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ient safety accident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9초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 유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Nurses' Experiences of Accidents in Patient Safety)

  • 이태경;김은영;김나현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47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nurses' experiences of accidents in patient safe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8, 2011 to January 31, 2012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nurses who had worked on wards or in the ICU in a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Results: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were extracted: Fear of the patient's condition caused by the accident, Conflict in the accident report, Blame on others and circumstances, Feeling guilty and sorry as the patient's condition is improving, Being disappointed with the unfavorable atmosphere in dealing with the accident, After the accident, being sensitive in performing nursing duties and being faithful to the principl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hospital related to accidents in patient safety is still closed and punitive, and such an atmosphere causes nurses to feel seriously hurt, but through this experience nurses are likely to mature as nursing professionals. Programs on prevention of accidents in patient safety and a system to guard against these accidents should be established. Also the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should be improved.

환자안전문화 인식에 따른 안전사고발생 (Safety Accident Occurrence to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 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7-124
    • /
    • 2012
  • 본 연구는 환자안전문화 인식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알아보고 환자안전문화의 관계를 파악하여 환자안전문화 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병원의 간호사 1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1년 11월 10일부터 11월 15일 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평균 3.46점이었고, 세 가지 영역에서는, 병동의 환자안전문화 점수와 병원조직의 환자안전문화 점수 및 병동의 안전의식 수준의 점수는 각각 $3.59{\pm}0.3$점, $3.41{\pm}0.5$점, $3.41{\pm}0.4$점 이었다. 환자안전사고 발생은 간호사의 안전교육 경험과 병원근무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문화 인식점수는 간호사의 결혼상태, 안전교육, 직무 만족도,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사고 발생은 간호사의 안전교육경험과 근무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의 안전사고발생은 간호사의 안전교육과 병동의 환자안전문화, 병원조직의 환자안전문화, 병동의 안전의식수과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환자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고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간호사의 안전교육과 직업만족도를 증가시키고, 간호사의 건강상태를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환자안전사고에 의한 손상환자의 병원내 사망 관련 요인 : 2013-2017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 활용 (Factors Related to In-Hospital Death of Injured Patients by Patient Safety Accident : Using 2013-2017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 김상미;이현숙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25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analysis factors related to in-hospital death of injured patients by patient safety accident. A total of 1,529 inpatients were selected from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atabase(2013-2017). Frequency, Fisher's exact test, t-test, ANOVA,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by using STATA 12.0 were performed.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ortality rate was lower for female than male but the mortality rate was higher for the older age, the higher the CCI, head (or neck), multiple, systemic damage sites, internal and others, metropolitan cities based on Seoul and 300-499 based on the bed size of 100-299.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in-depth investigation of discharge damage from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s a data source for the patient safety survey conducted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of patient safety accident types, frequency, and trends should be reviewed. Also, it is necessary to prevent injury and minimize death by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death after injury by patient safety accident.

2차 자료(한국소비자원, 현대해상화재 배상보험)에 나타난 치과의료분쟁 현황 (The current status of dental dispute: Centered on the 2nd data(Korea Consumer Agency, Med-in))

  • 안용순;안은숙;궁화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2호
    • /
    • pp.96-102
    • /
    • 2015
  • There is a need to comprehend dental accidents accurately, and construct patient-safety-system in order to prevent consistently increasing dental accident or dispute. 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n efficient counterplain by looking through and classifying already occurred dental accidents from an angle of patient safety. Recently, the number of dispute on dental implant was the highest according to rapid growth of dental implant. As a result of classifying dental accidents by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Patient Safety (ICPS), it is confirmed that cause of accident is different by each type of dental treatment. It is expected to help preventing and managing dental disputes properly by studying actual state of dental disputes in perspective of patient safety. Effort to reduce dental accidents and activity to pursue patient safety have thread in connection. I believe that financial profits of dental clinic and improvement of quality in dental treatment can be achieved through these efforts.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방사선사의 인식도 조사 (A Survey on Perception Level of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s about Culture of Patient Safety)

