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sword

검색결과 890건 처리시간 0.028초

SVM 기반의 효율적인 신분위장기법 탐지 (Efficient Masquerade Detection Based on SVM)

  • 김한성;권영희;차성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91-104
    • /
    • 2003
  • 다른 사용자의 계정, 디렉터리, 또는 파일을 침해하는 동안 그 사용자인 척 하거나, 컴퓨터 시스템에서 다른 사용자인 것처럼 자신의 신원을 숨기는 사람을 "신분위장자(masquerader)"라고 한다. "신분위장 공격(masquerade attack)"은 가장 심각한 형태의 컴퓨터 오용(misuse)이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경우 여러 가지 방법으로 타인의 패스워드 등을 확보하여 인증절차를 통과한 후이므로 이후에 발생하는 컴퓨터의 오용내지 남용에 대하여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탐지,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신분위장자를 자동적으로 발견하기 위한 노력이 "신분위장기법 탐지 (masquerade detection)"인데 통상 시스템 감사 데이터로부터 만든 정상 사용자 행동의 프로파일에 대한 심각한 위반을 찾아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탐지할 수 있다. 1988년 이후 본격적으로 이에 대한 연구들이 있었지만 현재까지 이러한 접근법에 대한 성공은 제한적이었고, 성능 또한 만족스럽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 사용자 프로파일을 만들고, 이를 이용한 효과적인 신분위장기법 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용한 효과적인 신분위장기법 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보안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취약점 분석과 CC v3.1 기반의 보호프로파일 개발 (Analysis on Vulnerability of Secure USB Flash Drive and Development Protection Profile based on Common Criteria Version 3.1)

  • 정한재;최윤성;전웅렬;양비;원동호;김승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99-119
    • /
    • 2007
  • USB 플래시 드라이브는 대용량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고 데이터의 전송속도도 빠르며. 또한 휴대가 간편하여 휴대용 저장장치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보안 기능이 없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는 사용 중에 분실하면 저장되어 있는 모든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접근제어 기능이 있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가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6가지의 보안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접근제어 프로그램을 분석하며, 접근제어용 비밀번호가 USB 통신 과정에서 노출되는 취약점과 초기화 기능의 악용에 관한 취약점을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공통평가기준 3.1기반의 보안 USB 플래시 드라이브 보호프로파일을 개발하고, 6 가지 보안 USB 플래시 메모리 제품에서 발생 가능한 위협과 보호프로 파일에서 도출한 보안목적의 제공 여부를 살펴본다.

3차원 기하학적 해싱을 이용한 퍼지볼트에서의 지문 정합 (A fingerprint Alignment with a 3D Geometric Hashing Table based on the fuzzy Fingerprint Vault)

  • 이성주;문대성;김학재;이옥연;정용화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1-21
    • /
    • 2008
  • 바이오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은 일반적인 패스워드 기반 시스템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바이오정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은 높은 보안성과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암호학과 바이오정보 분야를 암호-바이오(crypto-biometric)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연구되고 있다. 최근 퍼지볼트라 불리는 암호-바이오 시스템이 보고되고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중요한 비밀키와 바이오정보를 통합하여 정당한 사용자만이 비밀키를 획득 할 수 있도록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에서는 바이오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추가되는 거짓 특징점의 개수가 제한되어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기하학적 해쉬 테이블을 이용하여 보안성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정보 없이 보호된 지문 템플릿에서 자동으로 지문 정렬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3차원 지문 퍼지볼트 기법이 추가적인 정보 없이 역변환이 불가능한 변환된 영역상에서 자동으로 지문 정렬을 수행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인 콘텐츠 접근제어 기능을 갖는 개선된 AACS 보안 Framework (Improvement of AACS Security Framework with Access Control to Personal Contents)

  • 김대엽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67-174
    • /
    • 2008
  • 디지털 카메라와 캠코더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 사용자들의 UCC(User Created Contents) 역시 일반화 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른 사생활 침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UCC는 인터넷 포탈 서비스를 통해 공유될 뿐 아니라 DVD(Digital Versatile/Video Disk)와 같은 저장매체(Recordable Media, 이하 Media)를 이용하여 보관된다. 포탈 서비스를 이용해서 콘텐츠를 게시하는 경우 포탈 시스템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증 및 불법 다운로드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사생활 침해를 부분적으로 막을 수 있다. Media의 경우도 불법복제 제어기술을 채택하고 있지만, Media의 도난 또는 분실로 인한 콘텐츠 유출과 사생활 침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현재로서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Media를 이용하여 개인 콘텐츠를 관리하는 경우에도 사생활 침해를 막을 수 있는 추가적인 보안 기술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Media 보안을 위해 제정된 AACS(Advanced Access Content System)의 Framework을 살펴보고 개인 콘텐츠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는 개선된 AACS 보안 Framework을 제안한다.

