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53-independent p21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6초

Comparative Outcome of Thai Pediatric Osteosarcoma Treated with Two Protocols: the Role of High-Dose Methotrexate (HDMTX) in a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Choeyprasert, Worawut;Pakakasama, Samart;Sirachainan, Nongnuch;Songdej, Duantida;Chuansumrit, Ampaiwan;Anurathapan, Usanarat;Hongeng, Suradej;Nartthanarung, Adisa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823-9829
    • /
    • 2014
  • Background: High-dose methotrexate (HD-MTX) is recognized as an efficient component of therapy against pediatric osteosarcoma in combination with other drugs such as cisplatin (CDP), carboplatin (CBDCA), doxorubicin (ADM), etoposide (VP-16) and ifosfamide (IFO). Objectives: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HD-MTX/CDP/DOX/VP-16/IFO [MTX(+)] protocol comparable to CDP/ADM/CBDCA/IFO [MTX(-)] for treating childhood osteosarcoma at Ramathibodi Hospital (1999-2014).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osteosarcoma patients aged less than 18 years treated with two chemotherapeutic regimens between 1999 and 2014. A total of 45 patients received the MTX(-) and 21 the MTX(+) protocol. Results: Overall limb-salvage and amputation rate were 12.9% and 77.7%, respectively. Kaplan-Meier analysis results for 3-year disease 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regardless of treatment regimens were $43.4{\pm}6.0%$ and $53.2{\pm}6.1%$ respectively. The 3-year DFS and O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with the MTX(+) protocol compared to MTX(-) protocol (p=0.010 and p=0.009, log rank test) [$69.8{\pm}10.5%$, $79.8{\pm}9.1%$ for MTX(+) and $31.1{\pm}6.9%$, $42.2{\pm}7.4%$ for MTX(-) protocol, respectively]. Patients with metastatic osteosarcoma treated with the MTX(+) protoco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3-year DFS and OS than those treated with the MTX(-) protocol ($66.7{\pm}13.6%$ and $15.0{\pm}8.0%$ for 3-year DFS, p=0.010, $73.3{\pm}13.2%$ and $20{\pm}8.9%$ for 3-year OS, p=0.006, respectively).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having inferior 3-year DFS and OS were poor histological response (tumor necrosis <90%) and treatment with the MTX(-) protocol. The multivariate analysis identified only the treatment with the MTX(-) protocol 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inferior OS with a hazard ratio (HR) of 3.53 (95% confidence interval of 1.2-10.41, p=0.022). Conclusions: Our study demonstrated the tolerability, feasibility and efficacy of the HDMTX-based regimen improving the survival rate in pediatric osteosarcoma cases, in line with reports from developed countries.

상황보리 추출물에 의한 p21 및 Bax 발현 증가와 caspase 활성화를 통한 U937 인체백혈병 세포의 apoptosis 유발 (Apoptotic Cell Death by Methanol Extract of Phellinus linteus-Barley Corn in Human Leukemic U937 Cells through Induction of p21 and Bax, and Activation of Caspase-3)

  • 박철;김현중;정경태;윤태경;최병태;이용태;박동일;최영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226-1232
    • /
    • 2007
  • Phellinus linteus is a well-known Oriental medicinal fungus that ha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activities, the mechanisms of which are poorly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 of P. linteus-Barley corn (MEPLB) in human lekemic U937 cells. It was found that exposure of U937 cells to MEPLB resulted morphological change and growth inhibi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as measured by trypan blue count and MTT assay. Upon treatment with MEPLB, U937 cells developed many of the hallmark features of apoptosis, including condensation of chromatin and an increase in the sub-G1 population suggesting that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MEPLB is associated with the induction of apoptosis. The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effects of MEPLB were connected with a marked induction of the pro-apoptotic Bax and cyclin-dependent kinase (Cdk) inhibitor p21 in a p53-independent manner. Additionally, MEPLB treatment significantly induced the caspase-3 activity in U937 cells. Taken together,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apoptotic signals evoked by MEPLB in human leukemic U937 cells may converge caspase-3 activation through an up-regulation of Bax rather than a down-regulation of Bcl-2 or Bel-xL.

