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닥나무 열매 (저실자)의 유리당, 아미노산, 유기산 및 무기질의 조성 (Free Sugars,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Minerals of the Fruits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 윤숙자;김나영;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50-953
    • /
    • 199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ximate composition , free sugars,amino acids, organic acid, minerals and extracted color of the fruit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 the proximate compositins were 6.1% of moisture, 15.9% of crude protein, 28.5% of crude fat, 8.9% of crude ash and 40.6% of carbohydrates in the fruit of paper mulberry. Free sugars showed low content as 0.1% of glucose , 0.1% of sucrose, 0.1% of fructose and 0.01% of sorbitol, respectively. In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fruit of paper mulberry, glycine was the highest in the content, followed by methionine, aspartic acid and alanine, The ratio of essential /total mino acids was 0.43 . The richestmineral contained in the fruit of paper mulberry was Ca and followed by K and Mg. Optical density (490-500nm) of the extracted color with 50% ehtanol and 80 % ethanol were 0.75 and 0.30 , respectively.

  • PDF

닥나무 열매(楮實子)분말이 마쇄육의 연화와 맛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powder from fruit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on tenderness and palatability of cooked ground beef)

  • 윤숙자;김천제;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46-350
    • /
    • 1994
  • This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the powder(0, 1, 2, 3%)from fruit of paper mulberry(Broussonetia Kazinoki SieboId) on the hardness, cohesiveness, elasticity, gumminess, chewiness, cooking los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ground beef with or without soysauce.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erized as follows;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and cooking loss were decreased by increasing the percent of adding the powder from the fruit of paper mulberry.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for cooked ground beef, sample with powder from the fruit of paper mulberry showed the higher scores in most of the characteristics. And cooked ground beef added the powder from the fruit of paper mulberry with soysauce showed the higher decreasing rate of hardness than those of without soysauce.

  • PDF

경상도지역 닥나무의 수목학 및 분자계통학적 연구 (Molecular Phylogenetic and Dendrological Study of Paper-mulberry (B. kazinoki) in Gyeongsang-do Region)

  • 고인희;조아현;장경주;박규태;박선미;박선주;정선화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8-68
    • /
    • 2019
  • 닥나무(Paper mulberry)는 뽕나무과(Moraceae) 닥나무속(Broussonetia)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중국, 일본, 한국 등에 자생하며 Hutchinson(1967)에 의하면 닥나무 속은 열대, 아열대, 난대지방에서 자라는 낙엽성 관목으로 세계적으로 약 6종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닥나무의 품종을 구분하는 것은 수목학적 관점으로 잎의 성상, 줄기의 색과 무늬 유무로 구분한다. 그러나 상기의 수목학적 특징은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Siebold)와 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 (L.) L'Her. ex Vent.]가 유사하여 오동정의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경상도지역에서는 닥나무를 참닥나무, 머구닥나무, 개닥나무 3가지의 향명으로 구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도지역 9개체 닥나무를 대상으로 수목학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식물종의 기준을 명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엽록체 속의 matK, trnL-F, ndhF, 3개 마커와 핵에 존재하는 ITS, 총 4개 마커의 염기서열을 생산하였고 상기 구간에서 얻어진 염기서열 비교분석 및 계통학적 분류를 통해 유연관계를 파악하였다. 수목학적 관점으로는 품종을 명확하게 구분하기가 어려웠으며 분자계통학적 연구로 모든 시료는 닥나무와 꾸지나무의 교잡종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전통한지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닥나무류 식물자원의 분류체계의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PDF

닥나무 열매의 알갱이와 분말첨가가 장조림의 맛과 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uit or Powder from the Fruit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on Tenderness and Palatability of Jangchorim)