  • 전민철;김영일;장재욱;한만석;서선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423-430
    • /
    • 2014
  •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종합병원 방사선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방사선사의 환자안전관리를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안전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종합병원 방사선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2012년 6월 13일부터 6월 20일까지 대전광역시 소재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들을 대상으로 19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SPSS 19.0v). 환자안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부서 내, 직속상관, 의사소통, 의료사고, 병원 별, 환자안전도에 대한 안전문화와 보고된 사고, 위험하다고 느끼는 환자 안전사고, 가장 많이 발생한 환자 안전사고를 평가한 결과 의료사고 보고체계에 따른 환자안전 문화에 관한 인식에서는 근무기간 25년 이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환자안전도 평가에서는 근무기간 10년~15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종합병원 방사선사의 환자안전문화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인력 배치, 환자안전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 그리고 안전사고의 재발 방지를 위해 방사선사의 근무기간을 고려한 임무 부여 등으로 체계적인 의료사고 보고 체계를 활성 시켜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역량과 환자안전관리 행위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Practice)

  • 박정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16-223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역량이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환자안전관리 행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참여자는 1년 이상 학생 간호사로 임상 실습을 받은 293명의 4학년 간호대학생이다. 데이터는 2018년 4월 26일부터 5월 9일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 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역량은 평균 $2.90{\pm}0.38$점 (환자안전 지식 $2.68{\pm}0.65$, 환자안전 기술 $3.26{\pm}0.56$, 환자안전 태도 $2.75{\pm}0.40$)이었다. 환자안전관리 행위 점수는 평균 $4.13{\pm}0.57$점이었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지식, 기술, 태도 및 환자안전관리 행위 간의 상관관계에서, 기술 및 관리 행위는 r=.337, p<.001, 태도 및 관리 행위는 r=-.150, p=.010, 지식 및 관리 행위는 r=.171, p=.003이었다. 대학생의 환자안전 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 기술(${\beta}=.307$, p<.001), 화재에 대한 안전사고 경험(${\beta}=-.127$, p=.026), 환자안전 태도(${\beta}=-.121$, p=.026), 환자교육에 대한 안전사고 경험(${\beta}=-.119$, p=.034)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5.7%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고, 환자안전관리 행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일 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the General Hospital Nurse's)

  • 김화영;김혜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3-422
    • /
    • 2011
  • Purpose: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was done to identify how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general hospital nurses affects safety during nursing activities. Data from this study should provide information on management of patient safety as well as improvement in patient safety. Metho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57 clinical nurses working in a general hospital in M city which had two medical evaluations.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the data. Results: The score for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the general hospital nurses was 3.42, out of a possible 5 points, and the score for safety care activities was 3.90.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Supervisor/manager, communication and procedures, and frequency of accident reporting were factors that impacted significantly on safety nursing activ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patient safety cultural perception significantly affects the safety of nursing activities and thus systematic educational strategies to increase perception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the level of patient safety culture. Also, other specific methods that increase the level of patient safety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안전과학 패러다임의 전환과 환자안전의 개선 (What Will We Learn from the Paradigm Shift in Safety Science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 이상일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
    • /
    • 2021
  • Patient safety remains one of the most important health care issues in Korea. To improve patient safety, we have introduced concepts from the field of safety science such as the Swiss cheese model, and adopted several methodologies previously used in other industries, including incident reporting systems, root cause analysis, and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This approach has enabled substantial progress in patient safety to be made through undertaking patient safety improvement activities in hospitals that are systems-based, rather than individual-based. However, these methods have the shared limitation of focusing on negative consequences of patient safety. Therefore, the paradigm shift from Safety I to Safety-II in safety science becomes the focus of our discussion. We believe that Safety-II will complement, rather than replace, Safety-I in the discipline of patient safety. In order to continuously advance patient safety practices in Korea, it is necessary that Korea keeps abreast of the recent global trends and development in safety science. In addition, more focus should be placed on testing the feasibility of new patient safety approaches in real-world situations.