자숙크릴의 일반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을 위한 반응표면법에 의한 알카라제 가수분해 최적화 (Comparison of General Composition of Cooked Krill and Alcalase Optimization for Maximum Antioxidative Activity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경묘;조용범;황영정;이다선;이양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2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숙크릴에 Alcalase를 사용하여 크릴가수분해물의 항산화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독립변수인 pH와 온도에 대한 가수분해 최적조건을 찾아 이를 기초로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해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크릴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물 조건을 최적화 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Alcalase를 이용한 크릴 가수분해 최적화에 있어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s)로는 pH, temperature로 두고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로는 단백질 분해정도의 TCA, DPPH-scavenging과 Fe-chelating activities로 하여 데이터를 SAS software를 이용하여 식을 얻고 이에 대한 3차원 그래프는 Maple software를 사용하여 얻었다. 자숙크릴의 가수분해 최적화 실험에 있어 DH효과는 pH 8.5, 온도 $66.6^{\circ}C$에서 가수분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때 TCA는 29.4%로 나타났다. DPPH효과는 pH 7.4, 온도 $67.5^{\circ}C$일 때 가수분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때 DPPH는 27.1%로 나타났다. Fe에 대한 킬레이팅효과는 pH 8.7, 온도 $65.5^{\circ}C$일 때 가수분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때 철에 대한 킬레이팅효과는 24.9%로 나타났다.

  • PDF

부산·경남 지역 성인의 담낭용종 위험인자 및 초음파 영상의 형태학적 분석 (Analysis of Risk factors & Morphological Ultrasound Image for Gallbladder Polyp in Adults Living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s)

  • 안현;황철환;고성진;김창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3호
    • /
    • pp.353-359
    • /
    • 2016
  •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에서 담낭용종의 위험인자 및 초음파영상의 형태학적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대상은 2016년 1월~5월까지 부산 P병원 내원환자의 복부초음파 영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복부초음파와 혈청학적 검사를 동시에 실시한 399명을 대상으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담낭용종 위험인자들의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시행하였다. 차이검정 결과를 고려하여 독립변수에 대한 상대 위험비(odds ratio, OR) 산출을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여 변수들로부터 예측모형을 산정하여 타당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담낭용종 위험인자로 남성, HBsAg 양성, 중성지방이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담낭용종의 위험인자로 확인된 남성, HBsAg 양성, 중성지방으로 예측모형 및 예측 확률값을 산정하였다. 예측확률의 민감도 61.0%, 특이도 76.8%를 보였으며, ROC 곡선의 AUC 결과는 0.735를 보여 예측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부 초음파검사 상 관찰되는 담낭용종의 형태학적 분석 결과는 고 에코, 유경, 균질한 형태가 가장 많은 분포(27.5%)를 나타내었으며, 용종 개수는 2개(38%), 크기는 5~10 mm (53%)로 가장 많았다. 담낭용종과 관련된 간질환으로는 mild fatty liver (23%), diffuse hepatopathy (21%)로 나타났다.

동충하초 추출물에 의한 U937 인체 백혈병 세포의 성장억제 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s by Aqueous Extract of Cordyceps Militaris in Human Leukemic U937 Cells)

