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child separatio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3초

영유아기의 탁아 경험과 유아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사회정서적 문제행동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Young Children's Day Care Experience and Their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Socioemotional Behavior Problems)

  • 김숙령
    • 아동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18
    • /
    • 1997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preschoolers'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and socioemotional behaviors are related to their day care experiences in infancy and at the present time.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59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from 2-parent, white, middle-class dual earner families in Madison, Wisconsin. Preschoolers' attachment quality was measured by two representational instruments: the Separation Anxiety Test and "My Family and Friends".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their family background and their children's day care history. The quality of current day care was obtained from directors' reports about regulatable features of the day care centers. Teachers completed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 Data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lity of preschoolers'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parent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mount of day care during infancy, the quality of current care, and children's gender. In addition, the amount of infant day care appeared to have negative relations with children's socioemotional behavior problems as evaluated by teachers.

  • PDF

소아기 불안장애의 인지행동치료 효과 : 예비 연구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in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A Preliminary Study)

  • 송동호;하은혜;오욱진;고광범;류영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9권3호
    • /
    • pp.182-189
    • /
    • 200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preliminarily the clinical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in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s. Methods: Subjects were 11 children between 2nd and 6th grade with anxiety disorder. All subjects were diagnosed through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 and Schizophrenia Present and Lifetime Version (K-SADS-PL) interview. The CBT program consisted of sessions once a week (60min/session) for 14 weeks with parent education. Results: Children and parents reported significantly improved social skills, social competence and decreased anxiet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children's negative thoughts and subjective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s such a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phobia, separation anxiety disorder,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PDF

청소년이 지각하는 자아존중감과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on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 문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95-502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개인 내적 변인인 자아존중감과 부모-자녀 관계 요인인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하는 고등학교 5곳의 2학년생을 임의표집하였으며, 배포된 650명의 설문지 중 625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이검증,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는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 중 통제가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활용할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애착과 정신병리 (ATTACHMENT AND PSYCHOPATHOLOGY)

  • 최지은;안동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40-60
    • /
    • 2004
  • 서 론:1940년 경 발달학적 관점에서 시작된 애착에 관한 연구가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초기 연구에서 주로 영유아기 아동의 부모에 대한 애착연구는 이후 성인기애착에 대한 평가가 가능해지면서 청소년기 혹은 성인기의 대인관계나 정서적 유대, 양육 경험에 까지 적용해 왔다. 이런 발전과 함께 최근 발달학적 정신병리에 관한 연구로 애착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아동기 정신병리, 더 나아가 성인기 정신질환과 애착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관계를 최근에 수행된 연구들을 중심으로 조명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최근에 수행된 연구를 중심으로 관련 문헌들-Medline에서 검색된 논문, 주요 단행본, 국내에서 발표된 애착 관련 논문들을 고찰하였다. 결 과:아동기 애착장애, 그 외에 정신병리로서 수용소에서의 양육과 후기 입양의 문제, 공격성과 행동문제, 아동기 불안장애 및 우울증, 성주체성 장애 및 섭식장애, 그리고 아동학대 및 부당 취급, 아동기의 또래관계 및 사회성 발달, 부모의 애착관계와 양육행동이 애착과 밀접한 연관을 가짐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최근 유아의 애착 행동이나 유형이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장기 추적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또한 Main 등이 개발한 AAI는 성인애착연구에 중요한 도구로 이용되었고, 이런 발전에 힘입어 부모의 해결되지 않은 애착에 관련된 문제가 자녀와 애착을 형성하는 과정에 영향을 주는 세대간 전이 현상을 발견하게 된 이후 성인 정신 병리의 원인에 대한 연구가 이러한 생애 초기의 애착과 관련된 문제에 관심을 갖게 하였다. 이 가운데 특히 성인기의 다양한 정신질환들-기분장애, 불안장애, 식사장애, 정신분열병, 해리장애, 성격장애-을 Bowlby의 발달학적 이론을 근거로 이해해 보고, 유아기의 애착과의 연관성 및 애착과 관련된 경험들이 후기 이러한 정신병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논의되었다. 결 론:애착이론은 일반적인 부모의 양육과 같이 광범위한 부모-자녀 관계를 보다 심도 있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모-자녀관계가 대개 사회심리적인 접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달리 애착은 기본적으로 생존에 대한 생물학적인 기초에 근거하여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아동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부모-자녀관계, 나아가 아동과 가족간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기 때문에 접근이나이를 기초로 하는 치료도 상호적인 관계 속에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앞으로 별도로 발전되어 왔던 발달 이론과 또한 별도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어 온 아동 정신병리 및 애착 장애와의 관련이 긴밀해져야 할 것이다.

