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194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1초

The effects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2 and enamel matrix derivative on the bioactivity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in MC3T3-E1cells

  • Jeong, Youngdan;Yang, Wonkyung;Ko, Hyunjung;Kim, Miri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9권3호
    • /
    • pp.187-194
    • /
    • 2014
  • Objectives: The effects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2 (BMP-2) and enamel matrix derivative (EMD) respectively with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on hard tissue regeneration have been investigat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osteogenic effects of MTA/BMP-2 and MTA/EMD treatment in MC3T3-E1 cells. Materials and Methods: MC3T3-E1 cells were treated with MTA (ProRoot, Dentsply), BMP-2 (R&D Systems), EMD (Emdogain, Straumann) separately and MTA/BMP-2 or MTA/EMD combination. Mineralization was evaluated by staining the calcium deposits with alkaline phosphatase (ALP, Sigma-Aldrich) and Alizarin red (Sigma-Aldrich). The effects on the osteoblast differentiation were evaluated by the expressions of osteogenic markers, including ALP, bone sialoprotein (BSP), osteocalcin (OCN), osteopontin (OPN) and osteonectin (OSN), as determined by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RT-PCR, AccuPower PCR, Bioneer). Results: Mineralization increased in the BMP-2 and MTA/BMP-2 groups and increased to a lesser extent in the MTA/EMD group but appeared to decrease in the MTA-only group based on Alizarin red staining. ALP expression largely decreased in the EMD and MTA/EMD groups based on ALP staining. In the MTA/BMP-2 group, mRNA expression of OPN on day 3 and BSP and OCN on day 7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TA/EMD group, OSN and OCN gene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on day 7, whereas ALP expression decreased on days 3 and 7 (p < 0.05).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MTA/BMP-2 combination promoted more rapid differentiation in MC3T3-E1 cells than did MTA/EMD during the early mineralization period.

The taxonomic consideration of floral morphology in the Persicaria sect. Cephalophilon (Polygonaceae)

  • KONG, Min-Jung;HONG, Suk-Py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85-194
    • /
    • 2018
  • A comparative floral morphological study of 19 taxa in Persicaria sect. Cephalophilon with four taxa related to Koenigia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axonomic implications. The flowers of P. sect. Cephalophilon have (four-)five-lobed tepals; five, six, or eight stamens, and one pistil with two or three styles. The size range of each floral characteristic varies according to the taxa; generally P. humilis, P. glacialis var. glacialis and Koenigia taxa have rather small floral sizes. The connate degrees of the tepal lobes and styles also vary. The tepal epidermis consists of elongated rectangular cells with variation of the anticlinal cell walls (ACWs). Two types of glandular trichomes are found. The peltate glandular trichome (PT) was observed in nearly all of the studied taxa. The PT was consistently distributed on the outer tepal of P. sect. Cephalophilon, while Koenigia taxa and P. glacialis var. glacialis had this type of trichome on both sides of the tepal. P. criopolitana had only long-stalked pilate-glandular trichomes (LT) on the outer tepal. The nectary is distributed on the basal part of the inner tepal, with three possible shapes: dome-like, elongated, and disc-like nectary. The nectaries are always accompanied by elongated or spheroidal papillae. Various combinations of floral characters (e.g., the numbers of stamens and styles, the stigma shape, the nectary shape, ACWs, cuticular striation and the trichome type and distribution) of P. sect. Cephalophilon are useful when attempting to recognize the infrasectional levels of P. sect. Cephalophilon recently proposed. Here, we describe the floral characteristics in detail and discuss the taxonomic significance of the floral characters.