공개키 인증서를 사용하지 않는 전방향 안전성을 보장하는 E-mail 프로토콜 (An E-Mail Protocol Providing Forward Secrecy without Using Certificated Public Keys)

  • 권정옥;구영주;정익래;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11
    • /
    • 2009
  • 이메일 시스템에서 전방향 안전성(forward secrecy)이란, 메일 사용자와 메일 서버가 장기간 사용하는 비밀키(long-term key)가 노출되더라도 이전 세션들에서 전송된 이메일 메시지의 기밀성(confidentiality)이 보장되는 것을 말한다. 기존 전방향 안전성을 지원하는 이메일 프로토콜들에서는 사용자의 공개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공개키에 대한 인증을 위해서는 공개키 기반구조(PKI, Public Key Infrastructure)의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PKI의 구축이 필요 없이, 사용자의 메일 계정의 패스워드만을 이용하는 전방향 안전성을 보장하는 패스워드 기반의 이메일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패스워드 기반의 이메일 프로토콜은 인증된 공개키가 필요 없으므로 제한된 자원의 모바일 환경 등에 적합하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SIP 사용자 인증 및 키 교환 (Efficient and Secure User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In SIP Networks)

  • 최재덕;정수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73-8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SIP UA와 서버 사이에서 HTTP Digest 인증과 TLS를 대신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사용자 인증 및 키 교환 기술을 제안한다. 기존에 다양한 SIP 인증 및 키 교환 기술들이 연구되었지만, 이동 단말과 같이 자원 활용이 한정적인 SIP UA에서 암호학적 연산량에 대한 부담이 여전히 존재한다. 제안 기술은 HTTP Digest 인증 기법의 사전 공격 문제를 해결하고 홉 간 보안을 위하여 Diffie-Hellman 키 교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자원이 충분하지 않은 SIP UA에서 수행해야 하는 Diffie-Hellman 알고리즘의 지수 모듈러 연산을 SIP 서버에게 위임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SIP 서버에게 위임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안 기뎁이 기존 기법틀보다 암호학적 연산량에 대한 에너지 소모량이 적다. 제안 기술은 SIP 포준 인증 절차를 크게 수정하지 않고 필요한 인증 파라미터만을 추가하여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SIP 환경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일회성 암호를 이용한 효율적이고 안전한 SIP 사용자 인증 및 SDP 암호화 기법 (Efficient and Secure User Authentication and SDP Encryption Method in SIP)

  • 김정제;정만현;조재익;손태식;문종섭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63-47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일회성 암호를 이용한 SIP UA와 서버 사이의 상호 인증 및 SDP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HTTP Digest 인증 기법의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SIP 인증 기법이 연구되었지만, 여전히 취약성이 존재하거나 암호학적 연산량에 대한 부담이 존재한다. 제안 기술은 매 인증마다 해쉬함수를 사용하여 갱신되는 일회성 암호를 사용하여 복잡한 암호학적 연산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일회성 암호를 통해 SIP 메시지의 무결성 검증 및 SDP 암/복호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메시지 교환 과정에서 S/MIME, TLS 적용 시 발생하는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POS시스템 내 소프트웨어 무결성 검증 방안 (Software integrity verification method in POS system)

  • 조성아;김성훈;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987-997
    • /
    • 2012
  • POS단말기란 카드결제 가맹점의 판매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카드결제 기능이 함께 탑재되어 있어 판매 및 고객관리에 편의성을 제공해준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많은 가맹점들이 POS단말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내부에 저장된 매출정보, 카드유효기간, 비밀번호, 카드 검증 값 등과 같은 결제정보가 외부의 해킹이나 내부자의 부정으로 인해 카드회원 신용정보 유출 및 위조카드 등과 같은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어 해결책이 시급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POS단말기의 해킹 및 위 변조로 인해 발생하는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된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화이트 리스트 기반의 POS 시스템 내 소프트웨어 무결성 검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소프트웨어의 무결성을 제공하여 현재 암호화와 보안 솔루션에 의해 검증되어 설치된 프로그램의 변조를 방지하여 외부로부터의 위협 뿐 아니라 내부자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 및 부정사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서버 접근 통제를 위한 위치기반 인증 기법 (Location-Based Authentication Mechanism for Server Access Control)

  • 최정민;조관태;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271-1282
    • /
    • 2012
  • 최근 기업의 기밀정보 및 개인정보의 대량 유출에 따른 보안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내부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인증 강화와 접근통제 관련 보안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인증 요소로 활용하는 위치기반인증은 접근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물리적 통제와 더욱 강력한 인증을 제공하고 내부 정보 유출 경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위치정보는 또 하나의 개인 식별 정보로써 인증 수행 시 안전하게 처리되어야 하며, 사용자 위치정보의 특성을 이용하여 유연한 물리적 통제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위치기반 인증 기법은 기존 관련 위치기반인증 프로토콜과 비교하여 위치정보 처리 과정의 안정성을 높이고, 최종 사용자 인증에 일회용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강화한다. 제안된 기법은 내부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인증 수행과 함께 사용자의 물리적 접근 통제의 개념을 접목시켜 기존 연구보다 높은 보안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낮은 통신비용을 보장한다.

소프트웨어 기반 보안 USB에 대한 취약성 분석 방법론 (Vulnerability Analysis Method of Software-based Secure USB)

  • 김민호;황현욱;김기범;장태주;김민수;노봉남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345-1354
    • /
    • 2012
  • USB 메모리가 보편화됨에 따라 보안 USB 제품들이 일반화 되고 있다. 보안 USB는 장치 기반의 접근제어, 저장된 파일의 암호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보호하고 있다. 따라서 포렌식 관점에서 분석자가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여 데이터 복호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이 적용된 이동식 저장 매체에 대한 취약성 검증을 위해 소프트웨어 방식의 데이터 암 복호화 기술을 연구하고 이에 대한 분석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보안 메커니즘이 적용된 USB 저장장치를 대상으로 데이터 복호화를 위한 취약점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암호화가 적용된 보안 USB 제품에 대해서 패스워드 없이 원본 파일을 추출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