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senger ship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7초

조타장치 사고 재결서 분석과 NAS 3350 시험을 통한 카페리 여객선 타두재와 틸러 체결 너트 풀림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assenger Ship Rudder Stock and Tiller Locking Nut Loosening by Analyzing an Investigation Report and the NAS 3350 Test)

  • 강대곤;김신효;박재학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53-259
    • /
    • 2018
  • 2014년 2월 여객선의 타두재 상단 너트가 풀려 타가 작동하지 않은 사고가 발생하였다. 많은 여객과 화물의 이동을 목적으로 하는 여객선의 조타 장치 사고로 인한 인명사고는 통계에 의하면 2010~2016년 0명이지만 조타장치의 고장으로 선박의 요건인 이동성을 갖추지 못한다면 물살이 거센 해역이나 출입항 선박이 많은 협수로에서는 선박의 조종에 대한 제약으로 인명사고의 비율이 높은 전복 사고나 충돌 사고로 발전할 수 있다. "선박안전법" 및 관련 고시인 "강선의구조기준"에는 타판과 타심재의 체결에 관련된 내용은 기준화 되어있으나 타 빠짐의 원인이 되는 상부 타두재와 너트의 체결에 대해서는 별도의 법령이 없다. 사고 이후 한국선급은 강선규칙 5편 제7장에 결합방법에 대해 개정을 하였다. 목포항과 주변 섬을 운항하는 여객선 12척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 대부분 C형타 2개가 설치된 구조였으며, 체결방법으로는 9척이 용접에 의한 체결 방법을 적용하고 있었고 선박 자체적으로 예방 점검을 위해 체결 개소에 접근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었다. 1년에 한 번씩 타를 들어 올리거나 빼내야 하는 여객선의 특성을 고려하여 동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NAS 3350 시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기반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크루즈선 승무원 지원 시스템 개념연구 (Conceptual Design of Crew Support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for Cruise Ship)

  • 강희진;이동곤;박범진;백부근;조성락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6권6호
    • /
    • pp.631-640
    • /
    • 2009
  • The highest priority of the cruise trip is the safety and comfort of its passengers. Though the cruise lines take every appropriate measure to ensure that their Passengers are safe and experience enjoyable vacations it is hard to fulfill all passenger's personnel requirement with limited number of crews. Generally, each passenger is issued an identification card which contains their digital photo and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magnetic strip that he or she must present when entering or leaving the ship. This technology allows the ship to know which Passengers and crew members are on board and which are not. However, this system has some limitations of functions and usage. To support each passenger as his or her personal liking, additional number of crews or some kind of new system is needed. In this paper, the crew support system based on sensor network using wireless and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as studied. To design the system, PLC(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ZigBee based passenger location recognition, classification system has studied experimentally. By using this system, crews can serve passengers more closely and personally with less effort.

연안여객선 일반 승선자의 보행속도 실측(II) -비숙련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실험- (A Measurement of Passengers' Walking Speed on Passenger Ship(II))

  • 황광일;손병훈;나욱정;안창환;홍원화;이수호;구재혁;전병청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2년도 전기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6-207
    • /
    • 2012
  • 여객선에서 불특정 일반 승선자의 피난성능 향상과 인명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선박 내에서 피난자를 안전한 곳으로 유도하는 지능형 스마트카드 개발에 앞서 승선자의 피난특성을 연구해야 한다. 이에 비숙련 일반인을 대상으로 피난특성의 기본이 되는 보행속도 측정 데이터를 실측하였다.

  • PDF

대형 크루즈 선박의 승객거주구역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e Planning of Passenger Accommodation Area in Large Cruise Ship)

  • 이한석;박명규;한창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호
    • /
    • pp.9-16
    • /
    • 2000
  • year in Europe and Asia.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new ships continues at a great rate. There is a definite trend toward either large ships or smaller, more luxurious vessels in cruise industry. The day to design and build the large cruise vessel is coming to Korean shipyards, sooner or later. The most important thing to design large cruise vessel is to have a correct comprehension about the feature of cruise vessel, especially of the passenger accommodation area in cruise vessel. This paper is on the spatial features of the passenger accommodation area in cruise vessel. General arrangement drawings, deck plans and technical data of the newest large cruise ships are analysed to understand the spatial features and induce the direction of space planning of passenger accommodation area for the large cruise ship of tomorrow.