  • 윤숙자;김나영;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30-336
    • /
    • 1995
  • 닥나무 열매가 쇠고기의 연화와 맛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닥나무 열매를 알갱이와 분말 형태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쇠고기에 첨가하였을 때의 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단력은 닥나무 열매 알갱이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쇠고기의 연화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리형태에 따라서는 알갱이의 형태로 0∼20%까지 첨가함에 따라 6.2∼7.9%, 분말의 형태일 때가 10.2∼18.4%의 연화율을 나타내었다. 2. 장조림육의 조리손실은 닥나무 열매를 첨가하는 양이 증가할수록 다소 감소하였다. 3. 색도는 닥나무 열매를 첨가하여 조리함에 따라 장조림육 표면의 적색도가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4. 아미노산은 닥나무 열매의 알갱이와 분말 첨가시 모두 단백질이 연화되어 국물속으로 용출되어 나오는 유리아미노산함량이 점차로 증가하였으며 알갱이 첨가군은 20% 첨가시 16.8%, 분말은 20% 첨가시 24.1%의 유리아미노산 함량 증가를 나타내었다. 국물속으로 용출된 아미노산중 필수아미노산은 leucine, methionine, tryptophan, isoleucine 등이 순서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높은 함량으로 용출되었으며, 비필수아미노산은 모두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순으로 가장 많이 용출되었다. 5. 닥나무 열매의 알갱이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부분의 무기질들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는데 Na, K, P, Ca, Mg의 순으로 높은 함량분포를 보였으며 Mn과 Cu가 비교적 낮았다. 6. 장조림육의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닥나무 열매 알갱이와 분말 첨가시 모두 전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알갱이 형태로 첨가하였을 때에는 15% 첨가군, 분말형태일 때는 10%첨가군이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닥나무 열매의 형태에 관계없이 첨가량이 많을수록 연화도는 증가하였으나, 기호도의 경우는 알갱이 15%,분말 10%를 장조림에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닥나무 열매(緖寶子)의 농축액과 조효소가 장조림의 맛과 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 or Crude Enzyme Extracted from the Fruit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on Tenderness and Palatability of Jangchorim)

  • 윤숙자;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17-622
    • /
    • 1997
  • 닥나무 열매가 쇠고기의 연화와 맛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닥나무 열매의 처리형태(농축액, 조효소)와 첨가량을 달리하여 쇠고기에 첨가하였을 때의 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단력은 닥나무 열매의 농축액와 조효소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쇠고기의 연화도가 증가하였는데 처리형태에 따라 살펴보면, 0∼8%의 농축액을 첨가하였을 때 4.8∼27%, 0∼1%의 조효소를 첨가하였을 때 7.8∼34.2%까지의 연화율을 나타내었다. 2. 중량감소율은 농축액의 형태로 첨가시는 닥나무열매를 첨가하는 양이 증가할수록 다소 감소하였으나 조효소형태로 첨가하였을 때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색도는 닥나무 열매를 첨가하여 조리함에 따라 장조림육 표면의 “a”값이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4. 유리아미노산을 보면 닥나무 열매의 농축액과 조효소 첨가시 단백질이 연화되어 국물속으로 용출되어 나오는 유리아미노산함량이 점차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농축액은 8%까지 첨가시 37%, 조효소는 1%까지 첨가시 31.2%의 증가율을 보였다. 5. 장조림육의 무기질 함량과 조성을 분석한 결과 농축액의 형태로 첨가하였을 때에는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대부분의 무기질이 감소하였다. 반면에 조효소 형태로 첨가하였을 때는 Na, K, P, Ca, Mg의 순으로 높은 함량분포를 보였으며 Mn과 Cu가 비교적 낮았다.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부분의 무기질들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6. 장조림육의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닥나무 열매 농축액과 조효소를 첨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농축액 첨가시에는 4% 처리구, 그리고 조효소 첨가시에는 0.1% 처리구가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 닥나무 열매를 농축액이나 조효소의 형태로 첨가하는 양을 달리하여 장조림을 하였을 때 연화도와 기호도가 증가하였는데 처리형태에 따라 연화율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전형질이 동일한 전라도지역 닥나무의 펄프제지 자원으로써의 특성 (Characteristics as Pulp and Papermaking Resources of Paper-mulberry (B. kazinoki) woods in Jeolla-do Region with Identically Genetic Marker)

  • 조아현;고인희;장경주;박규태;박선미;박선주;정선화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7-67
    • /
    • 2019
  • 뽕나무과(Moraceae) 닥나무속(Broussonetia)의 품종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으로는 잎의 성상이나 암꽃의 포길이, 엽신의 폭과 같은 수목학 분수학적 관점으로 특징을 파악하기 때문에 구분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Siebold)와 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 (L.) $L^{\prime}H{\acute{e}}r.$ ex Vent.]의 수목학적 특징이 유사하여 오동정의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닥나무의 향명은 다양하게 불리지만 그 분류기준은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총 4개 마커(ITS, matK, trnL-F, ndhF)의 염기서열 분석과 분자계통학적 분류를 통해 닥나무와 꾸지나무의 교잡종으로 확인된 전라도지역 닥나무 8개체에 대하여 펄프제지 자원으로써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8개체 인피섬유의 형태학적 특징인 섬유장, 섬유폭, 섬유 내강(Lumen)폭을 통해 Runkel ratio, Slenderness ratio, Flexibility coefficient, Rigidity coefficient를 도출하고 종이의 기계적 강도, 내절도와의 상관관계, 섬유와 섬유간의 결합력 등을 예측하였다.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전형질이 동일한 전라도지역 닥나무의 형태학적 특성을 통해 펄프제지 공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분석 하였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다양한 품질의 종이를 제조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