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16 genes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27초

마늘 잎집썩음병과 마른썩음병을 길항하는 토착길항미생물의 선발 및 기작 (Selection and Mechanisms of Indigenous Antagonistic Microorganisms against Sheath Rot and Dry Rot Disease of Garlic)

  • 정희영;임종희;김병극;이중종;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95-301
    • /
    • 2010
  • 마늘병원균에 대한 토착길항미생물 선발을 위하여 경북 영천시 신덕리 및 구계리 일대 16개소의 토양 시료로부터 160균주의 세균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된 세균 중 마늘 잎집썩음병의 원인균인 P. marginalis와 마른썩음병의 원인균인 F. oxysporum에 대하여 길항능이 매우 뛰어난 3종의 토착길항세균을 선발하였다. 선발 균주들을 16s rDNA sequencing과 Bergey's manual을 이용한 방법에 의해 동정한 결과 B. subtilis YC82, B. vallismortis YC84, B. amyloliquefaciens YC240 균주들로 동정할 수 있었다. 선발된 3종의 토착길항세균들은 항세균 및 항진균 길항기작인 siderophore, ${\beta}$-glucanse, chitinase, 항생물질 생산능을 가진 균주들이었으며, 식물의 생장촉진에 도움이 되는 인산가용 화능과 식물생장촉진호르몬인 옥신 및 지베렐린을 생산하는 균주들로 확인되었다. 또한, 3종의 토착길항세균들은 in vivo 포트실험을 통해 잎집썩음병원균인 P. marginalis 에 대한 방제율이 70% 이상이고 동시에 생장촉진능도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마른썩음병원균인 F. oxysporum에 대한 방제율도 B. subtilis YC82와 B. amyloliquefaciens Y240의 경우 60%, B. vallismortis YC84는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아촉진능에서는 선발된 토착길항세균의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20% 이상 향상된 우수한 발아촉진능을 나타내었으며, 생장촉진능 역시 초장 길이의 차이에서 B. subtilis YC82는 평균 $49{\pm}1.53\;mm$, B. vallismortis YC84 는 평균 $47{\pm}1.15\;mm$, B. amyloliquefaciens YC240에서는 평균 $80{\pm}1.21\;mm$로 무처리구의 평균 $39{\pm}1.51\;mm$ 보다 매우 우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발된 마늘잎집썩음병 및 마른썩음병 방제용 토착길항세균은 마늘병원균 방제능과 동시에 생장촉진능을 가지는 다기능 토착길항세균으로 향후 추가적인 현장적용시험을 통하여 병방제능 및 생장촉진능 검증이 이루어 진다면 마늘병해방제 및 생장촉진용 미생물제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부산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8 - 16세 환자의 선천성 치아 결손 유병률 및 유형 평가 (Prevalence and Patterns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among Pediatric Patients Aged 8 - 16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김은진;박소영;이은경;정태성;신종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79-191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2010년 1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8 - 16세 환자를 대상으로 영구치의 선천성 치아 결손 유병률 및 결손 유형을 조사하는 것이다. 총 11,759명(여성 5,548명, 남성 6,211명)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선천 결손 유병률은 10.74%였다(여성 11.95%, 남성 9.66%, p < 0.0001). 평균 2.22개의 치아가 결손이 되었으며, 하악(8.39%)의 치아가 결손이 된 경우가 상악(4.52%)에 비해 많았다(p < 0.0001). 가장 빈번하게 결손이 되는 치아는 하악 제2소구치(58.19%)였다. 모든 분악에서 1개의 치아가 결손이 된 경우는 제2소구치가(30.10%, 31.67%, 43.14%, 35.59%), 2개 이상의 치아가 결손이 된 경우는 제1, 2소구치가(11.69%, 11.47%, 5.94%, 5.24%) 가장 많았다. 악궁 간 관계와 전악에서 결손 유형의 1 - 4위는 모두 제1, 2소구치가 연관이 되어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선천적 치아 결손 환자의 치료 계획 설립에 임상적 보탬이 될 수 있으며 특정 유전자와의 연관성을 밝혀내기 위한 분자생물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우 ADSF/resistin 유전자의 단일 염기 다형과 육질관련형질 상관 분석 (Analysis of the ADSF/resistin Gene Polymorphism Associated with Carcass Traits in Hanwoo)

