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icles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초

목도열병의 잠복기간구명 시험 (Investigation of Incubation Period of Neck Blast in Rice Plants)

  • 김장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7-292
    • /
    • 1983
  • 수잉기에 지엽엽초내의 유수를 도열병균포자현탁액으로 주사접종후 목도열병병징발현시의 잠복기간을 구명하였다. 접종일로부터 병징발현시까지 $10.9\~15.1$일이 소요되었는데 병원균의 발아, 부착기형성, 침입, 감염이 일어나기까지의 소요일수 약 2일간을 감안할 때 목도열병의 잠복기간은 9일에서 13일 사이로 측정되었다.

  • PDF

벼 주요 품종 및 계통의 지역별, 연도별 도열병 발병 차이 (I) (Temporal and Spatial Blast Incidence in Leading Cultivars and Elite Lines of Rice in Korea (I))

  • 라동수;한성숙;김장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7-53
    • /
    • 1994
  • Incidences of blast caused by Pyricularia grisea Sacc. on 24 leading cultivars and elite lines of rice were investigated in the fields at Icheon, chuncheon, Jecheon, Naju from 1990 to 1992. In the blast nursery, disease index of leaf blast on Jinmibyeo and Ilpumbyeo were very low as 1 to 3 at Naju, but as high as 6 to 9 at Icheon and other Chuncheon in 1990, but the disease did not occur in other locations and years. The most variable incidence of temporal and spatial leaf blast was observed on Nagdongbyeo, which was 30.6% at Icheon and 2.1% at Chuncheon on 1990, but the disease did not occur at Naju during the investigation. Percentages of diseased panicles on Chucheongbyeo were 11.6% in 1990 and 4.3% in 1992 at Icheon. Odaebyeo and Sobaekbyeo revealed more severe blast occurrences at Chuncheon and Sangju where the elevation was higher than the other places. Regional race distributions of rice blast fungus were more variable at Icheon and Chuncheon than the others.

  • PDF

The Rice Growth and Yield for Organic Rice Production on Pot Seedling type

  • Kwon, Young-Rip;Moon, Young-Hun;Sharma, Praveen Kumar;Kim, Dae-Hyang;Jee, Hyeong-Jin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135-138
    • /
    • 2011
  • In traditional organic rice culture practices, control of weeds is a big probl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rice production. Results showed that Plant height, SPAD, root length and weight were higher in pot raised seedling than broadcasting method except number of panicles. High plant density caused reduction in plant height, number of culm and chlorophyll content of the rice. No lodging was observed in both methods. Thickness of third internode and culm length was more in pot raised seedlings at both sites. When organic material was used rice yield increased by 3.81%. Higher rice production (10%) was recorded in the fields planted with pot raised seedlings. From the above study it could be conclude that the pot raised seedlings perform better than the seedlings raised by broadcasting methods.

Characterization of Burkholderia glumae Putative Virulence Factor 11 (PVF11) via Yeast Two-Hybrid Interaction and Phenotypic Analysis

  • Kim, Juyun;Kim, Namgyu;Mannaa, Mohamed;Lee, Hyun-Hee;Jeon, Jong-Seong;Seo, Young-S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3호
    • /
    • pp.280-286
    • /
    • 2019
  • In this study, PVF11 was selected among 20 candidate pathogenesis-related genes in Burkholderia glumae based on its effect on virulence to rice. PVF11 was found to interact with several plant defense-related WRKY proteins as evidenced through yeast-two hybrid analysis (Y2H). Moreover, PVF11 showed interactions with abiotic and biotic stress response-related rice proteins, as shown by genome-wide Y2H screening employing PVF11 and a cDNA library from B. glumae-infected rice. To confirm the effect of PVF11 on B. glumae virulence, in planta assays were conducted at different stages of rice growth. As a result, a PVF11-defective mutant showed reduced virulence in rice seedlings and stems but not in rice panicles, indicating that PVF11 involvement in B. glumae virulence in rice is stage-dependent.

벼 유기재배와 관행재배의 생육 및 수량과 품질 비교 (Comparison of Growth, Yield and Quality between Organic Cultivation and Conventional Cultivation in Rice (Oryza sativa L.) Field)

