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53 protein expression rat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1초

구강 편평세포암종에서 Differential Polymerase Chain Reaction에 의한 Cyclin D1 유전자의 증폭에 대한 연구 (CYCLIN D1 GENE AMPLIFICATION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USING DIFFERENTIAL POLYMERASE CHAIN REACTION)

  • 김기순;김경욱;이재훈;김창진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4호
    • /
    • pp.355-362
    • /
    • 2000
  • Neoplastic growth is characterized by alterations of oncogenes and antioncogenes. The interaction between activated oncogenes and functional deletion of antioncogene appears to be the driving force directing normal cells to uncontrolled growth resulting in tumor. In addition to those genes mentioned, other genes controlling the entry of cells into the cell cycle have recently been implicated in cancer development. The overexpression of the cyclin D1 gene, which has been mapped to 11q13, either by gene rearrangement or amplification has been noted in various malignant tumors. The product of the cyclin D1 gene forms a complex with cyclin-dependent protein kinases(CDK4) that governs a key transition in the cell cycl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verexpression of cyclin D1 assessed by immunihistochemistry and the amplification of the cyclin D1 gene by differential polymerase chain reaction(DPCR) using primers for dopamin D2 receptor gene in 13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oral cavity have been studied. The semiquantitative assay of cyclin D1 amplification has been made by cyclin D1/dopamin D2 receptor(CD/DR) rati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normal tissue and the tumor, the CD/DR ratios were 0.82 and 1.36 respectively. This implicates 1.65-fold amplification of cyclin D1 gene in tumor compared to that in normal tissue. 2. The tumor tissue which showed overexpression of cyclin D1 by immunohistochemistry revealed 2-fold amplification of cyclin D1 compared to the normal tissue. 3. The tumor tissue which showed mild expression of cyclin D1 by immunihistochemistry revealed 1.7-fold amplification of cyclin D compared to the normal tissue. 4. The cyclin D1 was overexpressed in the tumor tissue at the rate of 38%. Above results suggest that cyclin D1 has close cor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arcinoma in the oral cavity. But further studies were needed to elucidate the carcinogeneic mechanisms by comparative studies among cyclin D1, pRb and p53.

  • PDF

진피 에탄올 추출물이 Alloxan에 의해 유도된 HIT-T15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from Citrus Peels on Oxidative Damage in Alloxan-induced HIT-T15 Cell)

  • 정희경;정유석;박치덕;박창호;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02-1106
    • /
    • 2010
  • 본 연구는 진피 에탄올 추출물의 alloxan에 의해 유도된 HIT-T15 세포의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 생존율 및 인슐린분비 조절능에 대해 조사하였다. 진피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57.00{\pm}2.91\;mg/g$, $8.11{\pm}2.83\;mg/g$으로 나타났으며 alloxan 처리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HIT-T15 세포의 생존율은 감소하였으며, alloxan 11.58 mM에서 약 50%의 세포 독성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동결건조 된 진피 에탄올 추출물(CP-Et) 0.125~0.75 mg/mL 농도에서 무처리구의 세포 생존율은 $100.90{\pm}1.51{\sim}97.56{\pm}0.73%$로 나타나 HIT-T15 세포에 대한 CP-Et의 처리 농도는 0.125~0.75 mg/mL로 결정하였다. 0.125, 0.25, 0.5 mg/mL 농도의 CP-Et를 처리한 결과, alloxan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세포손상으로부터 세포 생존율이 각각 $80.52{\pm}3.29$, $74.17{\pm}6.75$, $67.53{\pm}5.8%$로 나타나 유의성 있게 보호되어짐을 확인하였다. CP-Et를 처리한 HIT-T15 세포에서는 산화적 손상에 대한 세포 생존율과는 다르게 0.125 mg/mL 농도에서 $116.93{\pm}2.11{\mu}g/mg$로 인슐린 분비가 대조구와 비교 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진피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적 방어로 2형 당뇨의 $\beta$-cell 양의 감소와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개선이 가능함을 제시하며, 그 작용 기작에 대해서는 차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HCT116 대장암세포에서 AKT/mTOR/GSK-3β 신호경로 조절을 통한 벌 사상자 추출물(CME)의 apoptosis 및 cell cycle arrest 효과 (Apoptotic Effects and Cell Cycle Arrest Effects of Extracts from Cnidium monnieri (L.) Cusson through Regulating Akt/mTOR/GSK-3β Signaling Pathways in HCT116 Colon Cancer Cells)

  • 임은경;김근태;김보민;김은지;하성호;김상용;김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63-672
    • /
    • 2016
  • 벌 사상자[Cnidium monnieri (L.) Cusson]는 중국과 한국에 분포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화농성피부염 및 여성의 생식기 질환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면역기능개선과 천식 등에 대한 효과는 보고된 바 있으나 아직까지 암과 관련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인간 대장암 세포인 HCT116 세포주에서 벌 사상자 에탄올 추출물(CME)의 apoptosis 및 세포주기정지 유도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효과가 AKT/mTOR/GSK-3β 신호경로의 조절을 통하여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MTT assay와 LDH assay 결과, 벌 사상자 에탄올 추출물에 의하여 HCT116 세포의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으며, 세포독성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벌 사상자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의존적으로 apoptotic body의 수와 apoptosis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G1기에서 세포주기정지 유도 효과가 관찰되었다. 세포의 성장과 증식 및 분열에 관련된 단백질인 Akt는 mTOR, p53, GSK-3β와 같은 신호단백질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벌 사상자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Akt와 mTOR 단백질의 인산화가 저해되었으며, 이에 따라 하위 신호조절 단백질인 GSK-3β, Bcl-2 family, Caspase-3, PARP의 발현이 조절되었다. 또한 Akt와 GSK-3β, mTOR 저해제 처리를 통하여 CME에 의한 apoptosis 효과가 AKT/mTOR/GSK-3β 신호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HCT116 대장암 세포주에서 벌 사상자 에탄올 추출물이 암세포의 apoptosis 및 세포주기정지 유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