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sis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9초

일측 전정기능 저하 환자에서 방향전환 진동유발안진의 임상적 의의와 발생 기전 제안 (Clinical Implication and Proposed Mechanism of Direction Changing Vibration Induced Nystagmus in Unilateral Vestibular Hypofunction)

  • 이동한;박무균;이준호;오승하;서명환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61권11호
    • /
    • pp.580-587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We evalu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vestibular function of patients with direction changing vibration induced nystagmus (DC VIN) and unilateral vestibular hypofunction and suggest clinical implication and a proposed mechanism of DC VIN. Subjects and Method The records of 315 patients who underwent the VIN test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mong these, 18 patients (5.7%) showed DC VIN, and out of whom, 15 patients (4.8%) were diagnosed as unilateral vestibular hypofunction by caloric, rotation chair (RCT), and video head impulse test (vHIT).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DC VIN and the dizziness characteristics, duration of disease, and the outcome of the vestibular function test. Results The mean age of 15 patients was $67.4{\pm}10.7years$ and the mean duration of dizziness was $13.6{\pm}29.7months$. The caloric test revealed 25% of the patients to have significant canal paresis [Caloric vestibular neuritis (VN)], while 75% showed normal caloric response. However, unilateral vestibular hypofunction was observed by abnormal results in RCT or vHIT (Non-caloric VN). Seven patients showed ipsilateral DC VIN (nystagmus to vibrated side) and eight patients contralateral DC VIN (nystagmus to opposite side of vibration). Patients with ipsilateral DC VIN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longer duration of dizziness than those with contralateral DC VIN. Conclusion Although rare, DC VIN can also be found in patients with unilateral vestibular hypofunction. Patients with DC VIN had a mild vestibular asymmetry with Non-caloric VN or Caloric VN in the process of compensation. The mechanism of ipsilateral DC VIN seems to be due to the small amount of vestibular asymmetry, which is smaller than the interaural attenuation of vibration.

Facial Nerve Repair following Acute Nerve Injury

  • Fliss, Ehud;Yanko, Ravit;Zaretski, Arik;Tulchinsky, Roei;Arad, Ehud;Kedar, Daniel J.;Fliss, Dan M.;Gur, Eyal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4호
    • /
    • pp.501-509
    • /
    • 2022
  • Background Acute facial nerve iatrogenic or traumatic injury warrants rapid management with the goal of reestablishing nerve continuity within 72 hours. However, reconstructive efforts should be performed up to 12 months from the time of injury since facial musculature may still be viable and thus facial tone and function may be salvaged. Methods Data of all patients who underwent facial nerve repair following iatrogenic or traumatic injury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and assessed. Paralysis etiology, demographics, operative data, postoperative course, and outcome were examined. Results Twenty patients underwent facial nerve repair during the years 2004 to 2019. Data were available for 16 of them. Iatrogenic injury was the common category (n = 13, 81%) with parotidectomy due to primary parotid gland malignancy being the common surgery (n = 7, 44%). Nerve repair was most commonly performed during the first 72 hours of injury (n = 12, 75%) and most of the patients underwent nerve graft repair (n = 15, 94%). Outcome was available for 12 patients, all of which remained with some degree of facial paresis. Six patients suffered from complete facial paralysis (50%) and three underwent secondary facial reanimation (25%). There were no major operative 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nclusion Iatrogenic and traumatic facial nerve injuries are common etiologies of acquired facial paralysis. In such cases, immediate repair should be performed. For patients presenting with facial paralysis following previous surgery or trauma, nerve repair should be considered up to at least 6 months of injury. Longstanding paralysis is best treated with standard facial reanimation procedures.

급성 B형 대동맥 박리의 혈관내 스텐트-그라프트 삽입이 초기성적 및 대동맥 벽의 변화 (Endovascular Repair of Acute Type B Aortic Dissection: The Early Results and Aortic Wall Changes)