Near Miss 사고 예방 활동과 환자안전관리 문화형성이 환자안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ear Miss and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and the Cultur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for the Patient Safety)

  • 장호석;이귀원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138-144
    • /
    • 2010
  • 급변하는 의료환경 속에서도 변함없이 의료기관들은 환자 안전관리 부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환자안전관리는 사후관리와 처벌이 강조된 프로세스들로 조직원들의 참여성이 결여된 문제를 보이고 있다. 본원 핵의학과 에서는 참여형 니어미스 사고예방 활동을 시행하여 환자안전사고에 사전관리를 시작하고 사고보고에 따른 불이익이 없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니어미스 감소 와 환자안전사고 제로화를 목적으로 본 연구을 시작하였다. 또한 핵의학과만의 차별화된 환자안전관리System구축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1. 팀원들의 과거 니어미스 및 현재 발생되고 있는 니어미스와 사고 사례수집(1차 자료수집). 2. 설문을 통해 중요도, 긴급도를 파악하고 니어미스 및 사고사례를 정량화(2차 자료수집). 3. 자료 분석을 통한 중요 접점 파악과 사고 사례 정량화. 4. 중요 접점 부분에 대한 매뉴얼 제작과 표준화, 오류방지를 위한 참여형 개선활동 시행. 5. 니어미스 보고체계 구축을 위한 웹 기반 커뮤니티 활동. 6. 설문과 FGI를 통해 활동 전후 평가 시행. 1) 비계량적이었던 핵의학과 내 안전사고 및 니어미스를 계량화(월 50여 회의 니어미스와 년 1건의 안전사고발생) 2) 계량화된 데이터를 통해 개선방안을 수립(0여건의 참여형 개선활동, 프로세스 개선, 표준화를 위한 약속 매뉴얼 제작) 3) 안전문화 시스템을 형성하고 팀원들의 높은 관여도를 형성.(보고체계구축, 체크리스트 제작, 안전문화 슬로건 제작, 평가 인덱스 구축) 4) 니어미스 및 사고 사례를 공유하고 반면교사로 삼기 위한 커뮤니티 개설. 5) 활동 전후 니어미스 발생률은 50% 감소 하였고 안전사고 제로. 핵의학과의 최고의 서비스는 환자안전이 보장된 양질의 검사와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참여형 개선활동으로 니어미스사고를 예방하고 안전문화를 형성하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니어미스 발생 사례는 50% 줄었으며 안전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환자안전사고의 사전관리란 측면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또한 불이익이 없는 사고보고체계도 마련하여 솔직하게 보고하고 인정하는 문화도 만든 계기가 되었다. 기본에 충실한 뛰어난 시스템은 환자에게 제공되는 최고의 서비스이며 형성된 안전문화 시스템은 결국 고객만족으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원 핵의학과 에서는 마련된 시스템을 정착하고 안정시켜 차별화된 환자안전문화를 형성해 나가고자 한다.

  • PDF

환자안전사고 보고서를 통한 간호사 투약오류 분석 (Analysis of Medication Errors of Nurses by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s)

  • 구미지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1호
    • /
    • pp.109-119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urses' medication errors during three years. Methods: Retrospective survey study design was used to analyze medication errors by nurses among patient safety accidents. Data were collected for three years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𝑥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 26.0 program. Results: Of a total 677 medication errors, 40.6% were caused by nurses. Among the medication errors, near miss (n=154, 56.0%), intravenous bolus injection (n=170, 61.8%), wrong dose (n=102, 37.1%) and carelessness for repetitive work (n=98, 35.6%) were the most common. Medication errors differed by department, and nurses' career, and patient safety accident type.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factors of adverse events were medication of fluids (OR=3.93, 95% CI: 1.26~12.27), insulin subcutaneous injection (OR=39.06, 95% CI: 4.58~333.18), and occurrence of extravasation/infiltration (OR=7.26, 95% CI: 1.85~28.53). Conclusion: The simplest and most effective way to prevent medication errors is to keep 5 right, and a differentiated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department and nurse career is needed rather than general education programs. Hospital-level integrated interventions such as a medication barcode system or a team nursing method are also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