  • 박동일;서상호;최영현;홍상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52-458
    • /
    • 2005
  • Cordyceps militaris is a medicinal fungus, which has been used for patient suffering from cancer in Oriental medicine. It was reported previously that C. militaris extracts are capable of inhibiting tumor growth, however, the anti-poliferative effects of human cancer cells have not been poorly understood. In this study, to elucidate the growth inhibitory mechanisms of human cancer cells by treatment of aqueous extract of C. militaris (AECM) we investigat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AECM in human leukemia U937 cell line. AECM treatment inhibited the growth of U937 cells and induced the apoptotic cell death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ich was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changes. We observed the up-regulation of cyclin-dependent kinase (Cdk) inhibitor p21(WAF1/CIP1) by p53-independent manner and activation of caspase-3 in AECM-treated U937 cells, however, the activity of caspase-9 was remained unchanged. Additionally, AECM treatment caused a dose-dependent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telomere regulatory gene products such as human telomere reverse transcriptase (hTERT) and telomerase-associated protein-1 (TEP-1).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ECM-induced inhibition of human leukemic cell proliferation is associated with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via modulation of several major growth regulatory gene products, and C. militaris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in human lung cancer.

Objective Quantitation of EGFR Protein Levels using Quantitative Dot Blot Method for the Prognosis of Gastric Cancer Patients

  • Xin, Lei;Tang, Fangrong;Song, Bo;Yang, Maozhou;Zhang, Jiandi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1권4호
    • /
    • pp.335-351
    • /
    • 2021
  • Purpose: An underlying factor for the failure of several clinical trials of anti-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therapies is the lack of an effective method to identify patients who overexpress EGFR protein. The quantitative dot blot method (QDB) was used to measure EGFR protein levels objectively, absolutely, and quantitatively. Its feasibility was evaluated for the prognosis of overall survival (OS)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Slices of 2×5 ㎛ from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gastric cancer specimens were used to extract total tissue lysates for QDB measurement. Absolutely quantitated EGFR protein levels were used for the Kaplan-Meier OS analysis. Results: EGFR protein levels ranged from 0 to 772.6 pmol/g (n=246) for all gastric cancer patients. A poor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quantitated EGFR levels and immunohistochemistry scores with ρ=0.024 and P=0.717 in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EGFR was identified as an independent negative prognostic biomarker for gastric cancer patients only through absolute quantitation, with a hazard ratio of 1.92 (95% confidence interval, 1.05-3.53; P=0.034) in multivariate Cox regression OS analysis. A cutoff of 208 pmol/g was proposed to stratify patients with a 3-year survival probability of 44% for patients with EGFR levels above the cutoff versus 68% for those below the cutoff based on Kaplan-Meier OS analysis (log rank test, P=0.002). Conclusions: A QDB-based assay was developed for gastric cancer specimens to measure EGFR protein levels absolutely, quantitatively, and objectively. This assay should facilitate clinical trials aimed at evaluation of anti-EGFR therapies retrospectively and prospectively for gastric cancer.

강점코칭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실습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trength Coaching Program for First Clinical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홍주영;이소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39-143
    • /
    • 2020
  • 본 연구는 강점코칭이 첫 임상 실습에 임하는 간호대학생의 임상 수행능력, 자아존중감, 임상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 실험연구이다. 실험군(n=22)과 대조군 각각 2주간의 첫 임상실습을 시행하였고, 기간 중 실험군에는 감정코칭을 시행하고, 대조군(n=21)은 2주간 임상실습 기간 종료 후 코칭을 수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1월 7일부터 4주간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동질성 검증은 t-test와 χ2-test로, 가설검증은 Independent t-test, 사후검정 Scheffe's test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감정코칭은 자아존중감과 임상 실습만족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임상 수행능력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감정코칭은 첫 임상 실습에 임하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임상 실습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될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급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의한 p16 단백질 소실의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loss of p16 protein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 진혜영;강경인;김선영;윤유숙;강준원;조덕연;권계철;박경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호
    • /
    • pp.73-77
    • /
    • 2008
  • 목 적 : p16 유전자는 염색체 9p21에 위치하는데 종양억제 유전자 중 하나로 cyclin-dependent kinase의 억제제로 작용하며 Rb 인산화를 억제한다. 다양한 종류의 종양에서 p16 유전자의 결실 또는 과메틸화가 발견되고 있는데 이는 급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이상 소견으로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지만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예후와 p16 유전자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확인한 p16 단백질의 소실과 급성림프구성백혈병 환아들의 임상 경과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급성림프구성백혈병으로 진단된 74명의 진단 시 골수 슬라이드에서 p16 단백질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하였다. 환아들의 임상 양상, 검사실 소견, 치료 후 경과에 대해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74명 중 12명에서 p16 단백질이 면역화학염색 결과 음성이었다. 이들 중 남아가 7명 여아가 5명이었으며 진단 시 연령의 중앙값은 5.8(1.3-18.8)세였다. 백혈구 수의 중앙값은 17,225 $(500-403,300)/{\mu}L$ 이었으며 면역표현형은 early pre-B CALLA (+)형이 7명, T 세포형은 5명이었다. 진단 시 예후 중간군이었던 두 명의 환아들에서 골수 재발 하였으며 3명의 환아들이 유방암의 가족력이 있었다. 4명이 사망하여 8년 생존율은 $53.5{\pm}18.7%$였다. 결 론 : p16 단백질의 소실은 소아 급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 불량한 예후와 연관된 인자로 추정되며 임상에서 진단 시 p16에 대한 유전자 검사뿐만 아니라 단백질에 대해서도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좀더 많은 환자들에 대한 분석이 더 정확한 연관성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치과위생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inical dental hygienist psychological well-being on emotional intelligence in an area)

