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T2

검색결과 17,575건 처리시간 0.052초

Effects of Seeding Dates on Yield and Feed Value of Italian Ryegrass in Paddy Field Cultivation

  • Lee, Sang Mo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5-192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eeding dates on the yield and feed value in cultivating Italian rye grass on paddy soil. The field experiment was design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of 3 repetitions with seeding dates of Oct. 19 (T1), Oct. 26 (T2), Nov. 2 (T3), Nov. 9 (T4), and Nov. 16 (T5) treatments. Plant length,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were increased with early seeding dates (p<0.05).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were increased with early seeding dates (p<0.05). On the other hand, NDF, ADF and Crude fiber were decreased with early seeding dates (p<0.05). Total mineral contents were higher in the order of T4 > T3 > T5 > T1 > T2 (p<0.05). The total composition amino acid cont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seeding dates delayed. Total free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T1, whereas the lowest in T5 treatment (p<0.05). Nutrition yields (crude protein, crude fat, amino acid and free sugar)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early seeding dates (p<0.05). The above result indicated that it is favorable to seed soon after rice harvest to increase dry matter yield and nutrition yield of Italian ryegrass in the midlands.

족삼리(ST36) 전침 자극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at the ST36 on the Electroencephalogram)

  • 권순철;윤대식;이상룡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3권1호
    • /
    • pp.15-36
    • /
    • 2006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EA) at the ST36 on normal humans by using power spectral analysis. Methods : EEG(Electroencephalogram) power spectral exhibits site-specific and state-related differences in specific frequency bands. In this study, power spectrum was used as a measure of complexity. 32 channel EEG study was carried out in 12 subjects (10 males; age=26.7 years old, 2females; age=28 years old). Results ; In ${\alpha}$ (alpha) band, the power values at Fp2, F7, F3, Fz, FTC1, FTC2, T3, C3, Cz, C4, TT1, TCP1, CP1, CP2,T5, P3, Pz, P4, Po1, Po2, O1, Oz,O2 channels(p<0.05) during the ST36-acupoint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eta}$ (beta) band, the power values at Fp2, F7, F3, Fz, F4, F8, FTC1, FTC2, T3, C3, Cz, C4, TT1, TCP1, CP1, CP2, T5, P3, Pz, P4, Po1, Po2, O1, Oz, O2 channels(p<0.05) during the ST36-acupoint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elta}$ (delta) band, the power values at F7, Fz, T3, C3, TT1, TCP1, CP1, CP2, T5, P3, Pz,T6, Po1, PO2,O1, Oz, O2 channels(p<0.05) during the ST36-acupoint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ta}$(theta) band, the power values at F7, Fz, FTC1, T3, TCP1, CP2, TCP2, Po1, Po2 channels(p<0.05) during the ST36-acupoint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lpha}$/${\beta}$ values at Cz, T5, O1, Oz, O2 channels during the ST36-acupoint treatment were increased. ${\beta}$/${\theta}$ values at Fpl, F7, F3, Fz, F4, F8, FTC1, FTC2, T3, C3, C4, T4, TT1, TCP1, TCP2, TT2, P3, P4, T6, Pol channels during the ST36-acupoint treatment were increased. Conclusions : This results suggest that Electroacupuncture at the ST36 mostly affects the charge on alpha(23 channels), beta(25 channels) bands.

  • PDF

연잎 및 연근 추출물을 함유한 분쇄돈육의 품질 특성 및 기호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alatability of Ground Pork Meat Containing Lotus Leaf and Root Extracts)

