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ddy weed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7초

충북지역 발생 논잡초 분포 조사 (Survey of Weed Flora on Paddy Fields in Chungbuk Province in Korea)

  • 김은정;박재성;이채영;임상철;박인서;조용구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2호
    • /
    • pp.78-85
    • /
    • 2014
  • 충북지역의 이앙재배 논의 잡초 분포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3년 충북지역 12개 시 군의 346지점에 대한 잡초 발행 분포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충북지역 논에 발생하는 잡초는 모두 15개과 43초종이었고 과별 우점도는 방동사니과 21.5%로 가장 높았고 그뒤로, 화본과 17.4%, 물옥잠과 15.5%, 국화과 12.7%순이었다. 충북지역에서는 1년생 잡초는 32초종, 다년생 초종이 11종 분포하였고, 발생비율은 일년생이 71.3%, 다년생이 28.1%로 일년생잡초 발생 비율이 높았다. 충북지역 우점잡초는 물달개비(14.5%), 올챙이고랭이(10.5%), 강피(9.3%), 올방개(7.0%), 자귀(6.2%), 순이었다. 그 외의 지역은 모두 물달개비가 가장 우점하는 초종으로 조사되었다. TWINSPAN 분석을 통한 시 군의 잡초 유사성 분석 결과 개여뀌, 사마귀풀, 고마리, 바람하늘지기, 올챙이솔, 바랭이, 가래, 나도방동사니가 시 군을 구별하는 지표종으로 영향을 미쳐 이 초종의 출현 유무에 따라 지역별 논 잡초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충북지역 잡초발생을 예측하고, 이에 맞는 잡초 관리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충남지역 논 잡초 발생분포조사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 황기선;원옥재;박수혁;엄민용;한성민;서수정;이인용;이증주;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41-347
    • /
    • 2013
  • 본 조사는 2013년에 충남지역 17개 시 군의 524지점에서 논 잡초 발생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충남 전 지역 논 잡초 조사결과, 23초종이 조사되었다. 그 중 일년생 잡초가 19종, 다년생 잡초가 4종으로 나타났다. 물피의 발생비율이 25.25%로 가장 우점하였고, 물달개비 11.87%, 올방개 9.27%, 사마귀풀 8.47% 순으로 나타났다. Braun-Branquet에 의한 우점도 평가에 의하면 조사대상지의 95.2%가 우점도 1(개체수는 많지만 피도가 10%이하로 출현)이하로 적절한 잡초방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앞으로 충남지역 논 잡초의 발생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논 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휴경논에서의 수질관리 연구 (A Study on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in Fallow Paddy Fields)

  • 김형중;김선주;김필식;안열;양용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2호
    • /
    • pp.69-76
    • /
    • 2006
  • Fallow paddy areas have been increased due to the import of cheap agricultural product, and the unbalance between farming cost and rice price since 1990. The increasing fallow paddy area needs to be protected from the devastation by weed breeding for the re-cultivation. In this study, two fallow paddy fields managed with different water depth were selected for monitoring and analysing of water quality, water balance and plant body change. The managed fallow paddy fields were more effective in water quality purification and plants growth control than non-managed fallow paddy fields. And the fallow paddy field managed with some degree of water depth was the most effective field in terms of weed control.

답전윤환재배지(畓田輪換栽培地)에서의 잡초발생동태(雜草發生動態) (Weed Occurrence in Paddy-Upland Rotating Field)

  • 김길웅;신동현;박상조;정종우;여명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05-312
    • /
    • 1995
  • 벼-콩 답전윤환재배지에서의 잡초발생동태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건답직파재배지에서는 피의 우점현상이 두드러졌으며, 연작에 의해서 계속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콩재배지에서는 피, 좀명아주 및 (좀)바랭이가 문제잡초로 제기되었다. 2.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콩 재배로 또는 콩재배에서 벼 건답직파재배로 답전윤환(畓田輪換)을 함으로써 잡초의 발생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벗풀 및 수생잡초의 발생이 크게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3. 답전윤환재배시(畓田輪換栽培時) 동일 작물을 2년 이상 연속재배(連續我培)하면 잡초의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 PDF

한국(韓國) 논잡초(雜草) 방제체계(防除體系)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Study on Weed Control Systems in Rice Production in Korea)

  • 오윤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46-251
    • /
    • 1983
  • In recent years weed flora have been changed to perennial dominance in paddy field being affected by the cropping systems and cultural practices. The perennial weeds are difficult to be controlled with annual herbicides which occupy 94% of total consumption of herbicides. The weeds competed more with rice plants in early tillering stages in machine transplanted field. For the reasonable and effective weed control, it is advisable to use single ai herbicides in hand transplanting field, but combined and mixed herbicides should be applied in machine transplanting field.

