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sitism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35초

끝동매미충 난기생봉 (Paracentrobia andoi)에 관한 연구(I) (Studies an the Egg Parasite, Paracentrobia andoi Ishii (Hymenoptera : Trichogrammatidae) of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ticeps Uhler (1))

  • 김정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7-241
    • /
    • 1984
  • 이 시험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알에 기생율이 높은 Paracentrobia andoi의 포장생태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월동후 활동은 3월상순부터 활발하였으며 4월상순 이후 부터는 휴한답로 옮겨가는 경향이였다. 2 .휴한답의 둑새풀에서 끝동매미충의 알에 대한 기생율은 끝동매미충의 산란최성기인 4월하순에서 5월상순 사이에 $21\%$ 높은 경향이였다. 3. 휴한답에서 지역별 평균 기생율은 거창과 남지는 $0\%$, 남해, 김해 및 진주는 $9.6\~29.2\%$였다. 4. 본답에 있어서 이 알기생봉은 3회 발생을 하였으며 발생최성기는 8월중순과 10월초순경이였다. 5. 본답기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2세기충(6월하순경 발생)과 3세대충(8월하순경 발생)에 대한 이 알기생봉의 평균 기생율은 각각 $16.5\%$$36.7\%$였다.

  • PDF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의 오이 흰가루병균 기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조건과 기주범위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Parasitism to Cucumber Powdery Mildew Fungus, Sphaerotheca fusca by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and Its Host Range)

  • 이상엽;류재당;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67-172
    • /
    • 2005
  • 오이 흰가루병균의 생물적 방제제로 선발한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의 오이 흰가루병 균에 대한 기생력을 온도와 습도에 대하여, 그리고 mineral oil 등 10종의 전착제와 혼용하였을 때 기생력 증진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A. quisqualis 94013균주의 기주범위에 대하여 오이, 호박, 참외, 멜론, 수박, 박, 딸기, 가지, 토마토, 콩, 팥, 장미에 기생하는 흰가루병균 Sphaerotheca속 6종, Erysiphe속 1종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오이 흰가루병균에 대하여 A. quisqualis 94013의 기생이 가능한 온도 범위는 $12\~30^{\circ}C$이고, 기생 최적온도는 $20\~28^{\circ}C$이였다. A. quisqualis 94013균주는 $20\~35\%$의 저습도에서 오이흰가루병균에 대하여 기생력이 저조하였다. 또한, A. quisqualis 94013의 기주범위조사에서 오이, 멜론, 수박, 참외, 박, 딸기, 토마토, 가지, 장미 등 12종의 작물을 침해하는 흰가루병균 Sphaerotheca속 6종, Erysiphe속 1종에 대하여 기생성이 있어 기주특이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 알에 대한 쌀좀알벌(T. evanescens)과 T. ostriniae의 기생특성 (Parasitism of Trichogramma evanescens and T. ostriniae (Hymenoptera: Trichogrammatidae) to Eggs of the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Lepidoptera: Pyralidae))

  • 정진교;박종호;임대준;한태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3-50
    • /
    • 2005
  •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 Guenee)의 국내 우점 알기생벌인 쌀좀알벌(T. evanescens)과 같은 곤충을 숙주로 삼는 T. ostriniae의 기생특성을 조명나방 알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일정한 사육조건 ($25^{\circ}C$, 16L/8D)에서 두 알기생벌은 명조건 후 4시간 안에 $50\%$ 이상 우화하는 일일주기성을 보였다. 산란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은 두 종 약 11일 정도였고, 두 종 모두 종간 및 종내 암수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알기생율이 $100\%$ 미만임에도 불구하고 과기생을 보였다. 두 종 모두 암컷은 우화 후 5일째까지 산란하였고, 수명은 쌀좀알벌에서 최대 8일이었고, T. ostriniae에서 6일이었다. 조명나방의 기생알 수는 각 각 약 38개와 31개였는데, 두 종 모두에서 우화 첫째날 알기생벌이 산란한 알 수가 전 산란기간 동안 산란한 알 수의 약 $50\%$를 차지하였다. 성비는 두 종 모두 암컷이 약 $80\%$를 차지하는 암컷편향적이었다.