  • 허균;원용순;신화균;양진성;백강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48-654
    • /
    • 2010
  • 배경: 급성 B형 대동맥 박리 환자들에게 시행한 혈관 내 스텐트-그라프트 치료의 초기 성적 및 대동맥 벽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7월부터 2009년 5월까지 본원을 방문한 급성 B형 대동맥 박리 환자들을 대상으로 혈관 내 스텐트-그라프트를 13일 이전에 삽입하였다. 수술전과 수술 후 약 6개월에 혈관조영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고 하행 대동맥을 근위부, 중위부 그리고 원위부로 나눈 뒤 각 부위별로 진성내강과 가성내강 그리고 대동맥 전내강의 내경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남녀 비는 4:1이였으며 평균나이는 $59.4{\pm}20.1$세 (37~79세)였다. 수술 전에 혈관조영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7일 후와 6개월에 추적검사를 시행하였다. 5명 모두에게 일차성 내막 파열(primary entry tear)의 폐쇄가 완벽하게 이루어 졌으며 신경학적 후유증이나 말초의 허혈은 관찰되지 않았고 수술로 인한 사망은 없었다. 진성내강의 변화는 근부위에서 수술 전 20.4 mm에서 33.5 mm로 증가하였으며 중위부와 원위부에서도 각각, 19.5 mm에서 29.8 mm, 15.2 mm에서 23.5 mm로 증가하였으며 (p<0.05), 가성내강의 변화는 근위부에서 18.7 mm에서 0 mm로 감소하였고 중위부와 원위부에서도 감소하는 추세로 관찰되었다. 대동맥 전내강의 변화는 수술 전 보다 수술 후 증가하였다(p<0.05). 3명의 환자에서 6개윌 후 가성내강의 완벽한 소실이 관찰되었고 2명의 환자에게서는 복부대동맥 부위에서 가성대동맥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결론: 급성 B형 대동맥 박리 환자들에게 시행한 혈관 내 스텐트-그라프트의 초기 결과는 매우 효과적이였으며 스텐트-그라프트 삽입 후 대동맥 벽의 변화 역시 매우 긍정적이라 할 수 있겠다.

개에서 발생한 요추 혈관종성수막종 증례 (Lumbar Angiomatous Meningioma in a Dog)

  • 손정민;김보은;정선영;지서연;윤대영;권오경;김대용;최민철;윤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2-155
    • /
    • 2014
  • 11년령의 중성화된 수컷 Schnauzer 가 후지마비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6개월 전부터 후지의 운동실조를 보이다가 3개월 전부터는 좌측 후지의 불완전마비를 보였으며, 2주 전부터는 양측 후지의 완전마비 증상을 나타내었다. 신경계 검사에서 양측 후지의 완전마비와 자세반사 및 심부통 소실이 확인되었으며, 척수반사는 항진되어 있었고 자발배뇨는 불가능한 상태였다. 흉요추 부위의 MR (0.3 Tesla) 영상 검사가 실시되었다. 척수를 심하게 압박하는 하나의 종괴가 요추 2번 수준에서 확인되었으며, 종괴는 좌측 및 등쪽으로 경질막과 넓게 접하고 있었다. 종괴는 T1 강조 영상에서 척수와 비슷한 신호 강도를 보였으며, T2 강조 영상에서는 고신호를 보였다. 조영 후 T1 강조 영상에서는 고도의 균일한 조영 증강을 보였으며, 경계는 명확하고 "dural tail sign" 을 동반하고 있었다. 이러한 영상학적 특징으로 부터 경질막내 척수외 종양이 고려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수막종이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었다. 좌측 편측후궁절제술 및 등쪽 후궁절제술이 실시되었다. 부분적으로 경질막과 유착되어 있는 하나의 경질막내 종괴가 척수를 압박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종괴는 유착된 경질막 부분과 함께 완전히 제거되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혈관종성수막 종으로 진단되었다.

척추 신경의 허혈성 손상 예방을 위한 허혈성 전처치의 효과 (Effect of Ischemic Preconditioning for Preventing Ischemic Injury of the Spinal Cord)

