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le size distribution curve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2초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한 골재의 입도분포곡선 (Gradation Curve of Aggregate using Digital Image Process)

  • 황택진;조재윤;이관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31-37
    • /
    • 2010
  • 본 연구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2차원 이미지를 3차원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형상변환계수 및 등가직경이론을 제안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수정입도분포곡선을 작성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골재는 천연골재(해변자갈) 2종 및 쇄석골재 2종 등 총 4종의 골재를 이용하였다. 4종의 골재에 대한 편평비는 각각 0.30, 0.36, 0.47 및 0.83으로 측정되었다. 형상변환계수는 각각 0.77, 0.78, 0.84 및 0.92로 결정되었다. 형상변환계수에 디지털이미지 처리기법에서 구한 입경을 곱하여 입자의 크기를 보정하였다. 보정된 입자크기를 이용하여 보정된 체적 및 중량을 구하여 수정입도곡선을 작성하였다.

입도분포계수를 이용한 사질토의 최대건조단위중량 예측 (Prediction of Maximum Dry Unit Weight of Sandy Soils From Grain-Size Distribution Parameters)

  • 송영우;진명섭;홍기남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55-64
    • /
    • 2004
  • 최대건조단위중량은 노상토 재료 특성으로서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최대건조단위중량을 예측하는 기존의 모델들은 많은 변수를 포함하고 있어 다소 복잡해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사질토의 최대건조단위중량을 예측할 수 있는 간편한 식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36개 시료를 체분석하여 입도분포를 구하고, 다짐시험 한 후 그 결과를 회귀 분석하였다. 제안식은 변수로 노상토의 기하평균과 기하표준편차 또는 입도분포계수를 포함한다. 제안식의 검증을 위해 전국16개 지역의 채취 시료에 대한 최대건조단위중량의 실측치와 예측치를 비교한 결과 잘 맞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토양수분특성 추정을 위한 입자크기분포 모형들의 비교 (Comparison of Particle-Size Distribution Models for Estimating Water Retention Characteristic)

  • 황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3호
    • /
    • pp.103-114
    • /
    • 2002
  • 불포화토양내 물의 흐름과 유기오염물질의 이동현상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불포화토양의 토양수분곡선을 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입자크기분포로부터 토양수분곡선을 직접 구하는 물리경험적 방법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되고 적용되어왔다. 이 방법은 공극크기분포가 직접적으로 입자크기분포와 상호 연관되어있다는 개념을 이용한 것으로, 입자크기분포곡선을 산정하는 방법이 토양수분곡선추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Arya-Paris 모형을 이용한 토양수분곡선 추정이 어떠한 입자크기분포모형을 선택하는가에 따라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4의 추정변수를 갖는 4개의 입자분포곡선 모형을 사용한 결과 단지 1개의 추정변수를 갖는 Jaky모형이 더 많은 추정변수를 가진 모형보다 토양수분곡선을 잘 예측하였다. Jaky모형의 우월한 예측력은 아마도 현장토양이 가지는 구조적 특성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한 굵은골재의 입도분포곡선 (Gradation Curve of Coarse Aggregate by Digital Image Analysis)

  • 이관호;김영진;황택진;조재윤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1호
    • /
    • pp.69-78
    • /
    • 2011
  • 본 연구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골재입자의 형상을 분류한 것이다.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은 골재의 표면거칠기 및 형상계수 등의 정량적인 분석에 적합한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골재입자는 주문진 표준사, 해양골재 2종, 쇄석골재 2종 등이 이용되었다. 해변자갈I, II의 형상계수는 0.35~0.54, 쇄석I은 0.74의 범위로 박편 형태의 편평상으로 나타나는데 비해 주문진 표준사의 입자의 모양은 세장형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변자갈II는 해변자갈I과 달리 모든 시료보다 세장비가 작으므로 장축과 중축의 차이가 크고, 긴 입자의 형상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체가름 시험 및 실측을 통해 결정된 골재의 세장비 및 편평비와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해 결정된 골재의 세장비 편평비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2차원 이미지를 3차원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형상변환계수 및 등가직경이론을 제안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수정입도분포곡선을 작성하였다. 4종의 골재에 대한 편평비는 각각 0.30, 0.36, 0.47 및 0.83으로 측정되었다. 형상변환계수는 각각 0.77, 0.78, 0.84 및 0.92로 결정되었다. 형상변환계수에 디지털이미지 처리기법에서 구한 입경을 곱하여 입자의 크기를 보정하였다. 보정된 입자크기를 이용하여 보정된 체적 및 중량을 구하여 수정입도곡선을 작성하였다.