  • 이경수;김주남;정인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51-859
    • /
    • 2012
  • 본 연구는 연잎 및 연근 추출물이 분쇄돈육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쇄돈육은 돈육등심에 냉수 5% 첨가(T0), 연잎 추출물 5% 첨가(T1), 연잎 추출물 2.5% 및 연근 추출물 2.5% 첨가(T2) 그리고 연근 추출물 5% 첨가(T3) 등 네 종류를 제조하였다. 수분, 단백질, 지방 및 회분 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가열수율, 수분 보유율, 보수력 및 직경감소율은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지만 지방 보유율은 T0가 가장 높았다(p<0.05). L-value(명도)는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유의하게 높았지만(p<0.05) a-value(적색도) 및 b-value(황색도)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H는 T1이 가장 낮았으며(p<0.05), VBN 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BARS 값은 T0, T1, T2 및 T3가 각각 0.47, 0.17, 0.21 및 0.32 mg MA/kg으로 연잎 추출물을 첨가한 T1이 가장 낮았다(p<0.05). 기계적 조직감으로 측정한 경도, 탄성, 응집성 및 저작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맛을 내는 유리아미노산은 T1이 642.5 ppm으로 가장 높았다(p<0.05). 관능특성 중 맛,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풍미는 T1이 가장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연잎 추출물의 첨가가 지방산화를 억제하고 풍미를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Normalized gestural overlap measures and spatial properties of lingual movements in Korean non-assimilating contexts

  • Son, Minjung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31-38
    • /
    • 2019
  • The current electromagnetic articulography study analyzes several articulatory measures and examines whether, and if so, how they are interconnected, with a focus on cluster types and an additional consideration of speech rates and morphosyntactic contexts. Using articulatory data on non-assimilating contexts from three Seoul-Korean speakers, we examine how speaker-dependent gestural overlap between C1 and C2 in a low vowel context (/a/-to-/a/) and their resulting intergestural coordination are realized. Examining three C1C2 sequences (/k(#)t/, /k(#)p/, and /p(#)t/), we found that three normalized gestural overlap measures (movement onset lag, constriction onset lag, and constriction plateau lag) were correlated with one another for all speakers. Limiting the scope of analysis to C1 velar stop (/k(#)t/ and /k(#)p/), the results are recapitulated as follows. First, for two speakers (K1 and K3), i) longer normalized constriction plateau lags (i.e., less gestural overlap) were observed in the pre-/t/ context, compared to the pre-/p/ (/k(#)t/>/k(#)p/), ii) the tongue dorsum at the constriction offset of C1 in the pre-/t/ contexts was more anterior, and iii) these two variables are correlated. Second, the three speakers consistently showed greater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tongue dorsum and the vertical tongue tip position in /k(#)t/ sequences when it was measured at the time of constriction onset of C2 (/k(#)t/>/k(#)p/): the tongue tip completed its constriction onset by extending further forward in the pre-/t/ contexts than the uncontrolled tongue tip articulator in the pre-/p/ contexts (/k(#)t/>/k(#)p/). Finally, most speakers demonstrated less variability in the horizontal distance of the lingual-lingual sequences, which were taken as the active articulators (/k(#)t/=/k(#)p/ for K1; /k(#)t/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하악과두 위치변화 분석 (EVALUATION OF CONDYLAR POSITION USING COMPUTED TOMOGRAPH FOLLOWING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최강영;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570-593
    • /
    • 1996
  • 본교실에서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0명(남자 9명, 여자 11명)을 대상으로 술전, 술직후, 장기관찰기간동안의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하악과두의 위치변화와 술전, 술직후, 악간고정제거 24시간후 및 장기관찰기간동안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재발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부 축방향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거리(MM')는 $84.45{\pm}4.01mm$ 였으며, 장축각은 우측 11.89%5.1 $9^{\circ}$좌측 $11.65{\pm}2.09^{\circ}$로 좌우 비슷하였으며, 기준선(AA')에서 과두의 외측점은 12mm, 내측점은 7mm 정도 전방에 위치하였다. 관상면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 거리(mm')는 $84.43{\pm}3.96mm$ 였으며, 사축각은 우측 $78.12{\pm}3.43^{\circ}$ 좌측 $78.09{\pm}6.12^{\circ}$로 좌우 비슷하였다 . 2. 술전후 과두위치 변화(T2C-T1C)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p>0.05),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장기관찰에 따른 회귀성향(TLC-T2C)에서는 LMD, LLD(p<0.05), RLD, RMD(p<0.01), mm'(P<0.001)는 모두 감소하였다. 3. 측면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술직후와 악간고정제거 24시간후(T3-T2)에서 하악의 초기재발은 통계적인 의의가 없었으며(p>0.05) 하악전치의 경우만 평균 0.33mm 전방이동하였다(p<0.05). NN'L1, NN'Pog, NN'Gn, NN'Me, over-jet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NN'Ll 1.2%, NN'B 5.0%, NN'Pog 2.0%, NN'Gn 9.1%, NN'Me 10.3%의 총재발량을 보였다. 4. 하악골의 술전, 술후 변화량(T2-T1)이 총재발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에서 후퇴량이 많을수록 하악골의 총재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하악골 변화량(T2-T1)과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과 총재발량(TL-T2),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와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 그리고 술전 하악골 외형(T1)과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에 대하여 단순 및 복잡회귀분석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6.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가 총재발량(TL-T2)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잡회귀분석결과 우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하악골의 수평적인 재발(NN'Ll, NN'8, NN'Pog, NN'Gn, NN'Me)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좌측과두에서는 NN'Ll, NN'Me에서 같은 결과를 보였다. 7,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가 술전 하악골외형(T1)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잡회귀분석결과 우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하악골의 수직고경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p<0.05), 좌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수직고경이 크며, 전돌된 양상으로 나타났다(p<0.05) . 8. 술전 하악골 외형(T1)이 총 재발량(TL-T2)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NN'L1, NN'B, NN'Gn, NN'Me, over-jet 둥의 계측점에서 하악골이 전돌된 양상을 보일수록 NN'B에서의 총재발량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 수평피개량(over-jet)이 클수록 NN'B, NN'Pog, NN'Gn, NN'Me에서의 총재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과두보존술을 이용하여 과두를 안정화시키고 난후 악골 형태를 재구성하였을 때 이로 인하여 생기는 하악과두 이동은 미미하여 술후 재발에 크게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라고 사료된다.

