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eomagnetic study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7초

북태평양 KODOS-90 지역 심해저 퇴적물의 고지자기 연구 (A Paleomagnetic Study of Deep-Sea Cores from the KODOS-90 Area in the North Pacific)

  • 도성재;박찬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권1호
    • /
    • pp.1-12
    • /
    • 1996
  • 북태평양의 KODOS-90 지역에서 채취한 4-6 m 길이의 중력 코아 3개를 대상으로 자기층서 확립 및 코아들 간의 상호대비를 위하여 고지자기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된 퇴적물은 자기적으로 안정된 잔류자화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들의 자기극성(Polarity)변화는 지자기층서표(Geomagnetic Polarity Time Scale) 의 플라이오-플라이스 토세(Plio-Pleistocene) 기간과 대비된다. 중력 코아 26의 대자율은 285 cm 지점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여 주어, 이 지점에 비교적 오랜기간 의 결층(Hiatus)이 존재함을 지시한다. 각 코아의 자극변화에 의한 평균 퇴적속도 는 중력 코아 20에서 0.09 cm/1000yr 이며, 중력 코아 08과 중력 코아 26은 중력 코아 20에 비하여 각각 약 2.7배와 1.4배의 상대적으로 높은 퇴적율을 보여준다.

진주 및 고령 지역에 분포하는 신라역암층의 잔류자화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Paleomagnetic Study on the Remanent Magnetization of the Silla Conglomerate Formation in Jinju and Goryeong Areas)

  • 김태성;민경덕;이윤수;이영훈;이동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31권4호
    • /
    • pp.325-338
    • /
    • 1998
  • 105 oriented samples (19 matrix samples, 86 cobbl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illa Coglomerate Formation in Jinju and Goryeong areas to clarify the regional remagnetization of Cretaceous Kyongsang supergroup. Both the alternating field and thermal demagnetizations were conducted for the collected samples. The characteristic remanent magnetizations of these samples divided into three types in the Silla Conglomerate Formation: The ingredient magnetic minerals are magnetite, hematite, or both magnetite and hematite in a specimen. The characteristic remanent directions of cobble samples did not clustered to any direction. And the characteristic remanent directions of interbedded sandstones in the Silla Conglomerate Formation is $D/I=20.6^{\circ}/54.5^{\circ}$ (${\alpha}_{95}=11.1^{\circ}$, k=48.8) after tilting correction, agree with previous paleomagnetic studies on the Hayang group. These results implied that conglomerate test was passed indicating no regional remagnetization in the studied area after deposition of the Silla Conglomerate Formation.

  • PDF

부여분지와 함평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암석에 대한 자기특성 연구 (Magnetic Characterization of the Cretaceous Rocks from the Buyeo and Hampyeong Basins)