모세관 모델을 이용한 불포화토양의 물-가스 접촉면적 및 가스공극 크기분포의 계산 및 검증 (Capillary Bundle Model for the Estimation of Air-water Interfacial Area and the Gas-filled Pore Size Distribution in Unsaturated Soil)

  • 김헌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1호
    • /
    • pp.1-7
    • /
    • 2021
  • Air-water interfacial area is of great importance for the analysis of contaminant mass transfer processes occurring in the soil systems. Capillary bundle model has been proposed to estimate the specific air-water interfacial areas in unsaturated soils. In this study, the measured air-water interfacial areas of a soil (loam) using the gaseous interfacial tracer technique were compared to those from capillary bundle model. The measured values converged to the specific solid surface area (7.6×104 ㎠/㎤) of the soil. However, the simulated air-water interfacial areas based on the capillary bundle model deviated significantly from those measured. The simulated values were substantially over-estimated at low end of the water content range, whereas the model under-estimated the air-water interfacial area for the most of the water content range. This under-estimation is considered to be caused by the nature of the capillary bundle model that replaces the soil pores with a bundle of glass capillaries and thus no surface roughness at the inner surface of the capillaries is taken into account for the estimation of the air-water interfacial area with the capillary bundle model. Subsequently, appropriate correction is necessary for the capillary bundle model to estimate the air-water interfacial area in soils. Since the soil-moisture release curve data is the basis of the capillary bundle model, the model can be of use due to its simplicity, while the gaseous tracer technique requires complicated experimental equipment followed by moment analysis of the breakthrough curves. The size distribution profile of the pores filled with gas estimated by the water retention curve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at of particle size at different size range. The shifted distribution of gas-filled pores toward smaller size side compared to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also found.

농경유역 중소하천에서 유량과 총유사량의 관계식 유도방법 (Derivation Method of Rating Curve and Relationships for Flow Discharge-Total Sediment at Small-Midium Streams in Agrarian Basin)

  • 이종석;김치곤;유의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44-555
    • /
    • 2015
  • 본 연구는 농경유역 중소하천의 주요 지점에서 실측된 현장자료를 사용하여 유량과 총유사량 관계곡선과 이들 간의 관계식을 유도한다. 실측치 총유사량 자료는 수심평균농도와 하상에서 각각의 부유사와 소류사 채취기(DH-48, D-74 및 BLH-84, BL-84)에 의해 채집된 시료를 건조 또는 여과법, 체분석에 의한 입도분포곡선을 통해 얻은 부유사량에 소류사량을 합하여 얻었다. 이들 현장자료는 농경유역 논산수계 내 4개 대상하천의 국가-지방하천 수로구간 7개 측점에서 2012년 8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측정되었다. 그 결과, 유량과 총유사량에 대한 관계곡선과 관계식은 현장측정 자료군의 분포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멱함수형으로 유도하였으며, 이들 관계식은 수공 유사공학의 이론적 연구뿐만 아니라 실무적 응용에 있어 세굴, 퇴적 및 이송을 해석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기 부유분진중의 고무성분 및 납과 아연의 입도별 거동 (Behaviors of Rubber Particles, Lead and Zinc in Atmospheric Particulate Classified by Particle Size Range)

  • 이용근;원정호;김경섭;황규자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0-65
    • /
    • 1986
  • Atmospheric particulates were collected at a site near the front gate of the Yonsei University using nine stages Andersen air sampler and the distribution of seasonal particle size was investigated. Rubber, Pb and Zn contents of the collected particulates in each stage were determine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particulate, which was made by concentration distribution curve method, was us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course (particles larger than 1 - 2 $\mu m in diameter$) and fine (particles smaller than 1 - 2 \mu m in diameter$) groups, regardless of sampling period. More than 80 percent of the total rubber contents in atmospheric particulates were larger than $5 \mu m$ in diameter, meaning that most of rubber particles were originated from tire tread. After benzene extraction for 4 hrs, the extracts were analyzed by Curie-point pyrolysis gas chromatography for rubber content. Pb and Zn contents were determin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rubber particles was $4.2 \mu g/m^3$, which corresponded to 2.2% of the annual average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Average concentration of styrene brtadiene rubber was about five times that of natural rubber.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of Pb and Zn were $1.2 \mu g/m^3 and 0.4 \mu g/m^3$ respectively, which corresponded to about 0.7% and 0.2% of the annual average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 PDF