  • 차광홍;오환중;박노동;박흥규;안규남;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9-208
    • /
    • 2010
  • 벼 유기재배와 관행재배의 쌀 수량 및 품질의 비교를 조사하기 위하여 벼 병충해의 발생정도를 반남과 노안의 벼 포장에서 실시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시험에서 벼 병충해 방제는 노안지역 관행재배는 2회, 반남지역 관행재배는 4회 실시하였으며 유기재배는 노안, 반남지역 모두 2회 실시하였다. 포장에서 벼 병해충은 줄무늬잎마름병,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혹명나방, 멸구류가 주로 발생하였다. 벼 병해충 중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혹명나방은 관행재배보다 유기재배에서 발생이 많았다. 2. 벼 생육상황은 간장이나 수장은 관행재배에 비해 유기재배에서 약간 짧은 경향이었다. 노안지역은 유기재배의 경우 관행재배에 비해 주당수수는 0.6개 정도 많았으나 수당입수, 등숙비율, 정현비율, 현미 천립중이 낮았다. 반면 반남지역은 유기재배의 경우 관행재배에 비해 주당수수는 0.8개 정도 적었으나 수당입수와 등숙비율은 높았고 정현비율은 낮았다. 전체 수량은 유기재배가 관행재배에 비해 노안지역은 84% 수준이고, 반남지역은 94% 수준이었다. 3. 쌀의 품위는 노안지역과 반남지역 두 지역 모두 완전립율이 관행재배보다 유기재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쌀의 품질은 반남지역의 경우 유기재배시 기비로 사용한 질소가 관행재배에 비해 많아서 늦게 비효가 발현되어 이삭도열병, 혹명나방 피해가 발생하여 관행재배에 비해 단백질, 취반미 윤기치값이 낮았다. 반면 노안지역의 경우 유기재배시 기비로 사용한 질소가 관행재배에 비해 적어서 관행재배보다 단백질, 백도, 취반미 윤기치값 등에서 양호하게 나타났다.

재배방법의 차기가 수도 품종의 생육.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Cultivating Method on Growth, Yield in Rice Variety)

  • 이종철;노태홍;문창식;서해영;박금동;조재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159-164
    • /
    • 1973
  • 본 시험은 중부지방에서 재배방법의 차이(이앙재배, 담수직파재배, 건답직파재배)에 따른 수도품종의 생육ㆍ수량의 변이를 알고자 1970-1972년에 걸쳐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에서 출수까지의 일수는 담수직파가 이앙재배에 비해 현저히 단축되었으며 건답직파재배는 이앙재배에 비해 출수일수가 연장되었다. 2. 수수는 담수직파재배, 건답직파재배, 이앙재배, 순으로 많았으며 일수영화수는 이앙재배, 건답직파재배, 담수직파재배순으로 많았다. 3. 정조중은 모두 품종 공히 담수직파재배에서 가장 많았고 이앙재배는 건답직파재배보다 증수되었으며 담수직파재배에서 고위수량성인 품종은 사도미노리, 아끼바레, 수원 213-001 등이었다. 4. 수량과 수량구성요소와의 상관을 보면 이앙재배에서는 현미천입중 및 일수영화수, 담수직파재배에서는 일수영화수 및 수수, 건답직파재배에서는 수수와 정(+)의 높은 상관이 인정되었다. 5. 정조중과 출수일수와의 상관은 건답직파재배와 담수직파재배에서는 부(-)의 상관관계가 현저하였으나 이앙재배에서는 부(-)의 상관이 매우 낮았다.

  • PDF

세균성벼알마름병 발병에 미치는 벼 출수기의 미기상 요인 (Micro- Weather Factors during Rice Heading Period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Rice Bacterial Grain Rot)

  • 이용환;고숙주;차광홍;최형국;이두구;노태환;이승돈;한광섭
    • 식물병연구
    • /
    • 제10권3호
    • /
    • pp.167-174
    • /
    • 2004
  • 세균성벼알마름병(RGBR)의 발생예찰 모델을 만들기 위하여 출수기가 다른 오대벼 등 21개 품종을 1998년 5월 30일과 6월 15일에 이앙하여 벼 출수기와 이병수율을 조사하고 출수기 전후의 미기상과 병 발생과의 관계를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세균성벼알름병은 출수기가 7월 29일부터 8월 19일 사이의 품종에서 대부분 발생하였고 8월 22일 이후에 출수한 품종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벼 출수기를 기준으로 출수기 3일 전부터 7일(r=-0.871**), 10일(r=-0.863**)의 일교차와 15일(r=0.8709**)과 출수기부터 7일(r=0.862**), 10일(r=0.860**), 15일(r =0.844**) 동안의 상대습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정계수($R^2$)와 수정된 결정계수($R^2$$_{adj}$), 잔차평균제곱(MSE)를 이용하여 예찰모델을 구한 결과, 출수 전 3일부터 7일 동안의 평균기온, 최저기온, 평균상대습도(RHavr), 최저상대습도(RHmin), 강우일수, 풍속의 6개 변수를 이용한 RGBR =92.83 - 2.437avr + 1.887min - 1.04RHavr + 0.37RHmin + 0.43RD - 3.68WS($R^2$=0.824)의 회귀식을 구할 수 있었다.다.