  • PDF

맥주박과 옥수수 위주의 발효사료에 대한 Coated Vitamin C+E 및 면실의 첨가가 거세한우의 육조성분, 육색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ing Coated Vitamin C+E with Cottonseed on Meat Composition, Meat Color and Carcass Grade in Hanwoo Steers Fed Brewers Grain and Cracked Corn-Based Fermented Feedstuff)

  • 박병기;성대경;김창혁;권응기;오상집;신종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227-236
    • /
    • 2006
  • 본 연구는 맥주박과 옥수수 위주의 발효사료에 대한 coated vitamin C+E 및 면실의 첨가 급여가 거세한우의 육조성분, 육색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평균체중 550.4±42.8kg의 거세한우 24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발효사료급여구(T1)와 coated vitamin C+E 및 면실 첨가 발효사료구(T2)의 2처리로 하였다. 배최장근의 조지방 함량은 T2구에서 T1구에 비해 높았다(p< 0.05). 배최장근의 표면 육색 중 황색도와 색상색은 T2구에서 T1구에 비해 낮았고(p<0.05) 명도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다(p<0.05). 육량 A 등급의 출현은 T2구에서 T1구에 비해 높았다. 근내지방도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맥주박과 옥수수 위주의 발효사료에 대한 CVCE 및 면실의 첨가는 거세한우 배최장근의 조지방 함량, 육색 및 근내지방도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청소년의 자살예방을 위한 게이트키퍼 행동 영향요인 (The Influencing Factors on GateKeeper Behavior of Adolescents for Suicide Prevention)