  • PDF

암 환아 부모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The Experience of Parents Whose Child is Dying with Cancer)

  • 조영숙;김수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1-505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lived experience of parents of a child terminally ill with cancer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is the structure of the experience of parents of a child terminally ill with cancer\ulcorner” The sample consisted of 17 parents of children admitted to the cancer units of two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The un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rom October 10, 1991 through January 10, 1992. They were audio-recorded and analysed using Van Kaam's method. Parents ascribed the cause of the cancer to the mother's emotional imbalance during pregnancy, the mother's stress, failure to observe religious rites, food, the parent's sin, misfortune and pollution. The theme clusters were tension, fear and depression experienced during pregnancy, stress that children suffer from abusive parents, failure to observe religious activites, bad luck, and sins committed during a previous life. When the child suffered a recurrence of cancer, the parents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nervousness, sorrow. depression and death. The theme clusters were feelings of despair, helplessness, regret, guilt, insecurity, emptyness and apathy. The long struggle with cancer resulted in the loss of economic security, los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 being, and social withdrawal. The theme clusters were the economic burden of medical cost, giving up treatment, debt, limited medical insurance coverage and blood transfusion. The loss of psychological well being included stress, lack of support systems, inability to carry out responsibilities, lack of trust of the medical ten family breakdown, inappropriate expression of emotion and not disclosing the diagnosis to the child. Physically the parents suffered fatigue, insomnia, loss of appetite, loss of weight, dizzness, headache, psychosomatic symptoms, and increased consumption of liquor and cigarettes. Social withdrawal was manifested by taking time off from work to look after the child, decrease of outside social activities and feelings of isolation. Influences on family life were spousal conflicts, negative response of siblings, separation of the family members and economic hardship. The theme clusters were blaming a spouse for the cause of the illness and disagreements, maladjustment, lonliness, hostility and depression of siblings. The high price of medical care over the long period was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life of the family. Positive experiences during the child's long illness were the strengthening of support systems and religious beliefs and financial help from social organizations. The support of one's spouse primarily helped to overcome the stress of the long illness. In addition, support was received from parents of other children with cancer and from nurses and religious leaders. The nurse, by providing empathetic support, should be a person with whom parents can express their feelings and share their experiences.

  • PDF

반복적 복통 환아의 정신과적 연구(反復的 腹痛 患兒의 精神科的 硏究) (A PSYCHIATRIC STUDY ON THE CHILDREN WITH RECURRENT ABDOMINAL PAIN)