  • 홍종면;차성일;송우익;홍장수;임승운;임승운;임승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1호
    • /
    • pp.823-830
    • /
    • 2001
  • 배경: 흉부나 흉복부 대동맥 수술중 대동맥 혈류의 일시적 차단에 의해 유발되는 낮은 혈류압으로 인한 척추신경의 허혈성 손상에 의한 하지마비는 심각한 수술 합병증으로 남아 있다. 심장이나 뇌에 있어서 잠깐 동안의 허혈성 자극을 주는 허혈성 전처치는 이어지는 장기간의 허혈성 손상을 이길 수 있는 내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돼지 모델을 이용하여 이러한 허혈성 내성이 척추신경의 허혈성 전처치를 통하여도 생길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실험은 세 군으로 나뉘어 시행되었다 : sham 군(n=3), 대조군(n=6)과 허혈성 전처치군(n=8). Sham 군에서는 척추 신경의 허혈성 손상 없이 좌측 개흉술 만을 시행하였다. 대조군과 허혈성 전처치군은 30분간의 대동맥 차단을 통한 척추신경의 허혈성 손상이 가해졌다. 하지만 허혈성 전처치군은 48시간전에 20분간의 허혈성 자극이 선행되었다. 24시간 후에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조직 병리와 MPA (malonedialdehyde) spectrophotometry 검사를 위하여 척추 신경을 취득하였다. 결과: 허혈성 손상 24시간 후에 행하여진 신경학적 검사에서 대조군과 허혈성 전처치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8). 조직병리와 MDA 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얻을 수 없었으나, MDA 검사상 경계선상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고 있었다. 결론: 본 돼지 실험 연구를 통해 비록 실험 동물들이 걷거나 설 수 있을 정도의 완전한 척추신경의 회복을 보이지는 못했으나, 허혈성 전처치가 척추신경의 30분간의 허혈성 손상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내성을 유발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허혈성 전처치가 기존의 척추신경의 허혈성 손상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들과 병행될 때 상승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되며, 이에 대한 실험들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35.81 $\textrm{mm}^2$(Level 1), 181.88$\pm$34.74 $\textrm{mm}^2$(Level 2)로 두 위치에서 단면적은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5). 기관의 각각의 위치에서 내경과 단면적은 연령군에 따라 고연령층에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결론: 한국 정상 성인의 기관내경과 단면적의 크기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전산화 단층촬영은 기관의 내경과 단면적의 크기를 얻는데 비교적 정확하고 안전한 방법이라 생각된다.의한 약물학적 전처치는 재관류 후 심근기능 회복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전처치 효과는 교감신경계 신경전달물질의 고갈이나 $\alpha$1-수용체 차단제에 의해 소멸되는 것으로 보아 전처치에 의한 심근보호효과는 교감신경계 전달물질 및 $\alpha$1-수용체를 통해 유도됨을 알 수 있다.380$\pm$71 mL, p=0.05).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을 공급한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어미의 성 성숙 및 산란은 두 번의 실험에서 대조구보다 저염분구에서 원만히 이루어졌다. 암컷 성숙 개체의 경우 1차 실험은 대조구 6마리, 저염분구 12마리였으며, 2차 실험은 대조구 5마리, 저염분구 12마리였으며, 2차 실험은 대조구 5마리, 저염분구 14마리로서 성숙유도에 있어 염분의 조절에 의한 성숙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산란 시기는 1차 실험에서 대조구나 저염분구의 산란 개시 시점이 거의 동일한 데 비해, 2차 실험에서는 저염분구가 대조구에 비해 대략 20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산란에 가입한 암컷 어미의 개체수도 두 차례의 실험 모두 저염분구가 많았다. 또한

  • PDF

합곡-곡지 전침치료가 정상인의 뇌혈류에 미치는 영향 - Brain SPECT와 SPM을 이용하여 - (Effect of LI4-LI11 Electro-acupuncture o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Healthy Human - Evaluated by $^{99m}Tc-ECD$ Brain SPECT -)

  • 류종만;김영석;박성욱;정우상;고창남;조기호;배형섭;김덕윤;문상관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6-43
    • /
    • 2006
  • Objectives : Acupuncture has been widely applied to rehabilitation after stroke by Oriental medical doctors in Korea. It has been reported that acupuncture increased cerebral blood supply and stimulated the functional activity of brain nerve cells. In addition, a correlation between activation of specific areas of brain cortices and corresponding acupuncture stimulation at the therapeutic points had been well illustrated. rill now, however, there were few studies which evaluated a correlation between activation of specific areas of brain and frequently-used acupuncture therapy for stroke, such as LI4-LI11 electro-acupuncture (EA) for paresis after strok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 of LI4-LI11 EA o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in normal volunteers using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Methods : In the resting state, $^{99m}Tc-ECD$ brain SPECT scans were performed on 10 normal volunteers (8 males, 2 females, mean age $25.6{\pm}2.3$years; age range from 24 to 31 years). 7 days after the resting examination, 15 minutes of electro-acupuncture were applied at LI 4 and LI 11 on the right side of the subjects. Immediately after LI4-LI11 EA, the second SPECT imag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esting state. Significant increases and decrease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fter LI4-LI11 EA were estimated by comparing their SPECT images with those of the resting state using paired t statistics at every voxel, which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with a threshold of p=0.001, uncorrected (extent threshold: k=100 voxels). Results : EA applied at right LI4-LI11 increased rCBF in right frontopolar area (Brodmann area 10) and left middle frontal area (Brodmann area 46). Interestingly, all the areas showing increased rCBF corresponded to the territories of both anterior cerebral arteries. However, LI4-11 EA decreased rCBF in the left occipital lobe (peristriate area, Brodmann area 19). Conclusions : The results demonstrated a correlation between LI4-11 EA and rCBF increase in the frontal lobe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re may be a correlation between LI meridian and the territory of the anterior cerebral arterties.