  • 홍준표;석동우;도성재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2호
    • /
    • pp.191-207
    • /
    • 2007
  • 경상분지 이외의 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암석에 대한 특성잔류자화 방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한반도 남서부에 분포하는 부여분지와 함평분지의 백악기 암석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여분지에 분포하는 퇴적암의 고지 자기 방향은 경사보정전의 방향$(D/I=356.5^{\circ}/61.5^{\circ},\;k=39.3\;\alpha_{95}=7.4^{\circ})$은 경사보정후의 방향$(D/I=25.0^{\circ}/60.6^{\circ},\;k=22.4,\;\alpha_{95}=9.9^{\circ})$보다 더 집중됨으로 습곡 이후 재자화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경사보정후의 방향의 정밀도(k)와 신뢰도$(\alpha_{95})$ 경사보정 전의 값과 비교하여 신뢰할 수 있는 통계학적으로 여전히 양호한 값이며 경사보정 후의 극의 위치가 한반도 백악기의 극의 위치와 유사한 점 때문에 부여분지의 재자화 여부의 결정은 유보하였다. 경사보정 전의 고지자기극의 위치는 $(Lat./Long.=81.6^{\circ}N/106.9^{\circ}E,\;K=25.1\;A_{95}=9.3^{\circ})$는 유라시아 제3기의 고지자기 극과 유사하며, 경사보정 후의 고지자기극은 $(Lat./Long.=69.3^{\circ}N/186.7^{\circ}E,\;K=11.6\;A_{95}=14.0^{\circ})$로 한반도 후기 백악기의 극과 유사하다. 함평분지 퇴적암의 특성잔류자화 방향은 경사보정 후의 방향$D/I=32.5^{\circ}/55.4^{\circ},\;(k=35.6,\;\alpha_{95}=8.7^{\circ})$이 경사보정 전의 방향$D/I=18.3^{\circ}/62.5^{\circ},\;k=14.1,\;\alpha_{95}=14.2^{\circ})$보다 더 집중된다. 경사보정 후의 방향으로부터 계산된 고지자기극의 위치는 $Lat./Long.=63.9^{\circ}N/202.7^{\circ}E,\;(K=21.3,\;A_{95}=7.6^{\circ})$로 한반도 후기 백악기의 고지자기극$(Lat./Long.=70.9^{\circ}N/215.4^{\circ}E,\;A_{95}=5.3^{\circ})$의 위치와 유사하므로 암석의 생성 시기는 후기 백악기로 판단하였다. 한편 함평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에서는 한 개의 정자화 방향과 두 개의 역자화 방향이 확인되었다. 이들 특성잔류자화 방향은 백악기 화산암 형성 당시 암석에 기록된 성분으로써 당시 지구자기장의 상태를 기록한 것으로 해석하였으며, 이중 정자화 방향을 함평분지 화산암의 대표 방향으로 채택하였다 함평분지 화산암의 고지자기 극의 위치는 정자극의 경우는 $Lat./Long.=70.2^{\circ}N/199.5^{\circ}E,\;(K=18.1,\;A_{95}=9.6^{\circ})$ 이며 역자극의 경우는 $Lat./Long.=65.5^{\circ}S/251.3^{\circ}E,\;(K=7.1,\;A_{95}=20.7^{\circ})$이다. 이중 정자극의 위치는 한반도의 후기 백악기극의 위치와 통계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 함평분지 화산암의 형성 시기를 후기 백악기로 해석하였다.

경북 고령지역에 분포하는 경상누층군의 관입암류에 의한 재자화작용에 관한 고지자기 연구 (Paleomagnetic study of Remagnetization by a Dike in the Gyeongsang Supergroup)

  • 전영수;민경덕;이윤수;이영훈;이동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31권4호
    • /
    • pp.311-324
    • /
    • 1998
  • Paleomagnetic stud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magnetization by dikes in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We selected a site for a contact test as a preliminary study, and collected 41 core samples (7 from andesitic dike, 17 from sedimentary rock on the left side of dike and 17 from sedimentary rock on the right side). Magnetite was responsible for the remagnetization based on microscopic observation and demagnetization analysis. Although the increasement of magnetic susceptibility appears on both sides about 100 cm from the dike, the increment of NRM intensity was obtained from the specimens on the left side only. This is interpreted that the size of magnetite newly formed is dominated by superparamagnetic grains in the right side, but by larger than single-domain grains in the left. Reversed polarity component remagnetized by intrusion of dike was also found only for core samples from 116 cm left side of dike but abscent from right side indicating the remagnetization by the dike depends on the geometric shape and width of the dike, which is supported by field observations. The content of epidote is well correlated with remagnetization, and indicates the hydrothermal alteration/metameorphism was activated by the intrusion. We concluded that the above evidences in this study further support thermally-activated chemical origin of the remagnetization with meager contribution of contact metamorphism, and that any significant evidence of regional-scaled remagnetization was not found in the study area.

  • PDF

경기육괴에 분포하는 원생대 및 중생대 암석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Paleomagnetic Study of the Proterozoic and Mesozoic Rocks in the Kyeonggi Massif)

