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 Plot

검색결과 1,191건 처리시간 0.031초

곁순 억제방법이 재래연초 향초의 생육 및 건조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cker Control Practices on Growth and Cured-leaves of Local Tobacco Variety Hyangcho)

  • 이철환;김용옥;이병철;조수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3-57
    • /
    • 1990
  • 재래종 연초재배시 곁순제거방법이 수량, 품질 및 내용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보다 효과적인 곁순제거방법을 구명코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적심후 수적아, MH살포구가 타처리에 비하여 수량 및 kg당 가격이 높았고 Fatty alcohol처리는 수량에서 다소 감소하였으며, MS향초, 곁순 방치, 무적심구는 수량 및 kg당 가격이 모두 낮았다. 2. 적심후 수적아, Fatty alcohol 처리구는 무적심 등 타처리에 비하여 회분함량이 낮았고, 환원당, 니코틴함량 및 pH가 높았으며, MH 처리구는 수적아 및 Fatty alcohol 처리에 비해 환원당이 높고, pH와 니코틴함량이 다소 낮았다. 3. 곁순 수제거에 비하여 MH 살포구는 부풀성 및 연소성이 저하되는 경향이였다.

  • PDF

토양개량재와 황토가 준설토의 이화학성과 느릅나무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Conditioner and Loess o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Dredged Soil and Seedling Height Growth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 이한나;박찬우;임주훈;구남인;이임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1
    • /
    • 2015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 of soil amendment and loess on physi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dredged soil and primary height growth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Three types of research plots: control plot (Dredged soil only), DC treatment plot (Dredged soil + soil amendment) and DCL treatment plot (Dredged soil + soil amendment + Loess) were set at Okgu research site in Saemanguem. 32 trees of U. davidiana var. japonica were planted in each plots after 14 months from the construction. Soil texture,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organic matter (OM), total nitrogen (TN), available P, exchangeable cation ($K^+$, $Na^+$, $Mg^{2+}$, $Ca^{2+}$) and sodium chloride were measured after 3 years from the construction. Also, survival rate and height of U. davidiana var. japonica were measured 22 months after planting, and the correlation between height of trees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analyzed. Even though pH in both DC and DCL treatment plots are lower than control plot, they are still alkaline (> pH 8). OM, TN and available P in both DC and DCL treatment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Particularly, the content of available P in both DC and DCL treatment plots are 1.4~5.1 times and 2.0~3.1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exchangeable Mg in DCL treatment plot was 1.1~5.5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p < .05). The survival rate of the species was the highest in DCL treatment plot (98%) followed by DC treatment plot and the control. The average height of the trees in both DC and DCL treatment plots is 1.1m while the control is 0.8m. OM, TN, available P, K+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eight of U. davidiana var. japonica(p < .01). The results indicate that soil amendment affects on soil physi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dredged soil and height growth of U. davidiana var. japonica.

논오리 방사밀도가 오리의 행동양상 및 벼 생육 ${\cdot}$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uck Free-Ranging Density on Duck Behavior Patterns, and Rice Growth and Yield under a Rice-Duck Farming System in Paddy Field)