  • 오경옥;강문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431-43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게이트키퍼 행동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 광역시 소재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게이트키퍼 행동은 성별(t=2.85, p=.005), 학교유형(t=-2.81, p=.006), 가족이나 친구의 자살경험 여부(t=-2.09, p=.03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살예방에 대한 인식(r=.23, p=.006) 및 지식(r=.42,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자살예방에 대한 인식(${\beta}=.20$, p=.006)과 지식(${\beta}=.35$, p<.001)이 게이트키퍼 행동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는 게이트키퍼 행동에 대해 총 24.3%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예방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지식 향상을 제공할 수 있는 중재 개발을 제언한다. 또한 추후 청소년의 자살예방을 위한 게이트키퍼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Influence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aflatoxin B1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of a buffalo diet

  • Singh, Ram;Park, Sungkwon;Koo, Jin Su;Balasubramanian, Balamuralikrishna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1호
    • /
    • pp.131-138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flatoxin B1 (AFB1)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t various dose levels of 0 (T1), 100 (T2), 200 (T3), and 300 (T4) ppb in a wheat straw-based buffalo diet. The results show that the truly degradable dry matter, truly degradable organic matter, gas production, microbial biomass production and partitioning factor values in the control group (T1) were higher (p < 0.05) than those of the T2, T3, and T4 groups. The total volatile fatty acids, acetate, propionate, and butyrate values in the control group (T1) were higher (p < 0.05) than those of the T2, T3, and T4 groups. The partitioning factor value in the control group (T1) was higher (p < 0.05) than those of the T2, T3, and T4 groups. The partitioning factor values of the T2 and T3 groups were higher (p < 0.05) than that of the T4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partitioning factor value between the T2 and T3 group. The acetate : propionate (A : P) ratio in the control group (T1) was lower (p < 0.05) than those of the T2, T3, and T4 groups. The A : P ratio in the T2 group was lower (p < 0.05) than those of the T3 and T4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different levels of AFB1 contamination in feed significantly affect th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hus, these findings could help to determine the influences of AFB1 in a wheat straw-based buffalo diet.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manage AFB1 contamination in ruminants.

Diurnal Variation in Hydration of the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Assessed Using T2 Mapping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 Chanyuan Liu;Jingyi Wang;Bowen Hou;Yitong Li;John N. Morelli;Peisen Zhang;Jun Ran;Xiaoming Li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6호
    • /
    • pp.638-648
    • /
    • 2022
  •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urnal variation in cervical disc hydr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cervical degen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C3-C7 discs of 86 prospectively enrolled participants (37 males, 49 females;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23.5 ± 2.5 years) were assessed using T2 mapping in the morning and evening. All discs were stratified by Miyazaki grade or C2-C7 Cobb angle and T2 values (T2). The degree of diurnal T2 variation (T2-DDV), defined as (morning T2 - evening T2)/morning T2 x 100%, was measured for the entire disc, annulus fibrosus (AF), nucleus pulposus (NP), and endplate zones. Results: T2 of the entire disc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daytime load (p < 0.001), with a T2-DDV of 13.3% for all discs and 16.0%, 12.2%, and 13.0% for healthy (grade I), mild degenerative (grade II), and advanced degenerative (grade III/IV) discs, respectively. T2 of regional NPs and AF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morning to evening (p ≤ 0.049) except in the healthy anterior inner AF (p = 0.092). Compared with healthy discs, mild degenerative discs displayed lower T2 and T2-DDV in regional NPs (p < 0.001). Advanced degenerative discs showed higher T2-DDV in the anterior inner AF compared with healthy discs (p = 0.050). Significant diurnal T2 changes in the endplate zones were observed only in healthy discs (p = 0.013). Cervical discs in the low Cobb angle group showed higher T2-DDV in the anterior AFs and anterior NP and lower T2-DDV in the posterior AF than those in the high Cobb angle group (p ≤ 0.041). Conclusion: This study characterized the diurnal variation in hydration of the cervical discs as assessed using T2 mapping and revealed early chemo-mechanical coupling dysfunction in degenerating discs. Cervical sagittal alignment on MRI can affect the diurnal stress patterns of the cervical discs. T2 mapping is sensitive to disc biomechanical dysfunction and offers translational potential from biomechanical research to clinical application.

