수수에서 각각 40~80 ppm과 3.6~26.0 ppm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citrinin과 patulin은 밀, 콩, 옥수수에서 각각 0.3~4.0 ppm과 420~3800 ppm로 검출되었고, 특히 옥수수에서 다량 검출되었다. Aspergillus 독소로 ochratoxin A는 밀에서 730 ppm, 콩에서 12.4 ppm, 옥수수는 310 ppm이 검출되었다.

  • PDF

수확후 채소류에 발생하는 진균독소의 탐색과 방제 (II) 이병된 양념 채소류(양파, 마늘, 고추)에서 주요 진균독소 검출 (Survey and Control of The Occurrence of Mycotoxins from Postharvest Vegetables in Korea (II) Detection of Major Mycotoxins from Diseased Spice Vegetables (Onions, Garlics and Peppers))

  • 정일민;주호종;심성철;백수봉;유승헌
    • 분석과학
    • /
    • 제11권3호
    • /
    • pp.206-212
    • /
    • 1998
  • 수확후 Alternaria, Penicillium 및 Fusarium에 이병된 고추, 양파, 마늘을 HPLC로 주요독소들을 검정한 결과 고추에서 Alternaria 독소의 AOH(alternariol)는 소량~$400{\mu}g/g$, ALT(alternuene)는 소량~$103{\mu}g/g$, TeA(tenuagonic acid)는 $249{\sim}342{\mu}g/g$ 및 AME(alternariol monomethyl ether)는 $206{\sim}294{\mu}g/g$이 검출되었고 양파, 마늘에서 Penicillium 독소의 citrinin이 $2.8{\sim}18.4{\mu}g/g$, penicillin-G는 $0{\sim}439.0{\mu}g/g$, penicillic acid는 $0{\sim}10.2{\mu}g/g$ 및 patulin은 $0{\sim}7.0{\mu}g/g$ 검출되었다. 그리고 양파, 마늘에서 Fusarium 독소로는 fusaric acid가 $0{\sim}553.6{\mu}g/g$ 검출되었을 뿐 deoxynivalenol과 nivalenol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Prevalence of Mycotoxins and Their Consequences on Human Health

  • Omotayo, Oluwadara Pelumi;Omotayo, Abiodun Olusola;Mwanza, Mulunda;Babalola, Olubukola Oluranti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1-7
    • /
    • 2019
  • Mycotoxin contamination is a global phenomenon and causes a wide array of negative effects and other complications. This study focused on commonly found mycotoxins in Africa and the possible means of prevention or reduction of their contaminating effects. Mycotoxins are secondary metabolites of mold and fungi; they are generally toxic to living organisms. Hundreds of mycotoxins have been identified thus far, with some, such as aflatoxins, ochratoxins, trichothecenes, zearalenone, fumonisins, and patulin, considered agro-economically important. Several factors contribute to the presence of mycotoxins in food, such as climatic conditions, pest infestation, and poor harvest and storage practices. Exposure to mycotoxins, which occurs mostly by ingestion, leads to various diseases, such as mycotoxicoses and mycoses that may eventually result in death. In light of this, this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focuses on mycotoxin contamination, as well as various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ir prevalence, to avert its debilitating consequences on human health. Clear evidence of mycotoxin contamination is present in Africa, and it was therefore recommended that adequate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se toxic substances in our food system should be encouraged and that appropriate measures must be taken to ensure food safety as well as the enhanced or long-lifespan of the African populace. Governments, research institu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should tailor the limited resources available to tackle mycotoxin prevalence, as these will offer the best prospects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food system in Africa.

식품 중 곰팡이독소 안전기준 관리 (Administration of Mycotoxins in Food in Korea)

  • 강길진;김혜정;이연경;정경희;한상배;박선희;오혜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1-288
    • /
    • 2010
  • 식품 중 아플라톡신 ($B_1+B_2+G_1+G_2$)의 기준은 곡류, 두류, 땅콩, 견과류 및 그 단순가공품 (분쇄, 절단 등), 곡류 가공품 및 두류가공품, 과자류 (땅콩 또는 견과류 함유식품), 장류, 고춧가루, 팝콘용 옥수수가공품, 기타 식품류 (찐쌀)에 대하여 15 ($B_1$은 10)${\mu}g/kg$ 이하로, 원유 및 우유류 중 아플라톡신의 기준은 $M_1$으로서 0.5 ${\mu}g/kg$ 이하로 설정되었다. 사과주스, 사과주스 농축액 중 파튤린의 기준은 50 ${\mu}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오크라톡신 A의 기준은 밀, 호밀, 보리, 커피콩, 북은 커피에 5 ${\mu}g/kg$, 인스턴트커피, 건포도 중 10 ${\mu}g/kg$, 포도주스, 포도주스 농축액, 포도주 중 2 ${\mu}g/kg$ 이하로 설정되었고, 푸모니신($B_1+B_2$)은 옥수수 중 4 mg/kg, 옥수수 단순가공품 및 옥수수 가루 중 2 mg/kg, 옥수수 가공품 중 1 mg/kg 이하로 설정되었다. 현재 식품 중 곰팡이독소에 대한 안전관리는 노출량 조사와 위해평가를 통해 합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설정되어 관리하고 있다.

곰팡이 생육 및 곰팡이 독소 생산의 억제에 있어서의 유산균의 역할 (The Roles of Lactic Acid Bacteria for Control of Fungal Growth and Mycotoxins)

  • 김지후;이희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128-1139
    • /
    • 2020
  • 최근 기후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서 식품과 농산물에 Aspergillus, Fusarium 및 Penicillium속에 해당하는 곰팡이에 의한 오염이 빈번하고 이들에 의해 생성되는 aflatoxins, fumonisins, ochratoxins, patulin, trichothecenes, zearalenone등의 곰팡이 독소로 인해서 인간의 건강에 위해를 끼치고 또한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하고 있다. 최근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으로 인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프로피온산 및 소브산과 같은 보존료에 대한 거부감이 증가하고 있어 천연의 소재로부터 이를 대체할 만한 항진균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총설에서는 곰팡이의 생육 및 독소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생물학적 방법으로 유산균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유산균은 저분자 화합물인 유기산, reuterin, 단백질 유래 화합물, 하이드록시 지방산, 페놀 화합물과 같은 다양한 대사산물을 통하여 곰팡이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고 있으며, 또한 유산균의 세포벽 구성성분과의 흡착, 곰팡이 독소의 분해 및 곰팡이 독소의 생산 저해 등을 통하여 곰팡이 독소의 생산을 감소시키고 있는 사실이 제시되고 있다. 유산균은 다양한 종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대사산물을 생산하고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곰팡이의 생육 및 독소 생산을 제어할 수 있는 잠재력 갖추고 있으므로, 유산균은 식품에 있어서 곰팡이의 생육을 조절하는 소재로서 주목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