  • PDF

반추수(反芻獸)의 살서제중독(殺鼠劑中毒)에 관한 병리학적(病理學的) 연구(硏究) (Pathological Studies on the Experimentally Induced Rodenticide Poisoning in Ruminant)

  • 이차수;박청규;조용준;곽수동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1-232
    • /
    • 1982
  • This paper dealt with the pathological and clinical findings on the experimentally induced rodenticide (fluoroacetate, zinc phosphide, thallium sulfate, coumarin) and NaCN poisoning of ruminants (Holstein cattle and/or Korean native goat) for the purpose of the diagnosis in the accidental rodenticide poisoning of cattle. The results observed are summarized as follows: Fluoroacetate poisoning (cattle and goat): in the clinical signs, there were depression, convulsion, dyspnea, groan, grinding of the teeth, vomiting, opisthotonus and post-mortem tympany. In the macroscopical findings, the blood was more or less poor coagulative and dark red, bloody fluid with foam in the trachea, hyperemia and hemorrhage of tracheal mucosa and lung, cloudy swelling and hyperemia of kidney, epicardial hemorrhage(cattle), and hyperemia of abomasum, intestine and brain were observed. In the microscopical findings, there were pulmonary edema and hemorrhage, necrosis of convoluted tubular epithelium and interstitial hemorrhage of kidney, focal coagulative necrosis of myocardium, hemorrhage of pancreas and spleen, dilatation of Virchow-Robin space and hyperemia of brain, and necrosis with desquamation of mucosal epithelia of abomasum and upper small intestine. In the histological lesions of the liver, lobular peripheral hyperemia, centrilobular necrosis and cytoplasmic inclusion bodies of the hetatic cells were observed. The cytoplasmic inclusion body of the hepatic cells was not seen in the affected goat, but hydropic degeneration of the hepatic cells was marked. Zinc phosphide poisoning (cattle and goat): clinically, the affected animals died in recumbent position after ataxia, dyspnea and convulsion. In the macroscopical findings, hyperemia and hemorrhage of lung, cloudy swelling and hyperemia of liver and kidney, hemorrhage of spleen (cattle), and catarrh of abomasum and small intestine were observed. In the microscopical findings, necrosis of the convoluted tubular epithelium and hyperemia of kidney, hemorrhage of spleen, hyperemia of lung, hyperemia or hemorrhage of heart, cloudy. swelling and fatty changes of hepatic cells, dilatation of hepatic central vein, hyperemia of brain, and catarrh of abomasal and small intestinal mucosae were observed. Thallium sulfate poisoning (cattle): in the macroscopical findings dark red color of blood, hyperemia and hemorrhage of lung, bloody fluid with foam in the tracheal mucosa, petechiae of tracheal mucosa, cloudy swelling and hemorrhage of liver, necrotic lesions and hemorrhage of renal cortex and epicardial hemorrhage were observed. In the microscopical findings, severe hemorrhages of the lung, cloudy swelling and necrosis of hepatic cells, hyperemia and hemorrhage of liver, focal coagulative necrosis of mycordium, necrosis of the convoluted tubular epithelium and hyperemia of kidney, hyperemia and hemorrhage of spleen and dilatation of Virchow-Robin apace in brain were observed. Coumarin poisoning (goat): the poisoned animals died in the state of groan and depression. In the macroscopical findings, poor coagulation of blood, hemorrhage of lung, cloudy swelling and severe hemorrhages of liver, cloudy swelling and hemorrhage of kidney, abomasal hemorrhage, catarrh of small intestine, and hyperemia and hemorrhage of the other organs were observed, In the microscopical findings, hyperemia and hemorrhage of lung and kidney, cloudy swelling of the convoluted tubular epithelium of kidney, severe hepatic hyperemia, cloudy swelling and hydropic degeneration of heptatic cell, and hyperemia and hemorrhage of brain and spleen were observed. NaCN poisoning (cattle and goat): clinically, there were convulsion, severe dyspnea, paresis of hind limb, depression and then rigor of four limbs. In the macroscopical findings, bright red color of blood, hyperemia and bright and red tinge of lung cloudy swelling of kidney and liver, and hyperemia of abomasum were observed. In the microscopical findings, cloudy swelling and hydropic degeneration of hepatic cell, hyperemia and edema of lung, necrosis and degeneration of the convoluted tubular epithelium and hemorrhage in kidney, dilatation of Virchow-Robin space of brain and hemorrhage of spleen were observed.

