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idized starch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초

산업용지의 벌크 향상 및 건조에너지 절감을 위한 분말상 첨가제 제조기술 개발(II) - 맥주박과 팜잎 분말상 첨가제의 표면개질에 대한 연구 - (Development of New Powdered Additive and Its Application for Improving the Paperboard Bulk and Reducing Drying Energy (II) - Surface Modification of Brewers Grain(BG) and Oil Palm Frond(OPF) Powders with Cationic and Oxidized Starches -)

  • 이지영;김철환;김선영;김병호;임기백;김준식
    • 펄프종이기술
    • /
    • 제45권2호
    • /
    • pp.33-40
    • /
    • 2013
  • Powdered additive or organic filler is used to improve paperboard thickness and to reduce drying energy consumption in the Korean paperboard industry. In a previous study, we identified alternative non-lignocellulosic resources to wood powder, specifically brewers grain and oil palm frond powders, and verified that these materials had the same functionality as wood powder. The main drawback of the use of such additives, including both lignocellulosic and non-lignocellulosic resources, is the deterioration in paperboard strengths. Therefore, we carried out a basic study on the surface modification of brewers grain and oil palm frond powders to improve the strengths of paperboard. Surface mod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various types of cationic and oxidized starches. The streaming current and zeta-potential of the two non-lignocellulosic powders were measured and CLSM images were taken to assess the surface modification.

백상지 공정 폐쇄화에 따른 백수 내 산화전분의 축적 현상에 관한 연구 (제1보) -공정 폐쇄화의 영향- (A Study on the Accumulation Phenomena of Oxidized Starch in White Water in Closed Fine Papermaking Process (Part 1) -Effect of Papermaking system closure-)

  • 안현견;이학래
    • 펄프종이기술
    • /
    • 제36권3호
    • /
    • pp.15-34
    • /
    • 2004
  • Diverse benefits such as reduction of fresh water consumption and effluent discharge, efficient use of raw materials and energy savings can be obtained by papermaking system closure. Closure of papermaking processes, however, causes many problems including reduction of the efficiency of additives, decrease of retention and dewatering, felt plugging, poor Paper quality, generation of slime and odor, poor vacuum efficiency, etc, and it has been recognized that accumulation of Inorganic and organic substances in the process white water is the prime cause of these problems. Therefore, technological developments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these detrimental substances are urgently required for Implementing papermaking system closure. Understanding of the accumulation phenomena of the inorganic and organic substances in the papermaking process white water is prerequisite for papermaking system closure. In this study a process simulation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accumulation phenomena of anionic starch In the process white water as the closure level of a fine paper making process is increased. A pilot paper machine was used as a model process. Starch adsorption and desorption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 of starch adsorption ratio, which was not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Steady state simula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is model using a commercial simulator. In steady state simulation, the variation of dissolved starch concentration in each process unit was monitored as a function of white water usage for wire shower. The result of the steady state simulation showed that dissolved starch concentration and its increase ratio in Process units increased as white water usage ratio for wire shower increased.

변성 옥수수 전분을 이용한 당면제조(II) -원료전분을 달리한 실험실 제조당면의 이화학적 특성- (Production of Starch Vermicelli(Dangmyun) by Using Modified Corn Starches(II)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 Vermicelli(Dangmyun) made with Different Starches in Laboratory-)

  • 육철;김재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13-318
    • /
    • 2001
  • 당면에 적합한 옥수수 변성전분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험실규모로 원료전분별 당면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고 몇 가지 옥수수 변성전분을 제조하여 당면을 만들어 당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우선 원료전분의 호화특성을 amylograph로 살펴본 결과 감자전분의 점도가 가장 높았으며 녹두전분이 가장 낮았다. 옥수수 전분을 oxidation, hydroxypropylation, hydroxypropylation+cross-linking시킨 결과 호화온도가 떨어지고 점도가 상승하였다. 실험실에서 제조한 당면의 DSC endotherm과 X-ray diffraction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 당면의 Ti가 $60^{\circ}C$ 이상으로 시판당면의 peak 온도보다 높았고 X-ray 회절도의 peak가 분명하게 나타나 시판 당면과는 달리 실험실 당면 제조 조건하에서 당면이 완전히 호화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변성시킨 옥수수전분을 이용하여 만든 당면의 경우 hydroxypropylation에 의하여 peak 온도가 $3^{\circ}C$정도 낮아졌으며 oxidation에 의하여는 Ti가$2.5^{\circ}C$ 정도 높아졌다. 당면의 물리적 특성을 보면 원료전분별로는 고구마전분, 녹두전분의 hardness와 compression slope가 각각 $11,726{\sim}12,555\;g/cm^2$, $29,914{\sim}30,604\;g/cm^3$으로 가장 높았으며 찰옥수수전분으로 만든 당면이 가장 낮았다. 옥수수 전분을 변성시켜 만든 당면의 경우 산화전분으로 만든 당면의 hardness와 compression slope가 타 전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고형분의 손실 면이나 조리과정 중의 팽윤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옥수수 전분을 pH 9.0, $40^{\circ}C$에서 NaOCl 0.5% 농도로 30분간 약하게 산화반응을 시킨 옥수수 전분이 당면제조에 매우 적합한 특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기름골 변성전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odified Chufa (Cyperus esculentus L., var sativus Boeck) Starch)