국내 한 민간종합병원에서 결핵 환자의 진료 실태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Diagnosis, Treatment,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Tuberculosis at a Private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 정영주;박이내;홍상범;오연목;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심태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2호
    • /
    • pp.194-204
    • /
    • 2006
  • 연구 배경 : 결핵은 아직도 우리나라에서 보건학적으로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공공의료부문과 달리 민간의료부문에서의 결핵 환자 진료 실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황이다. 국내 민간 병원에서의 결핵환자 진료 실태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 법 : 2001년에서 2002년 사이에 결핵정보감시체계에 등록된 15세 이상의 결핵 환자 1,819명 중 결핵이 아닌 사람 153명을 제외한 1,66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환자를 폐결핵과 폐외결핵, 초치료군과 재치료군으로 나누어 임상상, 진단방법,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 치료처방, 약제부작용 및 치료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666명의 평균 나이는 48.9세, 남녀비는 1.3:1이었다. 폐결핵 초치료 및 재치료, 폐외결핵 초치료 및 재치료 환자는 각각 809, 276, 480, 101명이었고, 26.2%(437명) 에서 기저질환이 동반되었다. 92.0% (1,532명)에서 세균학적 검사가 시행되었고 배양 양성은 폐결핵에서 58.1%(630명), 폐외결핵에서 31.7% (184명)이었다 (p<0.05). 도말 양성 폐결핵은 45.4% (493/1,085)이었다. 결핵균 PCR은 폐결핵의 16.2%, 폐외결핵의 60.4%에서 시행되었으며 양성률은 전체 환자 중 각각 5.9%와 29.8%이었다(p<0.05). 다제내성 결핵은 14.0% (68/485)에서 확인되었다. 전체 환자의 치료완료율은 70.2%이었고, 배양 양성 폐결핵 환자에서의 완치율 및 치료완료율은 각각 49.4%와 65.6%이었다. 전체 환자의 치료중단율은 13.5%, 사망률은 1.9%이었다. 결 론 서울 소재 한 민간대학병원에서의 결핵의 진단 및 치료는 국내 결핵관리지침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진단기법의 도입 등 만족할 만하였으나 중도 탈락 환자를 관리하지 못하는 단점이 확인되었다. 추후 중도 탈락 환자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양한 치료기간의 원인에 대하여는 추후 분석이 필요하다.

누에 핵다각체병 바이러스를 이용한 새로운 전이 벡터의 제작 (Construction of New Transfer Vector of Nuclear Polyhedrosis Viru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 우수동;김우진;진병래;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6-51
    • /
    • 1995
  • 국내 분리주의 BmNPV를 이용하여 유용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전이벡터의 제작과 외내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CR 기법에 의하여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의 +1 - -194에 해당하는 promoter 부위를 증폭하고 클로닝 하였다. 2. 다각체 단백질 유전子의 5' 및 3'의 leader 부위를 promoter 부위와 함께 단계적으로 클로닝하여 전이벡터를 완성하였다. 3. 완성된 전이벡터는 pBmKSK1으로 명명하였으며, 염기서열 결정을 통하여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의 +2 부터 +597까지 제거되고 외내 유전자의 클로닝 sites로 EcoRI, KpnI과 SacI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4. 외래 유전자로서 E. coli의 $\beta$-galactosidase 유전자를 pBmKSKl에 클로닝하고 누에 세포주에 전이시킨 후, X-gal 염색 및 SDS-PAGE에 의하여 pB- mKSKl이 제 기능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 PDF

젖소의 분만 후 비정상적 난소 주기가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bnormal Ovarian Cycle Postpartum on Subsequent Reproductive Performance in Holstein Cows)

  • 박수봉;손준규;박성재;백광수;전병순;안병석;김현섭;박춘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3호
    • /
    • pp.213-218
    • /
    • 2006
  • 본 연구는 젖소의 분만 후 난소 주기 재개의 이상이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 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공시우의 58.8%(l14/194)가 정상적인 난소 주기의 재개를 하였고 41.2%의 소에서 난소 주기의 재개가 지연되었다. 배란 후 황체기가 20일 이상 유지되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I형(17.5%)과 분만 후 40일 이전에 첫 배란이 나타나지 않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II형(22.7%)이 난소 주기 재개 지연의 일반적인 형태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를 가진 개체와 비교해 보면, 황체기가 연장된 소들의 분만 후 100일 이내의 인공수정 공시율, 수태율과 임신율은 더 낮고(각각 84.2 대 40.0%; p<0.01, 24.0 대 21.4%, 20.2 대 11.1%) 분만 후 첫 수정 일수와 공태 일수가 더 길다(각각 $64.7{\pm}2.79$$105.7{\pm}7.48$일; p<0.01, $105.1{\pm}7.16$$133.7{\pm}11.17$일). 정상우와 무배란우를 비교해 보면, 100일 이내의 수태율과 임신율이 낮고(각각 24.0대 20.0%, 20.2 대 16.3%) 분만 후 첫 수정 일수과 공태 일수가 더 길다(각각 $64.6{\pm}2.79$$72.6{\pm}4.45$일, $105.1{\pm}7.16$$120.8{\pm}12.33$일). 결론적으로 젖소의 분만 후 비정상적인 난소 주기는 인공수정 공시율, 임신율, 첫 수정 일수와 공태 기간을 포함하는 번식 성적의 저하를 유발시킨다.