  • 박지애;강혜경;채은진;서강석;김상훈;윤철희;문양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577-584
    • /
    • 2007
  • 본 연구는 후대검정 한우 295두의 혈액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PCR 방법에 의한 증폭과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ADSF/resistin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을 발굴하고 이들과 한우 육질관련형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확보된 DNA로부터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promoter와 4개의 exon영역에서는 SNP를 찾지 못하였으나 intron 영역에서 7개의 SNP를 발굴하였다. 발굴된 SNP의 출현 빈도는 0.027에서 0.16까지 그 차이가 많았다. 육질형질과의 상관분석에서 이들 SNP 중 intron 2에서 발굴된 764A ins 만이 근내지방도와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P<0.05). 근내지방도는 유전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번에 발굴된 ADSF/resistin 유전자의 SNP 764A ins와 같이 유전표지인자를 이용하는 것이 근내 지방도의 개량을 위해 우수한 결과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가축의 경제형질의 경우 다수의 유전자가 관여하기 때문에 한 개의 유전자를 이용한 가축의 선발 또는 개량에 이용한다는 것은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관련 유전자를 이용한 다형현상과 경제형질과의 연관성 연구가 동반될 때 육질개선 및 가축개량에 실질적인 증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도 용암동굴 대섭이굴 미생물 막의 독특한 원핵미생물 군집 (A Unique Prokaryotic Assemblage of Wall Biofilm of a Volcanic Cave (Daesubee) in Jeju)

  • 문종근;정만영;김종걸;박수제;김대신;김종식;이성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84-190
    • /
    • 2013
  • 동굴환경은 표면 토양환경과는 다른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주도 용암동굴(대섭이굴)의 생물막(biofilm)으로부터 얻은 시료를 pyrosequencing 기술을 통해 16S rRNA 유전자를 증폭하여 세균과 고세균의 군집을 조사하였다. 생물막에 우점하는 세균은 Actinobacteria문(phylum)의 Pseudonocardia mongoliensis (전체 세균 reads수의 82.5%)와 깊은 근연관계가 있었으며, 동굴유래의 다양한 세균들과 같이 무리(cluster)를 형성하였다. 동굴 벽면에 빛을 조사하였을 때 반사되어 빛나는 것은 아마도 방선균의 균사(hypha)들로 이루어진 생물막이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우점하는 고세균은 Thaumarchaeota문의 I.1a-Associated group (전체 archaeal reads수의 약 66%)에 속한다. 이 고세균 염기서열은 산성 환경(약 pH 5.0)에서 암모니아를 산화하는 고세균으로 알려진 Candidatus Nitrosotalea devanaterra와 높은 근연관계에 있어 동굴환경에서의 질산화에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표층수가 용암토양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침출(Leaching)되는 영양분이 대섭이굴 벽면에 다양성이 낮은 독특한 미생물 군집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GM-CSF가 돼지 처녀 생식 배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M-CSF on Porcine Parthenotes Development)

  • 이재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65-370
    • /
    • 2015
  • GM-CSF는 중요한 조혈모세포 성장인자로서 면역요법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GM-CSF가 돼지 처녀생식배아의 발달과 세포 수 및 착상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관한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돼지 처녀 활성화 배아는 GM-CSF가 5, 10, 20 ng/ml 존재 하에서 7일 동안 배양하여 배 반포의 형성율과 전 세포 수 그리고 유전자 발현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단백질이 없는 배양액에 20 ng/ml의 GM-CSF를 첨가 하였을 때 배 반포의 형성 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배반포의 세포 수 또한 GM-CSF 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증가 하였다. GM-CSF는 처녀생식 배 반포에서 interleukin-6의 mRNA 발현을 증가 시켰으나, LIF 수용체 mRNA 발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real time RT-PCR로 밝혀내었다. 이 결과로 GM-CSF 성분이 확인된 배양액에서 돼지 배아의 체외 발달 과 생존력을 강화 시켰음을 시사하고 있다.