  • PDF

2015년 주요 의료판결 분석 (Review of 2015 Major Medical Decisions)

  • 유현정;이동필;이정선;정혜승;박태신
    • 의료법학
    • /
    • 제17권1호
    • /
    • pp.299-346
    • /
    • 2016
  • 2015년 한해에도 의료분야에서 다양한 판결이 선고되었다. 요양원 입소자에 대하여 요양원측 과실로 상해가 발생하여 요양원을 운영하는 사회복지법인이 환자의 진료를 의뢰한 사건에서 진료계약의 당사자 확정 기준이 제시되었고, 뇌사상태에 빠진 환자 가족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 요구에 대하여 병원이 이를 거부하고 계속 진료한 경우 청구 가능한 진료비에 관한 판단이 이루어졌다. 안전성이 확인되지 아니하여 2011. 2. 보건복지부로부터 사상 초유의 시술중단조치를 받았던 눈미백수술에 관하여 법원은 시술 자체의 위법성을 인정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임상시험 단계에 있어 비용 대비 효과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을 설명하지 아니한 설명의무 위반으로 전 손해의 배상을 명하였다. 의료과실을 적극적으로 인정한 판결로는 척추수술 후 마미증후군이 발생한 사건들에서 수술과정상 과실이 인정된 사례가 상당수 있었고, 병원감염 사건에서 감염을 유발한 과실을 인정한 판결이 선고되었다.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상 응급장비 설치의무와 응급상황 발생시 조치의무를 구분하여 의료과실을 인정한 판결이 선고되었고, 극히 드문 희귀질환이라 하더라도 그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의료기관에게 과실을 인정한 판결이 선고되었다. 손해배상의 범위와 관련하여 항소심 신체재감정 결과 노동능력상실률이 1심보다 작아지자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동능력상실률을 달리 적용하거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노동능력상실률을 신체감정 결과보다 낮게 인정하는 등 실체진실에 부합하는 판결이 선고되었다. 의료과실로 손해가 발생한 경우 의료사고 후 발생한 진료비에 책임제한이 적용되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법원은 병원에서 환자 상태의 치유 또는 악화를 방지하는 정도의 치료만 계속되었다면 환자에게 진료비 지급을 청구할 수 없다는 이유로 병원 측의 상계주장을 배척하였다. 사전심의를 받지 않은 의료광고를 금지하고 그 위반시 처벌하는 의료법 규정에 대하여 사전심의기관인 대한의사협회 등의 행정기관성을 부인할 수 없어 사전검열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위헌결정이 내려졌다. 임상에서 흔하게 시행되고 있는 PRP 치료가 법정비급여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하여 법원은 법정비급여 여부는 이론적인 가능성이나 실제 실시 여부 등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의학적 안전성 유효성을 인정받은 후 요양급여 또는 비급여대상으로의 편입절차를 거쳐야 함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법원은 요양병원 적정성 평가에 관한 행정소송에서, 구조부문의 조사방식이나 절차상 위법을 인정하면서도 그 위법사유의 정도가 당연무효에까지는 이르지 아니하고 평가기관의 고의 과실이 없다는 이유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부당이득반환이나 손해배상의무가 없다는 판단을 하였다. 향후 더욱 다양하게 제기되는 쟁점들에 관하여 명쾌한 법리를 통해 실체진실에 다가가는 판결을 기대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