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tern of women's work transi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2초

여성취업이행 경로의 생애과정 씨퀀스(sequence) 분석 (Sequence Analysis in Women's Work Transition)

  • 은기수;박수미
    • 한국인구학
    • /
    • 제25권2호
    • /
    • pp.107-138
    • /
    • 2002
  • 여성들의 경제활동 상태는 '가족주기'와 같은 '생애과정'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경력단절 경향이 강하다. 이 연구는 한국여성의 취업유형을 규명하는 데, 특히 여성들의 생애과정 씨퀀스(sequence)가 갖는 효과를 중심으로 여성들의 취업 이행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여성들의 경제활동상의 지위 변화에는 과거의 일회적인 사건의 효과 이상으로 과거 생애과정에 축적된 연계의 효과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연구가설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 연구가설은, 생애과정 씨퀀스별로 구분되는 여성들의 네 개의 취업경력 유형들 사이에 유의미한 사회.인구학적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두 번째 연구가설은, 생애과정 씨퀀스의 배열 순서에 따라 여성들의 취업 이행 과정은 매우 다를 것이라는 점이다. 이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여성취업실태조사자료 가운데 취업력 및 생활사에 대한 종단적 자료를 일원변량분석 및 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취업경력 유형에 따라 구분된 '연속취업형', '불연속취업형', '비경제활동형', '결혼후 퇴장형'의 네 집단간에는 연령, 학력, 자격증 소지 여부, 부모의 인적자본, 건강 상태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생애과정 씨퀀스의 배열 순서에 따라 구분된'취업후 결혼형'과'결혼후 취업형'은 취업 진입과 취업 단절 행위에서 매우 구별되는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서, 여성들 내부의 경제활동상의 이질적인 집단의 구분과 각 집단 내부 여성들의 다양한 취업 경로를 규명하는 데, 생애과정 씨퀀스가 중요한 설명변수로 작용함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폐경단계별 근골격계 통증, 폐경증상 및 우울 (Musculoskeletal Pains, Menopausal Symptoms and Depression by Women's Menopausal Stage)

  • 장현정;안숙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8-16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usculoskeletal pain, menopausal symptoms and depression by women's menopausal stage. Method: With a survey design, a convenience sample of 203 women between age of 40 to 64 was recruited through a community. Data were collected via a structured study questionnaire from May to July, 2008. Measures included with symptom severity list for menopausal symptoms, Aches and Pains scale, and Beck's Depression Inventory. Results: Thirty-seven percent of women belong to early peri-menopausal stage, 31% to late peri-menopausal stage, and 32% to postmenopausal stage. By group comparison, late peri-menopausal and post menopausal women reported higher scores of depression than early peri-menopausal women. Postmenopausal women had greater scores in two pain subscales (bodily pain and pain that interferes with normal work) and two menopausal symptoms subscales (sleep pattern and sexual behaviors) than early peri-menopausal women. There were moderate levels of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study variables at each menopausal stage. Conclusion: Postmenopausal women seem to have greater musculoskeletal pain and menopausal symptoms, and have depression more than did early peri-menopausal women. Tailored nursing strategies are required to reduce these kinds of common symptoms for women with menopausal transition to improve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