  • PDF

Hull form design for the fore-body of medium-sized passenger ship with gooseneck bulb

  • Yu, Jin-Won;Lee, Young-Gill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9권5호
    • /
    • pp.577-587
    • /
    • 2017
  • The recent IMO MEPC regulation on EEDI, EEOI and increased fuel cost has worsened the financial condition of the small and medium sized passenger ferry companies, and it is situated to acquire the economic ships with a pretty high resistance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design method on the efficient gooseneck bulb for the middle-sized passenger ferry operated in the Far East Asian seas. The hull forms are designed by varying the gooseneck bulb parameters to find the changes on the resistan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hape of bulb. The numerical series tests are made to derive the regression equation for estimating the resistance through analyzing the data statistically. This equation is set as an objective function, and then using the optimization algorithm searches for the optimal combination of the design variables. After a hull form is designed corresponding to optimized parameters.

여객선 공영제 도입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troduction Method of Passenger Ship Public Operating System)

  • 신해미;노창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7-168
    • /
    • 2014
  • 연안여객선은 도서민의 감소로 인한 경영수지악화로 신규선 투입과 운항 횟수 증가와 같은 서비스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안전관리의 미흡과 낮은 임금 및 근로 환경의 문제로 우수 선원의 수급이 어려워 선박 운항의 안전성 또한 문제가 되고 있다. 공공성과 안전성 확보를 위해 공영제를 도입한 운영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여러 현실적 제약이 있지만 보조항로부터 시행하면서 안전관리 강화 등을 통해 부실한 업체의 면허를 회수해 공영항로를 확보해 간다면 공영제를 통한 운영체계 개선이 가능할 것이다.

  • PDF

여객선 외관 디자인의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xterior Design in Passenger Ships)

  • 변량선;박재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65-72
    • /
    • 2005
  • 여객선(passenger ships)은 항로와 운쏭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마켓(markets)을 가지고 있다. 승객파 선주의 다양한 요구와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선박 규모와 종류(categories) 따라 독자적인 디자인 스타일을 나타내며 서로 다른 디자인 해결책과 변화를 보이고 있다. 특히 여객선의 외관디자인 스타일은 인테리어 디자인과 함께 선사의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선사의 차별화 되는 디자인과 품질보증에 주력하고 있다. 여객선 외관 입면은 크게 하부(선각, hull)와 상부(superstructure) 그리고 선수 선미부의 디자인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창 환창, 발코니, 퍼널(funnel), 선수 선미부, 노출갑판 그리고 글라스 파사드(glass passed)등은 갑판과 주 수직구획에 의한 공간의 구성 요소에 따라 외관 입면의 구획과 형태가 구별되어 진다. 선박 최상부의 퍼널은 선사만의 독특한 아이콘의 역할로 외관형태와 브랜드 이미지가 잘 결합되어진 총체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보여주며 기능과 형태 그리고 측면에서의 디자인 밸런스 역할을 나타낸다. 해상과 선박기능으로 인한 단조로움과 폐쇄성에 대항하여 외부(바다)로의 개방성, 확장성을 가지며 새로운 개념의 외관스타일로 발전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외관 스타일은 기능과 공간계획과 연관되어 새로운 디자인(피부와 접하는 오픈형 공간, 전면글라스 파사드 등)과 구조형태(초대형 상부구조, 플랫폼, 유선형 선박외형, 여객과 화물의 이동 적재성 기능을 갖춘 해양 건축 구조물 등)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도서관광 활성화를 위한 연안-내륙 연계교통체계 구축 방향 (Suggestions for Building Coast-Inland Linkage Transport System to Promote Island Tourism)

  • 최창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3-59
    • /
    • 2012
  • 자연경관이 우수한 도서지역을 찾는 관광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민소득 수준과 여가시간의 증가로 장래 도서지역 관광객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관광객을 지원하는 관광교통의 측면에서 볼 때 연안여객터미널과 육상교통수단과의 연계교통 효율화는 매우 중요하지만 실상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는 연안여객터미널 위치가 육상교통수단의 터미널과 떨어져 있으며 이를 서로 연결해야 하는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수단의 지원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도서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한 연계교통체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시내버스를 중심으로 하는 연계교통체계의 구축과 보행거리의 최소화, 도서지역 관광특성에 맞도록 여객선 운항계획의 조정, 관광객의 운임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여객선의 대중교통화 방안, 교통수단간 시간적 공간적 연계 및 이를 통합교통정보로 제공하는 방안 등이다.

모델실험에 의한 객실 운동의 능동제어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ctive Control of the Motion of Ship Cabin)

  • 배종국;이재원;주해호;신찬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06-110
    • /
    • 2002
  • A need fer stable and comfortable cabins in the high-speed passenger ships has increased. For active control of the motion of the ship cabin, a few control algorithms have been applied to the three dimensional real models in the vibration basi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feedforward neural network with a linear feedback controller is one of the promising control algorithms for this active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