  • 석동우;도성재;김완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4호
    • /
    • pp.413-424
    • /
    • 2004
  • 한반도의 북중국/남중국지괴와의 연계성 및 충돌의 영향을 근거로 한반도의 지체구조적 진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육괴에 분포하는 중생대 대동누층군과 원생대 변성암인 서산층군에 대하여 고지자기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동누층군에 대해서는 26개 지점 239개의 시료 중 14개 지점 106개의 시료에서 생성당시의 특성잔류자화 방향을 추출하였다. 특성잔류자화 방향은 경사보정 후 평균방향이 D/I=74.5$^{\circ}$/36.7$^{\circ}$(k=60.7, $\alpha$=5.1$^{\circ}$)이며 이는 경사보정 전의 방향 D/I=61.9$^{\circ}$/52.8$^{\circ}$(k=4.4, $$\alpha$_{95}$=21.5$^{\circ}$)보다 집중된 분포를 나타내므로 암석생성당시 획득된 일차자화임을 지시한다. 경사보정 후의 방향으로부터 계산한 고지자기극은 208.0$^{\circ}$E, 24.5$^{\circ}$N (n=14, K=67.5,$A_{95}$=4.9$^{\circ}$)에 위치하며 중기 트라이아스기 남중국지괴의 고자기극과 통계학적으로 유사하므로 이 기간 동안 대동누층군은 남중국지괴와 지구조적으로 동일했던 것으로 해석되며 남중국지괴와 한반도의 충돌에 따른 변형$.$변성작용에도 일차자화가 보존되었음을 지시한다. 서산층군의 33개 지점에서 채취한 279개 시료의 대부분은 분산된 방향을 나타내며, 오직 쥬라기 화강암 주변의 6개 지점에서 채취한 36개의 시료로부터 특성잔류자화 방향을 추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기육괴의 최대 변성시기인 북중국/남중국지괴와의 충돌과 연관된 고생대 말기에서 중생대 쥬라기 시기의 지구조 운동의 영향으로 추측된다. 지층경사보정 이전의 잔류자화 방향은 D/I=45.7$^{\circ}$/60.1$^{\circ}$(k=41.2, $$\alpha$_{95}$=10.6$^{\circ}$)이며 이로부터 구해진 고지자기극의 위치는 195.0$^{\circ}$E, 51.6$^{\circ}$N(n=6, K=20.8,$A_{95}$=12.4$^{\circ}$)로서 한반도 쥬라기 또는 백악기 초의 고지자기극과 유사하다. 그러나 서산층군의 특성잔류자화 방향은 조산운동의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조산운동 후기 또는 이후에 쥬라기 대보화강암의 정치와 연관되어 획득된 재자화 방향으로 해석하였다.

추가령(標哥嶺) 지구대(地構帶)의 지질구조(地質構造), 고지자기(古地磁氣) 및 암석학적(岩石學的) 연구(硏究) (Structural, Paleomagnetic and Petrological Studies of the Chugaryeong Rift Valley)

  • 김규한;김옥준;민경덕;이윤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17권3호
    • /
    • pp.215-230
    • /
    • 1984
  • Petrological, paleomagnetic, geomorphological and structural studies on the southern part of, so called, Chugaryeong rift valley, have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clarify the nature of the rift valley. Three stages of volcanic activities characterized by Jijangbong acidic volcanic rocks and tholeiitic and andesitic basalt of Cretaceous age(?), and Jongok Quaternary olivine basalt occurred along the Dongducheon fault line. Jijangbong acidic volcanic rocks distribu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studied area consist of rhyodacite, acidic tuff and tuff breccia, which are bounded by Dongsong fault on the east and Daegwangri fault on the west. The Jongok basalt differs from those of Ulrung and Jeju islands in mineralogy, chemical composition and differentiation. Jongok basalt distributed along the Hantan river dilineates the vesicles curved toward downstream direction and increment of numbers and thickness of lava flow toward upstream direction. These facts suggest that lava flowed from upstream side of the river. Rectangular drainage patterns also support the presence of the Dongducheon, Pocheon, Wangsukcheon and Kyonggang faults which were previously known. LANDSAT image, however, does not show any lineaments which could be counted as a graben or rift valley. Displacement of Precambrian quartzite and Jurassic Daedong supergroup along the southwestern extension of the Dongducheon fault shows the right lateral movement. The Paleomagnetic study of the tholeiitic and andesitic basalts from Baegeuri, Jangtanri and Tonghyeonri located at 2. 3km east, 0km east, and 1.5km west of Dongducheon fault respectively shows that their VGP(Virtual Geomagnetic Pole) being to intermediate geomagnetic field of short duration which suggests that they formed in almost same period. Mean VGP of Jongok basalt is located 82.4N and 80.6E. This is in good coincidence with worldwide VGP of Plio-Pleistocene indicating that Jongok basalt was extruded during Plio-Pleistocene epoch, and suggesting that the studied area has been tectonically stable since then. From the present study, the tectonic episode of the region is concluded as following three stages. 1. The 1st period is worked by the Daebo orogeny of Jurassic during which granodiorite was intruded in Precambrian basement. 2. The 2nd period is the time when right lateral strike-slip fault of NNE-SSW direction was formed probably during late Cretaceous to Paleogene and the Jijangbong acidic volcanic rocks and the older basalts were extruded. 3. The 3rd period is the time when the fault was rejuvenated during Pliocene or Pleistocene accompanied by the eruption of Jongok basalt. As a conclusion, geologic structure of the studied area is rather fault line valley than graben or rift valley, which is formed by differential erosion along the Dongducheon fault suggesting a continuation of the Sikhote-Alin fault. The volcanic rocks including the Jijangbong acidic rocks, tholeiitic-andesitic basalt and olivine basalt are associated with this fault line.