  • 한상하;이현유;금준석;박종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04-412
    • /
    • 2006
  • 기름골 변성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및 호화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분을 분리한 후 마이크로파(700W)에 의해 60초, 120초 180초 동안 각각 직접 가열한 물리적 변성전분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을 1.5%, 3%, 6%로 각각 반응시킨 화학적 변성전분인 산화전분을 제조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 blue value, 최대흡수파장 및 흡광도는 마이크로파에 의한 변성전분의 경우 가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산화전분의 경우에도 $Cl_2$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물 결합능력은 마이크로파에 의한 변성전분의 경우에는 가열시간에 따라 증가하였고 산화전분의 경우에는 차아염소산 나트륨 처리량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 마이크로파에 의한 변성전분의 팽윤력 및 용해도는 생전분에 비해 마이크로파 가열시간이 길수록 $60^{\circ}\C$ 이하에서는 높았으나 $60^{\circ}\C$ 이상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산화전분의 경우에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처리량을 6%로 증가시켰을 경우 용해도와 팽윤력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전자주사현미경(SEM)으로 관찰한 전분의 입자형태는 두가지 변성전분 모두 표면에 약간의 변형이 일어났으나 비교적 원래의 입자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변성전분의 호화양상 결과 시차주사열량계(DSC)에 의해 측정한 경우 마이크로파에 의한 변성전분과 산화전분 모두 호화온도가 감소하였으며 호화엔탈피(${\Delta}H$)는 증가하였다. 신속점도측정계(RVA)에 의한 측정에서는 마이크로파에 의한 변성전분은 생전분(385 RVU)에 비해 최고점도가 $416{\sim}488$ RVU로 매우 높았으며, 산화전분의 경우에는 최고점도가 $129{\sim}180$ RVU로 생전분에 비해 낮았고 setback 및 breakdown도 현저하게 낮았다.

2,2,6,6-Tetramethyl-1-Piperidine Oxoammonium Ion에 의한 다당류내 1차 알코올의 특이적 산화 (Oxidation of Primary Alcohol Groups of Polysaccharides with 2,2,6,6-Tetramethyl-1-Piperidine Oxoammonium Ion)

  • 장판식;조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46-451
    • /
    • 1997
  • 구조와 용해도가 다른 4종류의 다당류(옥수수전분, 쌀전분, 고구마전분 및 셀룰로오스)내의 1차 alcohol group을 $25^{\circ}C$에서 2,2,6,6-tetramethyl-1-piperidine oxoammunium (TEMPO)을 사용하여 carboxyl group으로 산화, 전환하였다. TEMPO/bromite 촉매를 이용한 산화반응계에서 최적 pH, TEMPO함량 및 NaBr 함량은 각각 $10.5{\sim}11.0$, 10 mmol/mol of primary alcohol, 0.49 mol/mol primary alcohol이였으며, 반응 최적조건하에서의 산화율은 4종류의 다당류 모두 90%이상이였다. 산화반응은 다당류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매우 증가시켰는 바, 물에 불용성인 셀룰로오스의 경우 산화에 의하여 8.42% (w/v)로 증가되었으며, 옥수수전분, 쌀전분 및 고구마전분과 같이 물에 거의 불용성인(0.10% (w/v) 이하) 다당류들도 약 45% (w/v) 수준으로 물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의 산화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산화물질은 $Ca^{2+}$이온과의 겔 형성능을 갖게됨을 확인하였는 바, 각종 gum, gel 및 film의 새로운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UV경화제료의 중합상분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olymerization-induced phase separation of UV-curable material)

  • 최정병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1-143
    • /
    • 1997
  • Surface sizing is one of the important process to the paper making. Surface sizing had an effect on penetration of oils, physical propertiesm water resistance for the pa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rintability with surface sizing of domestic newspaper. The samples were prepared by means of TAPPI method(TAPPI 205 om~88), and were wested by IGT printability te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t-off was reduced on the surface sized with oxidized starch.