미숙아에서 이온화 마그네슘, 총 마그네슘과 재태 연령과의 관계 및 뇌실 내 출혈과의 관계 (Association of ionized magnesium, total magnesium, gestational age, and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preterm babies)

  • 김태연;이현희;성태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0호
    • /
    • pp.1140-1146
    • /
    • 2009
  • 목 적:마그네슘은 인체 혈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농도로 존재하지만, 인체 내에서의 역할, 특히 미숙아에서 이에 대한 병태생리가 현재까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다. 한편 진통용해제나 임신중독증 치료를 위해 산전에 황산 마그네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고마그네슘혈증에 따른 신생아시기에 영향에 대해 많은 연구가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마그네슘보다 이온화 마그네슘이 생리적으로 활성화되어 더욱 정확히 마그네슘의 역할을 볼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되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첫 번째 연구로 미숙아에서 총마그네슘(tMg), 이온화 마그네슘(iMg) 과 재태 연령, 총칼슘(tCa), 이온화 칼슘(iCa)과의 상관성을 살펴보고, 두 번째로 혈청 마그네슘 농도와 미숙아 질환 중 뇌실 내 출혈과의 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2006년 6월부터 2008년 2월까지 한림대학교의료원 강남성심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산모에게 산전 어느 기간에라도 황산 마그네슘을 투여 받은 경우, 선천성 기형이 있는 경우, 5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로 지속되는 경우, 보호자가 검사에 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한 119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직후 혹은 늦어도 출생 3시간 안에 태아의 혈액 검체로부터 tMg, iMg, tCa, iCa을 측정하였다. 1차 연구로 tMg 및 iMg와 재태 연령, tCa, iCa, pH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고, 2차 연구로 뇌실 내 출혈군(IVH, n= 19)과 없는 군(대조군, n=100)으로 나누어 tMg, iMg, tCa, iCa, 재태 연령, 출생체중, 1분 및 5분 Apgar 점수, 산모의 고혈압의 유병율, 산전 진통 유병율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혈청 tMg 농도는 재태 연령, tCa, iCa, pH 등과 모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왔으나, iMg은 tMg가 증가할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r=0.288, P=0.002), iCa과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다(r=0.212, P=0.021). 하지만, 재태 연령과 pH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총 119명 중 IVH 군은 19명, 대조군은 100명이었다. tMg은 IVH에서 $2.5{\pm}0.9mg/dL$, 대조군에서 $2.1{\pm}0.6mg/dL$로 뇌실 내 출혈이 있는 군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더 높은 마그네슘 농도를 보였다(P=0.021). 반면, iMg, tCa, iCa, pH 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평균 재태 연령과 출생체중은 각각 연구군이 $33.3{\pm}2.6$주 vs. 대조군 $35.0{\pm}2.1$주, 연구군 $2,093.2{\pm}628.1g$ vs. $2,385.7{\pm}514.3g$으로 연구군이 통계학적으로 더 의미 있게 더 작고 더 어렸다(P=0.002, P=0.030). 재태 연령과 출생체중, Apgar 점수를 고려하여 다시 한번 다변수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총 마그네슘의 농도(OR 2.798, 95% C.I. 1.265-6.192, P=0.011)는 역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위험인자로 나왔다. 결 론:재태 연령 37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tMg의 농도는 재태 연령과는 관계가 없었으며, iMg의 혈중농도 역시 재태 연령과는 관계없이 비슷했고, tMg, iCa과 관계가 있었다. 또한, 뇌실 내 출혈이 있던 미숙아에서 고마그네슘혈증을 보였으므로, 이전에 마그네슘에 노출된 적이 없더라도 출생 직후의 혈청 마그네슘 농도가 높은 미숙아들의 경우 IVH를 고려해봐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