  • 고병대;송영한;만전정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6-92
    • /
    • 2001
  • 벼논 오리농법에 있어서 오리 방사체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각 처리구를 4 a의 동일면적으로 구분하고, 방사 오리수를 각각 6수, 9수, 12수 및 15수씩으로 하는 4처리구를 설계하여 방사밀도에 따른 오리의 행동형 및 벼 생육과 수량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리 방사밀도에 따른 일중 12시간 동안의 행동변화에서 섭식 및 이동행동은 12수 방사구에서 가장 길었고, 노동행동에서도 다른 3처리구에 비해 12수 방사구에서 유의적으로 길게 나타났다(P<0.05). 반면 휴식행동은 12수 방사구에 비해 9수 및 15수 방사구에서 현저히 길게 나타났다(P<0.05). 방사오리가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는 일중 6시간 동안의 이동 회수는 15수 방사구에서 가장 적었고 나머지 3처리구간에서는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잠수회수는 9수 방사구에서 다른 3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1), 벼 포기 쪼는 회수도 9수 방사구에서 12수 및 15수 방사구에 비해 현저히 많았다(P<0.05). 그러나 오리가 쪼은 총 벼포기수에서는 방사밀도가 낮은 6수 및 9수 방사구에 비해 15수 방사구에서 유의적으로 많았다(P<0.01). 벼 초장은 오리 방사후 30일째부터 방사밀도가 높을 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P<0.05), 경수(莖數)는 방사밀도에 의해 대차없었다. 출수후 벼 생육변화에서 간장(稈長)은 방사밀도가 높은 12수 및 15수 방사구에서 짧았고(P<0.05), 수장(穗長)은 오리 방사밀도에 의해 대차없었다. 벼 지상부의 건물중량은 방사밀도가 높을 수록 낮은 값에 편중됨을 보인 반면, 지하부의 건물중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오리 방사밀도에 따른 벼 결주발생수은 15수 방사구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6수, 9수 및 12수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당(穗當) 영화수는 6수 및 9수 방사구에 비해 12수 및 15수 방사구에서 유의적으로 많았고(P<0.05), 등숙율은 다른 3처리구에 비해 15수 방사구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10 a당 수량은 12수 방사구에서 726.5 kg으로 가장 높은 수량증가를 보였고, 다음으로 9수, 15수 및 6수 방사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토양개량제시용에 따른 화산회토양 감자 연작지 더뎅이병 억제 효과 (Effect of Applying Soil Amendments on Potato Scab Prevention in Volcanic Ash Soil with Continuous Cropping System)

  • 좌재호;문두경;고상욱;손다니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19-730
    • /
    • 2014
  • 화산회토양 감자 연작지 토양 pH 수준별로 고토석회, 유황, 황산칼륨, 패화석, 규산질비료, 석회질소, 유안비료를 이용하여 감자 더뎅이병 발생을 경감시키고 토양건전성을 유지하는데 적절한 대체농자재를 선발하고자 수행하였다. 토양 pH가 낮은 황산칼륨 처리구(24 kg/10a)에서는 더뎅이병 발병률이 84.4%, 발병도가 28.4%로 가장 낮았다. 방제효과는 12.3%, 상품율은 93.2%로 다른 처리구와 비교할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석회질소 처리구(60kg/10a)가 발병도 38.3%로 낮았고 방제효과 23.8%, 상품율 66.3%로 높았다. 토양 pH가 높은 시험구 중 더뎅이병 발병률은 석회질소 처리구(60 kg/10a)가 38.3%로 가장 낮았고 유안 처리구(48 kg/10a)는 62.6%로 높았다. 더뎅이병 방제효과는 석회질소 처리구(60 kg/10a)에서 23.8%로 유황 처리구의 6.1% 보다 4배 이상, 상품률은 6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감자더뎅이병 병원균 Streptomyces acidiscabies과 Streptomyces scabiei를 석회질소 2.5, 5 g/L, 10 g/L에 접종시 생장량은 다른 토양개량제 보다 상대적으로 억제되었다. 결론적으로 감자 파종 전에 토양 pH가 5 이하이면 황산칼륨을, 6 이상이면 석회질소를 시비하면 더뎅이병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밭에서 규산(珪酸) 및 퇴비(堆肥)의 장기연용(長期連用)에 의한 보리수량(收量) 및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 변화(變化) (Changes in Barley Yield and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by Longterm Application of Silicate Fertilizer and Compost)