  • 최진숙;홍강의;서정기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권1호
    • /
    • pp.117-129
    • /
    • 1990
  • 반복적(反復的) 복통(腹痛)을 주소(主訴)로 1988년(年) 7월(月) 1일(日)부터 1989년(年) 2월(月) 28일(日)까지 서울대(大)병원 소아과(小兒科)를 방문하여 기질적(器質的) 원인(原因)이 배제(排除)된 후 소아정신과(小兒精神科)로 의뢰된 만 6재(才)~11재(才)의 아동(兒童) 35명(名)을 연구(硏究) 대상(對象)으로 하여 이들을 정상(正常) 아동(兒童)과 비교하여 반복적(反復的) 복통(腹痛) 환아(患兒)의 특징과 증상(症狀)의 발현(發現)및 유지(維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한 요인(要因)들에 대하여 연구(硏究)하였다. 연구(硏究) 결과(結果) 반복적(反復的) 복통(腹痛) 환아(患兒)의 증상(症狀) 호소는 부모(父母)등 돌보아 주는 사람과의 접촉시간(時間)에 많았으며 가족중에 위장관기(胃腸官器) 질환의 병력이 많았다. 반복적(反復的) 복통(腹通) 환아중(患兒中) 정신과적(精神科的) 진단(診斷)이 가능(可能)하였던 경우는 16명(45.8%)이었는데, 적응 장애(適應 障碍) 4명, 과잉불안장애(過剩不安障碍)4명(名), 분리 불안장애(分離 不安障碍) 1명(名), 우울증(憂鬱症) 2명(名), 틱 장애(障碍) 2名, 주의력(注意力) 결함장애(缺陷障碍) 2명(名), 야요증(夜尿症) 1명(名) 등이었다. 행동조사표(行動調査表)에 의하면 반복적(反復的) 복통(腹通) 환아(息兒)는 대조군 아동에 비하여 주회적(柱會的) 수행(遂行) 능력(能力)과 활동(活動)영역의 점수가 유의하게 낮으며, 내향화(內向化) 척도(尺度)의 값이 유의하게 높았다. 가정(家庭) 환경(環境) 진단검사상(診斷檢査上)의 항목별 비교 결과 반복적(反複的) 복통(腹通) 환아(患兒)는 대조군 아동에 비하여 훈육상(訓育上) 부모(父母)와의 마찰이 심하고, 부모(父母)가 자녀(子女)에게 주는 훈육(訓育)이 보다 합리적(合理的)이지 못하고, 지시(指示)의 정도가 많으며, 감정적으로 냉철하지 못하였다. 반면 자녀의 복지에 대한 배려와 애정 표현(愛淸 表現)은 대조군 부모에 비해 높았다. 전반적으로 반복적(反復的) 복통(腹通) 환아(患兒)는 겁이많고 위축적이며 가족 성원 역시 사회적 적응도가 낮으면서 심리적(心理的)으로 불안(不安)한 경우가 많았으며 모(母)와 밀착된 관계를 지속하고 있었고 이러한 갈등의 신체적(身體的) 표현(表現)인 복통(腹通)은 환아(患兒) 자신 뿐 아니라 보다 신체화 증상을 갖고있는 부모(父母)에 의해 선택되어지고 강화되어 반복적(反復的)으로 지속되는것으로 보였다.

  • PDF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 반응특성 연구 (Self-different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Responses to Kinetic House-Tree-Person Drawings)

  • 정윤정;최외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4호
    • /
    • pp.43-6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usefulness of kinetic House- Tree- Person drawing as a diagnostic measure for the degree of self-differentiation,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college students' development.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four hundred thirty five(272 male and 163 female) university freshmen enrolled in 4-year colleges located in Pusan.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scale of self-differentiation and a Kinetic House- Tree-Person drawings test. The evaluation system for kinetic House-Tree-Person drawings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indexes of Buck(1948) and Bums(1972) and used exiting literatures as refere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eans, standard deviation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tes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level of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was 2.81, which is about average. Som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reas of self-intergration, family projection, and emotional separation. Male students scored higher on self-intergration, whereas female students score higher on family projection and emotional separation. Second. self-differentiation was higher when the student drew a house with smoke coming out of the chimney, a single-story house with flat roof, or with detailed description of curtains, roof and roof tiles. Third, self-differentiation seemed to be higher when branches and fruits were included, when there was no expression of roots, when large crowns and branch openings were presented, and when no slant lines or base lines appeared. Forth, self-differentiation showed ㅁ higher level when the portrait shows eyes, mouth and neck without omission, when it included the whole body instead of face only, and when there was no person with just a profile, a back, or with a stiff posture, and when there was no weak and thin lines. Individuality also marked higher if a person was in motion and than one person was added. Finally, self-differenti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overall harmony of the drawing, ordering of contents, hand pressure, the kind and shape of tree, and presence of other persons. The more harmonious the picture was, and the more family members are adde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w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