프루텔고치벌(Cotesia plutellae)의 촉각 감각기 분포와 편절제거가 기생력에 미치는 영향 (Distribution of Antennal Sensilla in Cotesia plutellae and Effect of Flagellectomy on Parasitism)

  • 김용균;박정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75-380
    • /
    • 2006
  • 프루텔고치벌(Cotesia plutellae)은 단독형 내부기생봉으로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을 기주로 생활한다. 이 기생봉이 배추좀나방을 탐색하고 기주의 발육상태 및 다른 생리 상태를 인식하는데 촉각은 매우 중요한 감각기관으로 작용할 것으로 주목 받아왔다. 본 연구는 이 기생봉의 촉각 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관찰된 감각기 종류와 밀도를 바탕으로 기생생리를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촉각 전체 길이에서 암수간 차이가 없으며 모두 16개 편절마디를 가지고 있다. 감각기 구조는 크게 긴털형감각기, 센털형감각기 그리고 판상감각기로 나누어 밀도조사를 실시하였고, 대부분 감각기는 편절에 집중적으로 분포했다. 이 가운데 긴털형감각기가 암수 모두 약 87%를 차지하였다. 편절에서 긴틸형감각기와 판상감각기는 말단 부위에서 밀도가 감소하는 반면, 센털형감각기는 말단 부위로 갈수록 증가하여, 암컷의 경우 9번째 편절 마디 이후로 급격하게 밀도 증가를 보였다. 촉각 부위별 제거에 따른 기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편절 후반부를 제거하면 기생능력을 완전히 상실하고, 말단 4개 편절 마디를 제거해도 불과 30% 이하의 낮은 기생율을 기록했다. 이상의 결과는 프루텔고치벌의 기생에 촉각의 중요성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센털형감각기가 기주 탐색에 밀접히 관여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솔잎혹파리 확산지역에서 솔잎혹파리와 기생봉의 상호작용 (Interactions between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Diptera: Cecidomyiidae), and its Parasitoids in Newly Invaded Areas)

  • 박영석;정여진;전태수;이범영;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01-307
    • /
    • 2001
  • 솔잎혹파리가 새로운 지역에 침입하여 극심한 피해를 일으킨 후 회복하는 과정에서 솔잎혹파리와 천적 기생봉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솔잎혹파리 확산 선단지 26개 지점에서 1975년부터 1997년까지 조사된 솔잎혹파리 충영형성율, 기생봉 밀도 및 기생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솔잎혹파리 침입초기인 1975년의 충영형성율은 평균 34.8% 이었으나 1980년 이후 크게 감소하여 밀도가 안정화되었다. 기생봉의 기생율은 침입초기에는 1.9%로서 낮았으나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기생율이 증가하여 솔잎혹파리에 의한 피해가 만성적으로 발생하는 1990년대에는 12% 이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충영형성율과 기생봉 미도와의 관계는 초기에는 서로 상관성이 매우 낮았으나 솔잎혹파리의 침입후 약 10년 이후에는 충영형성율 증가에 따라 기생봉의 밀도도 점근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충영형성율에 따른 기생율도 초기에는 명확한 경향성이 없었지만 솔잎혹파리 침입 10년 후에는 보다 명확한 밀도역의존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솔잎혹파리와 기생봉의 상호작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침입 후 약 10년경부터 기주-기생자간의 전형적인 상호작용 양상을 보이며, 기생봉의 밀도조절 능력은 솔잎혹파리 피해가 많은 발생초기에는 미약하지만 솔잎혹파리 밀도가 낮은 피해회복지역에서는 높은 밀도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PDF

큰 28 점박이무당벌레의 기생천적 (Parasitoids of Henose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schulsky) (Coleoptera: Coccinellidae) in Kyonggido area, Korea.)

  • 이장훈;;이해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8-34
    • /
    • 1988
  • 감자, 가지등 가지과 작물을 가해하는 해충인 큰 28점박이 무당벌레를 1983년 1986년까지, 매년 6월부터 9월까지 채집하였고, 이들을 공격하는 기생천적의 종류, 각 기생천적에 따른 기주곤충의 령기별, 월별 기샐률이 조사되었다. Nothoser plus afissae (Watanabe), (벌목:Proctotrupidae), Uga menoni(Kerich)(벌목:수중다리 좀벌과), Pedipbius foveolatus (Crawford), (벌목:좀벌과) 등 3종류의 기생천적이 큰 28점박이 무당벌레를 공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 afissae는 2령~4령때 채집한 유충에 기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3령때 채집한 기주에서 가장 높은 기생률로 나타났으며, 유충때, 기생해서 번데기때 우화하는 U.mononi의 경우 3령-번데기때 채집한 기주에 기생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번데기 때 재칩한 기주에서 높은 기생률을 나타냈다. N.afiss와 U.mononi는 6월뷰터 9월가지 전 조사기간에 걸쳐서 기주를 공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N.afissde 는 조사된 다른 기생천저등에 보다 기생률이 월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U.mononi의 겨우는 7월에만 높은 기생률을 나타냈다. P.foveolatuss는 다른 두 종류의 기생천적과는 달리 다매발생하는 것으로 남부지방에서는 8월초부터 출현하나, 경기도 지역에서는 9월초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기생된 큰28점박이 유충 1개체로 부퍼 평균 13.8개체의 성충이 우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인천지역에서 사육하는 개의 내부 기생충 감염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prevalence of internal parasitism in dog of Inchon area.)