  • 김창배;박노권;이숙희;박선도;최부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5-200
    • /
    • 1994
  • 밭 토양(土壤)에 삼요소(三要素) 및 규산질(珪酸質) 비료(肥料) 250㎏/10a와 퇴비(堆肥) 1,000kg/10a를 18년간(年間)('75~'92)매년(每年) 연용시(連用時) 년차간(年次間) 보리 수량(收量)의 변화(變化)와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변화(性質變化) 및 18년차(年次)의('92)보리 수확기(收穫期) 경엽(莖葉)과 곡실(穀實)의 영양상태(營養狀態)를 분석(分析)하여 수량(收量) 증대(增大)에 미친 영향(影響)과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변화(性質變化)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18년차(年次) 처리별(處理別) 종실수량(種實收量)은 삼요소(三要素)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삼요소(三要素)+규산(珪酸), 삼요소(三要素)+퇴비연용구(堆肥連用區)는 17~18% 증대(增大)되어, 규산처리구(珪酸處理區)는 퇴비처리구(堆肥處理區)와 유사(類似)한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2. 수확기(收穫期) 보리식물체(植物體)의 양분흡수량(養分吸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삼요소(三要素)+규산(珪酸) 및 삼요소(三要素)+퇴비연용구(堆肥連用區)는 삼요소(三要素)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6~8%의 흡수량(吸收量)이 증가(增加)되었다. 그리고 삼요소(三要素)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삼요소(三要素)+규산(珪酸) 및 삼요소(三要素)+퇴비(堆肥) 연용구(連用區)는 인산(燐酸)과 가리(可里)의 시비효율(施肥效率)이 현저(顯著)히 증가(增加)되었다. 3. 시험후(試驗後) 토양분석(土壤分析) 결과(結果) 삼요소(三要素)+규산(珪酸) 및 삼요소(三要素)+퇴비연용구(堆肥連用區)는 삼요소(三要素)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토양(土壤)pH, 유기물(有機物), 인산(燐酸), 치환성염기(置換性鹽基) 및 규산함량(珪酸含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NO_3$-N 함량(含量)은 다소(多少) 적었다. 4. 18년간(年間)의 평균(平均) 종실(種實) 수량(收量)은 삼요소(三要素)+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삼요소(三要素)+규산(珪酸) 250kg/10a 연용구(連用區)는 22%, 삼요소(三要素)+퇴비(堆肥) 1,000kg/10a 연용구(連用區)는 31%의 증수(增收) 효과(效果)가 있었다.

  • PDF

석회의 질소원이 버어리종 담배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II. 잎담배의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ming and Nitrogen Sources on the Yield and Quality of Burley Tobacco II. Effects of Chemical Constituents of tobacco leaves)

  • 김상범;한철수;김용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79-385
    • /
    • 1987
  • 버어리종 담배의 화학성분에 미치는 석회시용양(토양 pH)과 질소원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석회시용양은 석회무시용, pH 5.5 교정량, pH6.5 교정량의 3수준으로, 질소원은 연초용복합비료(3.9%의 $NH_4$, -N와 6.1 %의 $NO_3-N$ 함유), $Na-NO_3,\;(NH_2)_2CO,\;(NH_4)_2SO_4$ 의 4종을 두어 포장에서 실험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기간중의 토양 pH는 석회시용량에 비례하여 높아졌으며, 질소원별로는 칠레초석구가 높았고 유안구가 낮았다. 그러나 토양중 Ca 농도는 석회시용량에 비례하여 높아졌으나, 질소원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2. 토양중 ${NO_3}^{-}$ 농도는 석회다량구가 높았고, 질소원별로는 칠레초석구가 높았다. 그러나 K와 $P_2-O_{5}$ 농도는 석회시용량이나 질소량에 따라 일관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3. 이식후 75일의 엽중 초산능질소함량은 칠레 초석구가, 45일의 칼슘함량은 석회다량구가 높았다. 그러나 엽중 인산과 가리함양은 석회시용량이나 질소원에 따른 차이 없었다. 4. 석회시용량이나 질소원에 따른 전알칼로이드와 전질소함량 차이는 없었으나, 석회시용량증가에 따라 칠레초석구의 전알칼로이드함량은 증가하였다. 5. 유안구가 건엽의 가리함량은 높았고 칼슘함양은 낮았다. 그러나 석회시용량에 따른 건엽의 인산과 마그네슘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다.

  • PDF

Kinetics and Mechanism of Azidolysis of Y-Substituted Phenyl Benzoates

  • Um, Ik-Hwan;Kim, Eun-Hee;Han, Hyun-J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3호
    • /
    • pp.580-584
    • /
    • 2008
  • Second-order rate constants (kN) have been measured spectrophotometrically for reactions of Y-substituted phenyl benzoates (1a-h) with azide ion (N3) in 80 mol % H2O/20 mol % DMSO at 25.0 0.1 oC. The Brnsted-type plot for the azidolysis exhibits a downward curvature, i.e., the slope (b lg) changes from 0.97 to 0.20 as the basicity of the leaving group decreases. The pKao (defined as the pKa at the center of the Brnsted curvature) is 4.8, which is practically identical to the pKa of the conjugate acid of N3 ion (4.73). Hammett plots correlated with s o and s constants exhibit highly scattered points for the azidolysis. On the contrary, the corresponding Yukawa-Tsuno plot results in an excellent linear correlation with r = 2.45 and r = 0.40, indicating that the leaving group departs in the rate-determining step. The curved Brnsted-type plot has been interpreted as a change in the rate-determining step in a stepwise mechanism. The microscopic rate constants (k1 and k2/k1 ratio) have been calculated for the azidolysis and found to be consistent with the proposed mechanism.