결합재의 입도분포가 슬래그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Binder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Slag Cement Pastes)

  • 황해정;이승헌;이원준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11
    • /
    • 2007
  •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slag cement pastes by effect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binder were investigated using a Rheostress 1 rheometer (Haake) with a cylindrical spind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luidity particle size distribution using the Rosin-Rammler equation. Samples are combined the two types of slag powder and OPC, fine slag particles sized Elaine specific surface area $8,000cm^2/g$, coarse slag particles sized Elaine specific surface area $2,000cm^2/g$, intermediate OPC particles $3,450cm^2/g$, used to search for the combination that would yield the best quality product. The all flow curves which were measured by rheometer showed hysterisis and could be classified into 4 types. When the combination was based on a ratio of 15-20 vol% fine particles, 40-50 vol% intermediate particles, 30-40 vol% coarse particles of the total volume, a high fluidity and low yield-strength was achieved. The Rosin-Rammler function can explain aboved correlation flow curve types. On type 1, the n-value had a correlation with plastic viscosity however the blend of type 2 and 3 showed consistent n-value regardless of plastic viscosity. In addition, the blend in type 4 tended to a rise in fluid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n-value.

Size Distribution and Temperature Dependence of Magnetic Anisotropy Constant in Ferrite Nanoparticles

  • Yoon, Sunghyun
    • 한국자기학회:학술대회 개요집
    • /
    • 한국자기학회 2012년도 자성 및 자성재료 국제학술대회
    • /
    • pp.104-105
    • /
    • 2012
  •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effective magnetic anisotropy constant K(T) of ferrite nanoparticles is obtained based on the measurements of SQUID magnetometry. For this end, a very simple but intuitive and direct method f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anisotropy constant K(T) in nanoparticles is introduced in this study. The anisotropy constant at a given temperature is determined by associating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f(r) with the anisotropy energy barrier distribution $f_A(T)$. In order to estimate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f(r), the first quadrant part of the hysteresis loop is fitted to the classical Langevin function weight-averaged with the log?normal distribution, slightly modified from the original Chantrell's distribution function. In order to get an anisotropy energy barrier distribution $f_A(T)$,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magnetization decay $M_{TD}$ of the sample is measured. For this measurement, the sample is cooled from room temperature to 5 K in a magnetic field of 100 G. Then the applied field is turned off and the remanent magnetization is measured on stepwise increasing the temperature. And the energy barrier distribution $f_A(T)$ is obtained by differentiating the magnetization decay curve at any temperature. It decrease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finally vanishes when all the particles in the sample are unblocked. As a next step, a relation between r and $T_B$ is determined from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f(r) and the anisotropy energy barrier distribution $f_A(T)$. Under the simple assumption that the superparamagnetic fraction of cumulative area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at a temperature is equal to the fraction of anisotropy energy barrier overcome at that temperature in the anisotropy energy barrier distribution, we can get a relation between r and $T_B$, from which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magnetic anisotropy constant was determined, as is represented in the inset of Fig. 1. Substituting the values of r and $T_B$ into the $N{\acute{e}}el$-Arrhenius equation with the attempt time fixed to $10^{-9}s$ and measuring time being 100 s which is suitable for conventional magnetic measurement, the anisotropy constant K(T) is estimat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Fig. 1). As an example, the resultant effective magnetic anisotropy constant K(T) of manganese ferrite decrease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from $8.5{\times}10^4J/m^3$ at 5 K to $0.35{\times}10^4J/m^3$ at 125 K. The reported value for K in the literatures is $0.25{\times}10^4J/m^3$. The anisotropy constant at low temperature region is far more than one order of magnitude larger than that at 125 K, indicative of the effects of inter?particle interaction, which is more pronounced for smaller particles.

  • PDF

입도분포를 고려한 다짐된 지반재료의 역학적 거동 평가 (Mechanical Evaluation of Compacted Granular Materials Consider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 박형민;박현수;박성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45-53
    • /
    • 2016
  • 일반적인 교통시설물 기초들은 다짐된 조립재료로 구성되는데 강성과 변형은 입자의 크기들이나 분포, 그리고 표면 하중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아 변형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재료에 대한 변형 특성 이해와 해석 예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개별요소법을 도입하였다. 조립재료의 입자분포를 고려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수립하고 이를 수치해석에 적용하였고, 삼축압축시험의 응력-변형곡선과 결과를 비교하여 적용 방법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입도분포를 잘 반영하는 해석이 매우 적합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하중과 입자의 각 조건을 적용하여 관련 영향들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