미토콘드리아 호흡활성 전이온도의 측정에 의한 벼품종별 상대적 내냉성판정 (Transition Temperature of Mitochondrial Respiratory Activity as an Index for Chilling Susceptivity of Varieties of Rice Plant)

  • 정진;김희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4호
    • /
    • pp.357-363
    • /
    • 1987
  • 생육기간동안 냉수처리하는 포장시험(작물시험장 시험사업)을 통해 재배학적방법으로 상대적 내냉성정도가 판정되어 있는 벼 41품종을 재배하여 그 유수로부터 분리한 미토콘드리아의 호흡활성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강내냉성으로 분류된 품종들은 $11.5{\sim}13.5^{\circ}C$의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전이온도를 보였으며 내냉성이 약한 품종들일수록 그 온도가 높아졌다. 작물시험장의 내냉성 판정등급(강, 중강, 중, 중약 및 약)에 따라 그룹별로 해당품종들의 호흡활성 전이온도를 배열하면 그 순서는 그룹별로 내냉성이 약해지는 순서와 일치하였다. 이 결과는 유수미토콘드리아의 호흡활성 전이온도가 전반적 내냉성(overall cold-tolerance) 판정의 객관적 지표가 된다는 사실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호흡활성 전이온도의 간편한 측정을 위한 방법론을 분석생화학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본연구에서 주로 이용한 polarographic method 이외에도 막에 결합된 cytochrome C oxidase가 호흡활성 및 그 전이온도를 결정한다는 발견에 입각하여 이 효소의 온도에 따른 활성변화를 spectrophotometric method로 측정하므로서 미토콘드리아 호흡계 전체의 활성전이온도를 측정할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 PDF

벼 1대잡종의 광합성 및 수량 관련 특성 (Characteristics Related to Photosynthesis and Grain Yield of $F_1$ Hybrid Rice)

  • 이덕배;권태오;이재길;박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20-427
    • /
    • 1995
  • 수도 웅성불임계통 HR7028A와 IR54756A에 임성 회복특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용문벼를 이용한 1대 잡종과 그의 양친(유지계통, 회복계통) 및 비교품종(장성벼)를 공시하여 1대 잡종에 대한 생리적 특성과 수량에 대한 잡종강세현상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와 출수후 20일에 건물중, 엽면적, 두 시기간 건물증가양과 엽면적 감소양에서 HR-7028A/용문벼는 우수친과 비교품종에 대한 잡종강세를 IR54756A/용문벼는 비교품종에 대해서 잡종강세를 나타냈다. 2. 출수후 20일 엽위별 엽면적에 있어 1대 잡종벼는 상위엽보다 하위엽에서 heterobeltiosis현상이 크게 나타났으며, 엽위별 무기성분 함량에 있어 HR7028A/용문벼는 질소, 인산, 칼리함양에서, IR54756A/용문벼는 칼리에서만 heterobeltiosis를 나타내었고 무기성분 중에서는 칼리 > 질소 > 인산 순으로 잡종강세 현상이 컸다. 3. 출수기 및 출수후 20일 지엽중 엽록소 함량, 광합성 능력, RuDPCase활성과 줄기의 전당, 전분함량은 HR7028A/용문벼는 heterobeltiosis, IR54756A/용문벼는 heterosis현상이 있었으며 출수후 20일 사이 지엽중 엽록소 함량, 광합성 능력, RuDPCase활성은 1대 잡종벼가 양친보다 감소량이 적으나 줄기의 전당 및 전분함량은 양친보다 감소량이 더 많았다. 4. HR7028A/용문벼는 수수와 입수에서, IR54756A/용문벼는 수수에서 heterobeltiosis를 나타내어 수량에서 HR7028A/용문벼는 11%, IR54756A/용문벼는 4%의 heterobeltiosis를 나타내었다. 또한 수량과 출수기 및 출수후 20일 지엽중 엽록소함량, 광합성능력, RuDPCase활력과 줄기중 전당, 전분 함량과는 고도의 유의성 있는 정의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남부지방에 있어서 수도수량구성요소 및 수량해석 제 3 보 재식밀도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의 변이 (Analytical Studies on the Rice Yield Components and Yield in South Region of Korea III. Variation in the Rice Yield Component and Yield under the Different Planting Density)

  • 김용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4-111
    • /
    • 1986
  • 남부 난지 다모작지대의 도작 증수재배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재식밀도를 3.3$m^2$당 50, 70, 90, 110주로 하고 이앙시기를 5월 20일부터 7월 5일까지 15일 간격, 4시기로 하여 수량형질의 변이 및 수량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줄기의 중기는 밀식보다 소식에서 컸고 이앙기가 빠를수록 가늘었다. 2. 이앙기 이동에 따른 적정 재식밀도는 서광벼의 경우 5월 20일 및 6월 5일 이앙구에서는 3.3$m^2$당 90주였으며 만식구인 6월 20일 및 7월 5일 이앙에서는 110주였고 동진벼는 5월 20일, 6월 5일, 6월 20일 이앙까지 90주였으며 7월 5일 이앙에서는 110주였다. 3. 등숙율은 재식밀도증가에 따른 변이가 크지 않았으나 다만 만식에서 그 효과가 인정되었다. 4. 재식밀도에 따른 1, 2차 지경 및 영화의 퇴화는 밀식할수록 적어지며 서광벼가 동진벼보다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 5. 단위면적당 수수는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직선적인 증가현상을 보였고 이앙기의 조만에 따른 변이폭은 동진벼보다 서광벼에서 더 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