박막 실리콘 태양전지의 도핑층 광손실 제거 기술

  • 백승재;팡량;박상일;임굉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3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94-195
    • /
    • 2012
  • 박막 실리콘 태양전지에 입사한 빛 중 흡수층인 진성 비정질 실리콘층(i-a-Si)에 흡수된 빛은 출력으로 변환되나, 기타의 층에서 흡수된 빛은 손실 성분이 된다. 이 중 흡수 손실이 큰 층은 도핑 층(p-a-SiC 및 n-a-Si)들인데, 이 들의 흡수 손실을 측정된 광학함수를 이용해 계산해 보면 Fig. 1과 같이 나타난다. p-a-SiC은 광 입사부에 위치하여 단파장 영역의 흡수 손실을 일으키고, n-a-Si 은 태양전지의 후면에 위치하여 장파장 영역의 흡수손실을 일으킨다. 이러한 도핑층에서의 흡수 손실을 제거 또는 개선하기 위해 도핑층의 재료를 기존 재료보다 광학적 밴드갭이 큰 재료로 대체하여 개선하는 방안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금속 산화물의 밴드갭은 실리콘 화합물에 비하여 대체로 큰 값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기존의 실리콘 화합물 대신으로 사용한다면 광학적 흡수 손실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단, 이때 태양전지의 광 전압을 결정하는 인자가 p층과 n층 사이의 일함수 차이에 해당하므로, p층의 대체층으로 사용 가능한 금속 산화물은 일함수가 큰(>5 eV) 재료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적합하며, n층의 대체층으로 사용 가능한 금속 산화물은 일함수가 작은(< 4.2 eV) 재료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적합하다. Table 1에서 p층과 n층 대체용 금속산화물의 후보들을 정리하였다. 먼저 도핑층에서의 광 흡수가 광손실이 될 수 밖에 없는 물리적 근거에 대해서 논하고, 그 실험적인 증명을 제시한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도핑층의 내부 전기장의 방향을 제어하여 전자-정공쌍을 분리 수집하는 방법을 실험적으로 구현하였다. 이어서 금속 산화물을 부분적으로 대체하여 흡수 손실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WOx, NiOx, N doped ZnO 등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끝으로 금속산화믈 대체 또는 쇼트키 접합을 적용하여 도핑층의 광 흡수를 줄이고 효율을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그 사례로서 WOx, MoOx, LiF/Al의 적용결과를 살펴보고 추가 개선방안에 대해 토의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광학적 밴드갭이 큰 재료를 도핑층 대신 사용하여 흡수 손실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 때 일함수 조건이 만족이 되면 광 전압의 손실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연구의 한계와 문제점을 정리하고, 추가 연구에 의한 개선 가능성 및 실용화 개발과의 연관관계 등을 제시할 것이다.

  • PDF

암브록솔과 세티리진의 Cytochrome P450 저해 활성 평가 (In Vitro Assessment of Cytochrome P450 Inhibition by Ambroxol and Cetirizine)