  • PDF

고지자기학적 관점에서 본 추가령단층곡의 생성과 진화 (The Geodynamic Evolution of the Chugaryeong Fault Valley in a View Point of Paleomagnetism)

  • 이윤수;민경덕;황재하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6호
    • /
    • pp.555-571
    • /
    • 2001
  • 추가령 단층곡의 진화를 고찰하기 위하여, 철원-연천일원의 제4기 및 후기 백악기 화산암류로부터 채취한 총 16개 장소에서 163개 정향시료에 대하여 고지자기 연구를 실시하고 특성잔류자화를 구하였다. 후기 백악기의 지장봉 산성 화산암복합체의 상부 산성화산암규로부터 구한 고지자기극의 위치는 216.8$^{\circ}$E/7l.6$^{\circ}$N(dp=7.1$^{\circ}$, dm=10.0$^{\circ}$)로써 경상분지의 동시기의 것과 일치하는데 이는 추가령 단층선이 후기 백악기 이래로 커다란 지구조 운동을 경험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제4기 전곡 현무암에 대한 연구 곁과(134.2$^{\circ}$E/86.5$^{\circ}$N; $A_{ 95}$=7.1$^{\circ}$)도 현재의 지구회전축과 통계적으로 일치함으로서 이를 지지한다. 그러나, 지상봉 산성화산암복할체의 하부의 고기 현무암류로부터 구한 특성잔류자화 방향은 장소간에 심하게 산포되어, 본 암체의 화산활동이 추가령 단층곡의 좌수향 주향이동단층에 기인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는 후기 백악기의 추가령 단층곡의 진화사를 밝혀주는 중요한 증거이며, 동아시아의 FR 조구조 모델에 의해 잘 해석된다 이 논문은 FR모델로 조형한 추가령 단층곡의 생성과 진화에 대한 논의와 해석을 제공한다.다.

  • PDF

A Note on Magnetic Properties of Volcanic Rocks Collected from King George Island, Antarctic Peninsula

  • Funaki, Minoru;Ogishima, Tomoko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313-318
    • /
    • 2002
  • The basic magnetic properties are reported for Eocene andesite and granitic andesite collected from the King Sejong Station and Marsh Runway at King George Island, South Shetland Islands Antarctic Peninsula. Samples A (andesite), B (granitic andesite) and D (granitic andesite) carry stable component of natural remanent magnetization (NRM), but sample C (andesite) unstable URM. These NRM stabilities are consistent with the domain structures estimated by the ratios of $J_R/J_s\;and\;H_{RC}/H_C$ values. On the basis of their Curie temperature, we infer magnetite as the main magnetic carrier for samples A B and C and titanomagnetite for sample D. Our study reveals that samples A and B are suitable for paleomagnetic investigations, whereas sample D is not.

옥천대의 중생대 이래의 지구조적 운동에 관한 고지자기 연구 (Paleomagnetic Study for Tectonism on the Okcheon Zone Since Mesozoic)

  • 이윤수;민경덕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5호
    • /
    • pp.493-501
    • /
    • 1995
  • Carboniferous and Cretaceous rock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 and 12 sites respectively in the vicinity of the Okcheon Zone. Mean directions of characteristic component magnetizations from Carboniferous rocks along the Honam Shearzone reveal that the Okcheon zone was considerably rotated and deformed during Triassic. The amount of rotations were clockwisely $80.3^{\circ}$ in Mungyeong and $42.4^{\circ}$ in Hwasun areas. Mean directions of characteristic component magnetizations obtained from Cretaceous Yeongdong and Neungju Basin were identical to those from the Gyeongsang Basin in the Yeongnam Block indicating no relative motion between them since Cretaceous. Cretaceous paleopole position from 4 locations, $204.9^{\circ}E$ in longitude and $65.1^{\circ}N $ in latitu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