자연정화공법에 의한 인공습지 하수처리장에서 하수처리 공정개선에 따른 질소 및 인의 처리효율 향상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reatment Efficiency for Nitrogen and Phosphorus by Improved Sewage Treatment Process in Constructed Wetland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 서동철;박우영;임종서;박찬훈;이홍재;김홍출;이상원;이도진;조주식;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7-34
    • /
    • 2008
  • 농어촌 등에서 소규모로 발생하는 하수를 자연정화공법 의한 인공습지에서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소형 하수처리장치를 호기성조 및 혐기성조로 구분하여 시공한 다음, 최적 하수 부하량을 조사하기 위해 하수 부하량별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을 조사한 결과 호기-혐기 조합형 소형 하수처리장에서 전반적으로 하수 부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이 점점 감소하는 경향으로 특히 하수부하량 300 $Lm^{-2}day^{-1}$ 이상에서 수처리효율의 감소폭이 약간 컸다. 따라서 본 소형 하수처리장에서 BOD, $COD_{Mn}$, 탁도, T-N 및 T-P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최적 부하량은 300 $Lm^{-2}day^{-1}$ 이었고, 이 때의 방류수 중 BOD, $COD_{Mn}$, 탁도, T-N 및 T-P의 처리효율은 각각 99, 94, 99, 49 및 89%로 현행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하면서 안정적으로 처리되었다. 하지만 본 소형 하수처리장에서 방류수 중의 T-N 및 T-P 함량은 각각 $28.5{\sim}29.4$$0.9{\sim}2.1mgL^{-1}$ 정도로서 앞으로 질소와 인의 방류수 수질기준이 각각 20 및 2 $mgL^{-1}$로 강화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수처리를 위해서는 T-N 및 T-P 처리효율을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최적 하수 부하량하에서 질소와 인의 강화될 방류수 수질기준(질소 20 $mgL^{-1}$ 및 인 2 $mgL^{-1}$)을 만족시키면서 안정적인 하수처리를 위한 최적의 수처리 공정개선 방안을 조사하였다. 호기-혐기 조합형 소형 하수처리장에서 수처리 공정개선 중 질소 및 인의 처리효율 향상이 가능한 방안은 혐기성조의 깊이 및 여재 입경 변경과 여재에 굴패각을 혼합한 방법이었다. 혐기성조의 깊이 및 여재 입경 변경 조건 중 혐기성조 1.5 m 깊이에서 여재 A(유효입경 1.50 mm)를 사용한 경우 T-N 및 T-P의 처리효율을 각각 10 및 3% 향상시켰고, 여재에 굴패각 혼합한 경우 T-N 및 T-P의 처리효율을 각각 14 및 7% 향상시켰다. 또한 동일한 조의 체적하에서 혐기성조의 깊이를1.5 m로 깊게한 것은 혐기성조 깊이 1 m에 비해 부지면적을 약 33% 정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굴패각을 사용한 것은 폐기물의 재활용면에서도 매우 효과적인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석탄회 처리가 논 토양성분의 용탈과 수도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y Ash on Components in Percolated Water and Rice Growth)