  • 김봉희;류창선;장힘찬;이상윤;이지윤;채정우;권광일;김상겸
    • 약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94-198
    • /
    • 2013
  •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drug-drug interaction potential of ambroxol and cetirizine mediated by inhibition of CYP isoforms including CYP1A2, CYP2A6, CYP2B6, CYP2C9, CYP2C19, CYP2D6, CYP2E1 and CYP3A4 using pooled human liver microsomes (HLMs). As measured by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cetirizine and ambroxol inhibited significantly CYP2E1 but the maximal inhibition was approximately 36% at 10 ${\mu}M$ cetirizine and 28% at 3 ${\mu}M$ ambroxol. In addition, CYP2D6 activity was decreased to approximately 83% of control activity in pooled HLM incubated with 3 ${\mu}M$ ambroxol. Activities of CYP1A2, CYP2A6, CYP2B6, CYP2C9, CYP2C19, and CYP3A4 were not significantly inhibited by cetirizine and ambroxol. Considering their maximal plasma concentration in human ($C_{max}$ of cetirizine is approximately 0.67 ${\mu}M$ and $C_{max}$ of ambroxol is 0.044 ${\mu}M$), these two drugs have very low possibility in drug-drug interaction by CYP inhibition in clinical situations.

Synechocystis PCC 6803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생물학적 고정화 (Biological Fixation of Carbon Dioxide by Synechocystis PCC 6803)

  • 김장규;원성호;김남기
    • KSBB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101-107
    • /
    • 1998
  • 광합성 미생물의 고농도 배양에 의한 이산화탄소 고정능에 대한 기초 연구로써 관형 광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조성 및 초기균체농도에 따른 성장 경향을 보았다 배지의 pH가 지어되고 있는 조건하에서 20% 이산화탄소 혼합공기가 공급되는 조건에서도 성장이 이루어졌다 $45.5{\mu}E/m^2{\cdot}s$의 광강도에서 5% 이산화탄소 혼합공기 조성과 0.45 g/L의 초기균체농도에서 성장속도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비성장속도는 0.0258 $h^{-1}$를 나타냈고, 단위 시간당 균체생성량은 0.278 g/L . day 이다. 관형 반응기에서 최대균체농도는 2.03 g/L 까지 배양되었다. 배양된 균체의 원소성분분석을 통하여 Synechocystis PCC 6803의 분자식은 $C_{1.0}H_{2.022}N_{0.194}O_{0.443}S_{0.002}$로 계산되었고, 이산화탄소 고정화속도는 0.482g-$C0_2/L$ . day의 결과를 얻었다.

  • PDF

스마트폰 과사용이 청소년의 건강과 학업에 미치는 영향 :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Influences of Smartphone Overuse on Health and Academic Impairment in Adolescents : Using Data from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017)

  • 문종훈;전민재;송이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77-186
    • /
    • 2019
  •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사용이 청소년의 건강과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도에 시행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조사는 청소년(중학생과 고등학생) 64,99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62,276명이 조사에 참여해 참여율 95.8%를 나타냈다. 연구자는 SPSS 22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 t 검정, 카이제곱 검정,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62,276명 중 54,603명으로 87.7%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사용목적은 메신저(1순위, 27.3%), SNS(2순위, 18.7%), 게임(3순위, 13.3%)으로 나타났다. 하루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206.68±194.73분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유의하게 더 많았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206분 이상인 학생은 206분 미만인 학생보다 건강과 학업수행에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학업능력은 약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r=.245).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사용량이 높을수록 건강수준과 학업능력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저자는 이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감송향(甘松香) 물추출물의 세포주기 정지를 통한 U937세포의 성장억제 효과 (Nardostachys Chinensis Induces G0/G1 Phase Cell Cycle Arrest in U937 Cells)

  • 강민수;주성민;전병제;양현모;김원신;전병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9-194
    • /
    • 2011
  • Nardostachys chinensis (N. Chinensis) belonging to the family Valerianaceae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elicit stomachic and sedative effec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N. Chinensis in human lymphoma U937 cells. The proliferation of U937 cells was decreased by N. Chinensis. Anti-proliferative effect of N. Chinensis on U937 cells was associated with G0/G1 phase arrest, which was mediated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p21 and p27 protein. In addition, the levels of CDK2, CDK4, CDK6, Cyclin D3, and Cyclin A were decreased, but Cyclin D1, Cyclin D2 and Cyclin E were essentially undetectable. N. Chinensis induced the differentiation of U937 as shown by increased expression of differentiation surface antigen CD11b, but not CD14.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N. Chinensis potently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U937 cells via the G0/G1 phase cell cycle arrest in association with p21 and p27, and induces granulocytic different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