  • PDF

TEMPO를 이용하여 산화시킨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및 산화 쌀가루를 첨가한 절편의 저장 중 텍스처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xidized Rice Flour and Effects of Added Oxidized Rice Flour on the Textural Properties of Julpyun(Korean traditional rice cake) during Storage)

  • 김문수;서동순;장판식;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09-215
    • /
    • 2001
  • TEMPO와 NaBr의 수준에 따른 쌀가루의 반응 특성을 조사한 결과, 반응시간은 TEMPO와 NaBr의 수준이 낮을수록 증가하였고, 수율은 TEMPO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가 다시 약간 감소하였으며 NaBr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선택성은 NaBr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반응시간, 수율 및 선택성을 고려하여 산화 쌀가루 제조를 위한 TEMPO와 NaBr의 적정 수준을 각각 0.9 mM과 44 mM/100 mM AGU로 결정하였다. 산화 반응을 통해 쌀가루의 물과 결합능력 및 점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화 쌀가루 수용액은 의가소성 유체의 성질을 나타내었다. 산화 쌀가루로 일부 대체된 쌀가루 현탁액은 초기 점성 증가 온도가 낮아지고 최고 점도는 증가하였으며 setback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산화 쌀가루의 첨가에 따른 쌀가루의 노화 지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산화 쌀가루를 2% 첨가하고 가수량을 증가시켜 제조한 절편의 텍스처 특성을 평가한 결과, 저장에 따른 경도 증가 현상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화 쌀가루를 절편에 첨가할 경우 노화가 억제되어 저장기간의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 PDF

TEMPO와 NaBr 의 농도 및 온도가 옥수수 전분의 선택적 산화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MPO, NaBr and Temperature on the Selective Oxidation of Primary Alcohol Groups in Corn Starch)

  • 서동순;장판식;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0-44
    • /
    • 2001
  • 이 연구에서는 TEMPO와 NaBr의 농도 및 온도가 옥수수 전분 내 1차 알코올기의 선택적 산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EMPO와 NaBr 및 온도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 시간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EMPO, NaBr 및 온도의 수준이 각각 1.7 mM/100 mM AGU, 100 mM/100 mM AGU 및 $14^{\circ}C$까지는 이들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 시간이 급격히 단축되었으나, 이 이후의 수준부터는 단축정도가 적었다. 수율은 NaBr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TEMPO와 온도는 수율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성은 NaBr의 농도와 온도가 각각 100 mM/100 mM AGU와 $6^{\circ}C$까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 이후의 수준부터 NaBr 및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산 신문 용지에서 산화전분에 의한 표면 사이징 처리가 인쇄적성에 미치는 영향 (The Surface Sizing Effect of Oxidized Starch on the Printability of Newspaper)

  • 하영백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5-40
    • /
    • 1997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base paper and latex binder on printability and obtical properties of coated paper. Especially, it examined the effect of th pH of vase paper surface and functional groups of latices on the interactions between coating color components and on the structure of coated layer. It was found that the behavior of coating color containing amphoeric latex depends on the pH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coating color and base paper. Thus, the coating color formulated with amphoteric latex formed bulky coating layer by inducing stronger interaction between paper surface and coating components than the coating color with anionic latex. The coated paper with amphoteric latex showed better optical properties (i.e.gloss and optical) and printability (i.e. ink receptivity, wet ink receptivity, and ink set off) than the conventional anionic latex in the acidic and alkaline paper. However, dry pick strength of the coated paper was less decreased. This result indicated that amphoteric latex could also be applied practically to the alkaline paper.

  • PDF

우무를 이용한 종이의 표면사이즈제 개발 (Use of Agar as Surface Sizing Materials in Papermaking)

  • 윤석기;서영범
    • 펄프종이기술
    • /
    • 제40권3호
    • /
    • pp.9-14
    • /
    • 2008
  • Agar-agar extracted from red algae was used as a surface sizing material for paper after filtering, bleaching, and viscosity adjustment by oxidative depolymerization. Oxidized starches from corn and tapioca were compared to agar-based surface size in the respects of paper surface modification, strength improvement, and printability. Agar-based surface size showed high strength improvement and good printability as much as starch-based ones except film forming ability, which may be improved by adding additives, and demonstrated its great potential to be used as inexpensive and high quality surface size in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