알긴산 분해능을 갖는 Pseudoalteromonas 및 Vibrio 속 해양세균들의 분리 및 특성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rine bacteria with alginate degrading activity)

  • 윤영준;김정완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64-373
    • /
    • 2015
  • 알긴산의 응용을 위하여 인천지역에서 수집한 다양한 패류와 해수로부터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우수한 103개의 균주를 분리하고 그 중 M1-2-1, M6-1, C8-15 등 분해능이 가장 우수한 3균주를 선발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모두 그람 음성 간균이었고, 운동성이 있는 호염성 세균이었다. 또한 생리 생화학적 특성 분석과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으로 M1-2-1과 M6-1은 Pseudoalteromonas 속, C8-15은 Vibrio 속에 속하는 세균으로 동정되었다. 이들의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은 알긴산이 유일한 탄소원인 APY 배지에 접종하여 $25^{\circ}C$에서 6-8시간 배양했을 때 최대로 나타났고, NaCl을 가했을 때 생장 및 효소 활성 모두 증진되었다. 이 분리 균주들의 알긴산 분해 조효소들은 $45^{\circ}C$와 pH 7.0-8.0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Pseudoalteromonas sp. M1-2-1과 M6-1 균주는 각각 2.7232 g/L와 1.976 g/L의 환원당 생성능을 보여,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Impact of RGD Peptide Tethering to IL24/mda-7 (Melanoma Differentiation Associated Gene-7) on Apoptosis Induct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 Bina, Samaneh;Shenavar, Fatemeh;Khodadad, Mahboobeh;Haghshenas, Mohammad Reza;Mortazavi, Mojtaba;Fattahi, Mohammad-Reza;Erfani, Nasrollah;Hosseini, Seyed Youne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6073-6080
    • /
    • 2015
  • Background: Melanoma differentiation-associated gene-7 (MDA-7)/interleukin-24 (IL-24), a unique tumor suppressor gene, has killing activity in a broad spectrum of cancer cells. Herein, plasmids producing mda-7 proteins fused to different RGD peptides (full RGD4C and shortened RGD, tRGD) were evaluated for apoptosis induction with a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 Hep-G2. The study aim was to improve the apoptosis potency of mda-7 by tethering to RGD peptides. Materials and Methods: Three plasmids including mda-7, mda-7-RGD and mda-7-tRGD genes beside a control vector were transfected into Hep-G2 cells. After 72 hours incubation,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by MTT assay. In addition, the rate of apoptosis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using PI/annexin staining. To detect early events in apoptosis, 18 hours after transfection, expression of the BAX gene was quantified by real time PCR. Modeling of proteins was also performed to extrapolate possible consequences of RGD modification on their structures and subsequent attachment to receptors. Results and Conclusions: In MTT assays, while all mda-7 forms showed measurable inhibition of proliferation, unmodified mda-7 protein exhibited most significant effect compared to control plasmid (P<0.001). Again, flow cytometry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apoptosis induction by simple mda-7 gene but not for those RGD-fused mda-7 proteins. These findings were also supported by expression analysis of BAX gene (P<0.001). Protein modelling analysis revealed that tethering RGD at the end of IL-24/Mda7 disrupt attachment to cognate receptor, IL-20R1/IL-20R2. In conclusion, fusion of RGD4C and shortened RGD peptides to carboxyl terminal of mda7, not only reduce apoptosis property in vitro but also disrupt receptor attachment as demonstrated by protein modelling.