  • 김용웅;윤정한;신방섭;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6-235
    • /
    • 1996
  • 논토양에 무연탄회와 유연탄회를 각각 0%, 15%, 30%씩 시용하고 수도를 유리온실 하에서 pot 재배하면서 투수중의 용탈 성분을 경시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탈수중의 pH는 재배구에 비해 무재배구의 pH가 높으며 석탄회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pH가 높았고, 재배구에서는 재배에 따라 서서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침투수중 $NH{_4}^+-N$, $NO{_3}^--N$, K의 용탈은 7월 이후 급격히 감소되며 재배구에서는 거의 용탈되지 않는다. 인산의 용탈은 재배기간 동안 양이 아주 낮으며 규산의 용탈은 재배구에서는 6월이후 급격히 감소되었다. Na는 6월 중순에 가장 용탈량이 높고 그 이후는 서서히 감소되었다. 석회의 용탈량은 재배구가 무재배구보다 용탈량이 많으며 재배에 따라 용탈량이 감소되나 재배후기에도 비교적 높았다. Mg은 7월 중순 이후로 용탈량이 감소되나 재배후기에도 계속 용탈이 일어났다. 용탈수중의 EC는 6월 중순에 가장 높고 그 이후 감소되는 경향이며 석탄회 처리구의 EC가 대조구보다 높았다. 석탄회 처리로 침투수중의 용탈 성분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유연탄회와 무연탄회 사이의 차도 뚜렷하지 않았다. 석탄회 처리로 수도의 초기 신장과 분얼이 억제되었으나 후기에는 무효분얼의 억제효과가 기대된다. 석탄회 시용으로 토양의 pH가 상승되었으며 인산 성분이 축적되었다. 그러므로 산성토양의 교정효과는 기대되나 인산 시비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석탄회 처리는 이식 직전에 시용하는 것보다는 전년도 수확후에 시용하여 우수에 의하여 용탈을 유도한 후라면 크게 염려를 하지에 않아도 좋을 것이며, 용출수에 함유된 무기성분의 양이 무처리와 큰 차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석탄회의 토양시용은 수질오염에 꼭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rchargrass와 바랭이 ( Digitaria sanguinalis [ L. ] Scop ) 혼생초지에 있어서 질소 , 인산 및 가리시용이 식생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N , $P_2O_5$ and $K_2O$ Application on the Vegetation and Dry Matter Yield in the Mixed Sward of Oechardrass and Crabgrass ( Digitaria sanguinalis [L.] Scop.))

  • 김창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3-100
    • /
    • 1995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ow to effect the application of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on the vegetation and dry matter yield in the mixed sward of orchardgrass and crabgrass (Digitaria sanguinalis [L.] Scop.). The experimental sward wa5 consisted of eight plots of non-application, P, K, PK, N. NK, NP and NPK. These plots were sown with seeds mixture of orchardgrass 17.5 kglha and crabgrass 17.5 kg/ ha on 22 April 1975 in the forage experimental field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on, Korea, and were cut four times from 6 July to 18 November 1975.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orchardgrass density measured after summering,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out phosphate marked only 3 1.0% of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 phosphate while in crabgrass density measured at that time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out phosphate marked as high as 112.5% of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 phosphate. 2. Application of phosphate and potassium improved wintering record of orchardgrass. In orchardgrass density measured after wintering,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out phosphate marked only 9.7% of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 phosphate, and the plot of NP applied without K marked 63.6% of the plot of NP applied with K. 3. In surface coverage of orchardgrass, in midsummer any plot applied with nitrogen regardless of accompanying with or not with phosphate wa5 0%, but in autumn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 phosphate was 56-58% and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out phosphate was 5%. While after wintering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 phosphate was 28-37% though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out phosphate was only 0.3-0.6%; the application of phosphate improved summering and wintering record of orchardgrass. 4. Application of phosphate demonstrated remarkable effect on increasing dry matter yield in orchardgrass. In year total yield of orchardgrass,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out phosphate marked as low as 11.3% of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 phosphate, but in crabgrass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out phosphate was almost equal to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 phosphate showing 97.5% of this plot. 5. Application of potassium was not effective on increasing dry matter yield of orchardgrass but its application was effective on increasing dry matter yield of crabgrass. In dry matter yield of orchardgrass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NP plot and NPK plot, but in dry matter yield of crabgrass NPK plot recorded significantly higher yield compared with NP plot (p<0.05). 6. In botanical composition of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 phosphate, crabgrass recorded 46.5-50.5% in early summer (July) but in midsummer (August) it dominated the plot recording 85.6-91.2%. 7. In botanical composition based on the year total yield, in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 phosphate orchardgrass marked 21.7-26.2% and crabgrass recorded 73.8-78.370, but in the plot of nitrogen applied without phosphate orchardgrass marked only 3.5% being overwhelmingly dominated by crabgrass which recorded 96.5%. 8. Application of nitrogen not accompanied with phosphate strengthened competitive power of the crabgrass unilaterally, making orchardgrass be oppressed fatally by the crabgra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