  • 김영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04-509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치과위생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로 전라북도에 근무하는 임상치과위생사 1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활용하여 치과위생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감성지능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직무관련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감성지능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 사후검증은 Scheffé test,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심리적 안녕감은 감성지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596, p<.001)로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감성지능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은 적합된 회귀모형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16.575, p<.05), 설명력은 53.6%였다. 독립변수 중 긍정적 대인관계(β=.569)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 자아수용, 개인의 성장, 환경에 대한 통제력과 임상경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심리적 안녕감이 감성지능과 연관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임상치과위생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고 감성지능을 강화하는 효율적인 전략을 구축하고자 한다.

Dichloroacetate의 p53 비의존적 경로를 통한 인간 역분화 갑상선 암세포주의 성장억제 효과 (Dichloroacetate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a Human Anaplastic Thyroid Cancer Cell Line via a p53-independent Pathway)

  • 얌 바하더 케이씨;수닐 포우델;전언주;손호상;변승준;정남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69-1476
    • /
    • 2018
  • Warburg 효과의 발생은 고형암에서 화학적 항암제의 내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호기성 해당과정과 같은 에너지 대사과정은 암 치료의 중요한 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Pyruvate dehydrogenase kinase (PDK) 활성 억제물질로 알려진 dichloroacetate (DCA)는 많은 암세포에서 포도당의 호기성 해당과정을 산화적인산화 과정으로 전환시킬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 연구는 치료가 매우 어렵다고 알려진 인간 역분화 갑상선 암세포주인 8505C의 성장에 미치는 DCA효과를 조사하였다. DCA는 정상 갑상선 세포주의 성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 8505C 세포주의 성장을 특이적으로 저해하였다. DCA의 처리에 의해 8505C 세포주는 $HIF1{\alpha}$, PDK1, Bcl-2와 같은 항-세포자살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이 감소하고, Bax와 p21과 같은 세포자살 유도 단백질과 세포주기 억제 단백질의 증가로 인하여 세포주기 정지와 세포자살 유도에 의해 성장이 억제되었다. 이런 세포의 변화는 DCA 처리에 의한 활성산소족의 생산이 증가하고, 포도당 대사가 호기성 해당과정에서 산화적인산화 과정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란 것을 확인하였다. 흥미롭게도, DCA는 포도당 대사과정의 변화뿐만 아니라 sodium/iodine symporter (NIS)의 발현양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PDK 활성 저해제는 치료하기 힘든 역분화 갑상선 암 치료제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역분화 갑상선 암에 대한 방사능 치료의 효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