Salivary Her2/neu Levels in Differentiation of Oral Premalignant Disorders an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 Varun, Chopra;Dineshkumar, Thayalan;Jayant, VS;Rameshkumar, Annasamy;Rajkumar, Krishnan;Rajashree, Padmanaban;Mathew, Jacob;Arunvignesh, Rajendran 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773-5777
    • /
    • 2015
  • Backgroun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is thought to develop from precancerous dysplastic lesions through multistep processes of carcinogenesis involving activation of oncogenes and loss of tumor suppressor genes. The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Her-2/neu [erbB-2]), a cell membrane glycoprotein, is a growth factor receptor that has receptor tyrosine kinase activity. Her2/neu activation plays a central role in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It has been shown that overexpression of Her2/neu increases the rate of cell division and growth, leading to precancerous chang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serum and salivary Her2/neu levels between cases with premalignant and malignant oral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Fasting blood samples and unstimulated saliva by passive drooling were collected from three groups of healthy control (n=20), premalignant disorder (PMD) (n=20) and OSCC (n=25) subjects. The HER2 extracellular domain (HER2 ECD) levels were measured using ELISA. Results: The levels of serum Her2/neu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ny of the groups but on the other hand salivary Her2/neu level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p<0.05) higher when compared between control (median 68.7 pg/ml, range: 21.5 - 75.8) and OSCC (median 145.6 pg/ml, range: 45.1-191.1). A similar trend was observed when comparing between PMD (median 43.3, range: 22.1 -94.7) and OSCC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of p<0.05. Conclusions: Our study provided evidence of increased salivary Her2/neu in OSCC when compared to PMD and control which was not the case for serum levels. This suggests that probably Her2/neu is not highly amplified as in breast cancer so as to be reflected in serum. Since saliva is in local vicinity of the OSCC, even a mild increase might be mirrored. On the whole, this study proposes Her2/neu as marker for distinguishing premalignant and malignant conditions.

대장균에서의 human SOD1과 mutant SOD1 (G93A) 단백질의 발현과 HtrA2의 기질 여부 확인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Human SOD1 and Mutant SOD1 (G93A) in E. coli and Identification of SOD1 as a Substrate of HtrA2 Serine Protease)

  • 김구영;김상수;박효진;임향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16-722
    • /
    • 2006
  • Superoxide dismutase (SOD) is physiologically important in regulating cellular homeostasis and apoptotic cell death, and its mutations are the cause of familial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FALS). Mitochondrial serine protease HtrA2 has a pro-apoptotic function and ha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neurodegenerative disorder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s associated with apoptotic cell death, such as HtrA2 and SOD1, we utilized the pGEX expression system to develop a simple and rapid method for purifying wild-type and ALS-associated mutant SOD1 proteins in a suitable form for biochemical studies. We purified SOD1 and SOD1 (G93A) proteins to approximately 90% purity with relatively high yields (3 mg per liter of culture). Consistent with the result in mammalian cells, SOD1 (G93A) was more insoluble than wild-type SOD1 in E. coli, indicating that research on the aggregate formation of SOD1 may be possible using this pGEX expression system in E. coli. We investigated the HtrA2 serine protease activity on SOD1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proteins. Not only wild-type SOD1 but also ALS-associated mutant SOD1 (G93A) were cleaved by HtrA2, resulting in the production of the 19 kDa and 21 kDa fragments that were specific for anti-SOD1 antibody. Using protein gel electrophoresis and immunoblot assay, we compared the relative molecular masses of thrombin-cleaved GST-SOD1 and HtrA2-cleaved SOD1 fragments and can predict that the HtrA2-cleavage sites within SOD1 are the peptide bonds between leucine 9-lysine 10 (L9-K10) and glutamine 23-lysine 24 (Q23-K24). Our study indicates that SOD1 is one of the substrate for HtrA2, suggesting that both HtrA2 and SOD1 may be important for modulating the HtrA2-SOD1-mediated apopotic cell death that is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neurodegenerative disorder.

박테리오파지 저항성을 갖는 Pseudomonas tolaasii 변이주 분리 및 이들의 병원특성 (Isolation of bacteriophage-resistant Pseudomonas tolaasii strains and their pathogenic characters)

  • 박수진;한지혜;김영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351-356
    • /
    • 2016
  • 세균성 갈반병은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의 주된 병중의 하나이다.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한 파지테라피 방법은 병원균의 농도를 감소시켜 병없는 재배사를 만드는데 성공적이었다. 병원균 사멸을 위한 파지의 이용은 숙주균의 특이성 때문에 매우 제한적 효과를 보이며, 이것은 병원균의 작은 변이에도 파지의 민감성은 크게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파지테라피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갈반병의 원인균인 P. tolaasii 균주로부터 파지-저항성 변이주를 분리하였고 병원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근연관계 분석에서 파지저항성 균주들은 모두 원래의 숙주균과 일치하였고, 용혈활성이나 갈반형성 능력 등 병원성은 파지저항성 획득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지저항성 균주의 다양한 병원성은 균의 종류에 따라 증감이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성공적인 파지테라피를 위해서는 넓은 숙주 범위를 갖는 파지의 분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