  • 박진수;황현순;김종훈;손봉환;이원창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5-102
    • /
    • 1997
  • Author investigated internal parasitism for the feces of dog's training center, breeding-dog farm, dairy farm, home by 120 indoor breeding dog and 566 outdoor one in Inchon area. This survey was done from February in 1994 to December in 1995. 1. As a result of total 686 samples, positives were 373(54.4%). Among them, indoor and outdoor breeding dogs were 21(3.1%) 352(51.3%), respectively. 2. According to breeding, it was manifested that 21samples (17.5%) of 120 indoor breeding dogs were positive, and 352 samples(62.2%) of outdoor breeding were positive. 3. The infection rate of dogs for food in dairy farm, breeding dogs in the farm, dog of training center and dog of house is high in order. 4. Infection rate of parasites in 24 dogs breeds, Mongrel dogs were 81.3%, Shepherds were 80.0%, Tosas were 78.4%, Akida and Siberian huskys were 76.2%, Jindos were 55.5%, Pointers were 50.0%, although Afghan hound, Spanial, Shin-tzu, Maltis and Buldog were examined as aparasites negative. 5. After administration with vermicide parasites infection rate were 43.0% in two months. In four months, it were 66.7%, and dogs without vermicide were 87.0%. It seemed like that further research about dosage of vermicide is needed. 6. The rate of single-infection was 37.6% and that of mixed-infection was 16.8%. Among classified 13 types, Ancylostoma caninum 35.6%, Toxocara cams 11.2%, Isospora sp 9.3%, Toxascaris leonina 5.1%, Trychuris vulpis 4.4% were investigated.

  • PDF

국내서식 야외 고양이의 기생충 감염 조사 (Intestinal parasite Infections in Stray Cats)

  • 강문일;한동운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13-418
    • /
    • 2003
  • This survey of endoparasite infections among stray cats in Korea has been carried out during November 1995 to October 1997. A total of 215 stray cats were collected from SeoulㆍGyeonggi (54), Gangwon (38), Chungchong (34), Jeonla (38), and Gyeoungsang (51) areas. The positive rate of endoparasites was 184 (85.6%) cats among 215. Of isolated parasites, nematodes were the most often detected parasites especially Toxocara cati (102 cats), Ancylostoma tubaeformae (9 cats). The next most often detected parasites were cestodes (60/215; 27.9%) sepecially Spirometra erinaecei (34 cats), Taenia taeniaformis (26 cats). Opisthorchis tenuicollis was found in bile duct (9 cats) and Isospora spp. were identified in 41 cats (19.1 %). In mixed parasite infection, the rate of infections of nematodes, trematodes and protozoas was 3.3%, nematodes and cestodes with 8.8%, nematodes and protozoa with 4.2%, cestodes and protozoa with 1.9%. In parasitic infection by a considering age category, age from 2 to 4 years had the highest infection (92.3%), 1-2 years were 87.6%, over 4 years was 80.0%. 79.6 percents of the stray cats in SeoulㆍKyounggi areas were ranked the 1st in parasite infection. The next was Kyoungsang 76.5%, Kangwon 65.8%, Cholla 63.2% and Chungchong 61.8% in order. Considering age categories from birth to greater than 4 years, parasite infections were most prevalent in cats 2 to 4 years old; other ages seemed to have no effect on prevalence of parasitism. Also sex seemed to have no effect on prevalence of parasitism. In endoparasite infection, nematode and cestode infections were most frequently found, trematode infections were low, coccidiosis was showed very often.

자기기생하는 실새삼(Cuscuta australis)에서 세포 화합성에 관한 미세구조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Cellular Compatibility in Self-Parasiting Cuscuta australis)

  • 이규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3호
    • /
    • pp.285-292
    • /
    • 1993
  • Cellular compatibility in the self-parasitism of Cuscuta australis R. Brown was studied at the ultrastructural level. The front cells of the haustorium penetrated the host stems independently grew within the host tissues and transformed into elongate, filamentous hyphae. Each hyphal cells contained a large nucleus and dense cytoplasm with abundant cell organelles. Multilamellar structures were contained in the cytoplasm and cell walls of the penetrating hyphal cells. When the hyphal cells did not yet invade the host cells, the middle lamella and the fused cellulosic cell walls of the two partners at the host-parasite interface were preserved well. As the invasion of the parasitic hyphal cells progressed, however, the middle lamella was not found at the interface and the host cell walls and plasma membranes were partially broken down. A hyphal cell penetrated deeply into the host cell had a more darkly stained cytoplasm with numerous of cell organelles. In the host cells attacked by the hyphal cells the limiting membranes of plastids were broken down and several vesicles were arrayed near the cell walls. No plasmodesmatal connections between the host and parasite cell walls were found; however, half-plasmodesmata were observed frequently on the side of the hyphal cell wal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ompatibility response in the self-parasitism of Cuscuta was expressed by cell walls, not by plasmodesmata, between the host and the parasite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