  • PDF

유기재배 논에서의 예방적 잡초방제를 위한 가묘상 처리 효과 (Effects of False Seedbed on the Preventative Weed Control in Organic Rice Paddy Field)

  • 이병모;지형진;조정래;안난희;옥정훈;정지희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58-361
    • /
    • 2013
  • 논에서 예방적 방제 방법인 가묘상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가묘상의 횟수와 방법, 처리시기를 달리하여 온실과 포장에서 2012년과 2013년 2년 동안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플라스틱 박스에 논흙을 담고 가묘상 방법과 처리 시기를 조사한 바 표토를 긁어주거나 얕게 뒤엎어주는 방법 모두 70% 이상의 잡초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너무 잡초가 어린 1.5엽기 보다는 3엽기 일때가 효과적이여서 가묘상 처리는 잡초가 2-3엽기일 때 수행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포장조건에서의 가묘상 1회 처리 시 61%의 잡초가, 2회 처리 시 79%의 잡초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가묘상 처리에 의해 전체적인 잡초의 발생량은 줄어들었으나 물달개비는 여전히 많이 발생 하였고, 강피는 가장 많이 줄어들었다. 이에 피속 잡초가 문제되는 논에서는 적극적으로 가묘상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초기 잡초밀도를 낮추는데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묘상 처리 방법은 중경제초기로도 68%의 억제율을 보여 충분히 가능한 방법임을 입증하였으나 트랙터를 이용하여 로타리 경운을 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이 무농약재배 케일(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의 생육과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and Weed Control Methods on Growth and Weed Occurrence of Pesticide-Free Kale(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 임경호;김선국;김도익;서윤원;양승구;김용순;김홍재;김정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01-517
    • /
    • 2009
  • 노지재배 케일의 재배 포장 조건과 재배 작기에 따른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이 케일의 생육과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재배 포장은 밭토양과 논토양에서 수행하고, 재배 작기는 봄 작형과 가을 작형에서 수행하였다. 밭토양에서의 가을재배 작형의 멀칭재료에 따른 지온은 멀칭처리가 $0.9{\sim}2.0^{\circ}C$ 높았다. 잡초 방제가는 멀칭종이 처리가 91% 이상이었고,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에 따른 잡초 방제시간은 멀칭종이+기계제초 처리가 무멀칭+손제초 대비 70% 절감되었으며, 케일의 수량은 관행재배와 비슷하였다. 밭토양에서의 봄재배 작형의 종이멀칭 처리는 기온이 비교적 낮은 4월은 무멀칭대비 지온이 높았고 온도가 높아지는 5월과 6월에는 낮았다. 우점잡초는 명아주가 우점 하였으며, 잡초 방제가는 멀칭종이 처리가 52% 이상이었고,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에 따른 잡초 방제 시간은 멀칭종이+기계제초 처리가 무멀칭+손제초 대비 75% 절감되었으며, 케일의 수량은 관행재배대비 34% 증수되었다. 논토양에서의 봄재배 작형의 우점잡초는 둑새풀이 우점 하였으며, 잡초 방제가는 멀칭종이 처리가 43% 이었고, 멀칭재료와 제초방법에 따른 잡초 방제시간은 멀칭종이+기계제초처리가 무멀칭+손제초 대비 80% 절감되었으며, 케일의 수량은 관행재배대비 26% 증수되었다.

  • PDF

답전윤환(畓田輪換) 콩 재배지(栽培地)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방제(防除) (Weed Occurrence and Control at Soybean Culture in Rice-Soybean Rotated Paddy Field)

  • 김길웅;신동현;박상조;정종우;황상섭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3-320
    • /
    • 1995
  • 논을 밭으로 전환(轉換)하여 콩을 파종 재배하였을 때 잡초발생동태 및 효과적인 방제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한 일련의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밭으로 전환시(轉換時) 주요 발생 잡초는 (좀)바랭이, 피, 좀명아주, 속속이풀, 벼룩나물 등이었으며 첫해보다는 2년째에 광엽잡초 특히, 좀명아주, 속속이풀의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4월 26일 파종구에 비하여 5월 20일에 파종했을 때 잡초의 발생량이 84.8%(건물중 기준) 감소되었다. 2. 무방제(無除草) 방임(放任) 상태(狀態)에서는 콩의 분지수, 주경의 지름, 꼬투리수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콩의 수량이 70% 감소되었다. 3. 답전윤환 콩재배지에서는 pendimethalin, metolachlor, metolachlor+prometryn, alachlor 처리로 효과적인 잡초방제가 가능하였고 그 중에 metolachlor+prometryn가 가장 우수하였다.

  • PDF

유휴농지를 이용한 수질관리방안 연구 (A Sutdy on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using Fllow Paddy)

  • 김형중;안열;김선주;김필식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85-489
    • /
    • 2005
  • Fallow paddy has been increased in disadvantageous farming condition area because of importation of foreign agricultural products, labor cost and the imbalance between farming cost and agricultural products price since 1990. The fallow paddy that has gradually increased needs to be prevented from the devastation by weed breeding for re-cultivation. In this study, two fallow paddies that manage with different water depth from the experimental field were selected for observation, and analysis of water quality, water balance and plant body change. The managed fallow paddy was more effective in water quality purification and plants growth control than non-managed fallow paddy. And the fallow paddy managed with a some degree water depth was the most effective field on weed contr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