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idation induction period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4초

상업용 천연 항산화제의 사용에 다른 어유의 산화 안정성 연구 (Oxidation Stability of Fish Oil Containing Commercially Available Antioxidants)

  • 장지선;이윤희;홍장환;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6-70
    • /
    • 2006
  • 어유에 catechin, 로즈마리 추출물 (Antox1, Antox2, Antox3), carotene, 녹차 추출물 (Gtox) 등을 첨가하여 각각의 항산화력을 rancima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synergist외의 상승효과를 측정하였다. 사용된 항산화제 6종 중에서 catechin 500ppm을 첨가한 시료의 induction periods time이 4.35 hr로 control의 0.65 hr보다 3.7 hr의 차이를 보이면서 크게 나타났다. Catechin과 Antox3에 synergist인 gallic acid, EDTA, citric acid, vitamin C, ascorbic acid, propyl gallate를 사용하여 항산화 상승효과를 비교하였다. Catechin을 주 항산화제로 사용한 경우 vitamin C와 ascorbic acid의 synergist를 첨가하지 않은 control에 비해 약 1시간 이상 증가하였으며 Antox3의 경우 vitamin C와 ascorbic acid의 synergist를 첨가하였을 때 colure떼 비해 약 2시간 가량 증가함을 보였다. 그러나 전자코를 이용한 향구분 조사에 따르면, 이들 천연 항산화제를 사용하였을 때 본래의 어유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아미노산이 Linoleic acid의 산화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ino acids on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 이준호;이은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36-341
    • /
    • 1983
  • 본(本) 연구는 linoleic acid emulsion에 아미노산용액을 첨가했을 경우 이들 아미노산에 항산화효과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 만약 항산화효과가 있다면 산화기간 중 어느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Linoleic acid emulsion과 $10^{-2}M$, $10^{-3}M$, $10^{-4}M$의 glutamic acid, phenylalanine, alanine용액을 부피비(比)로 동량(同量) 섞어 시료를 준비하였으며 아미노산 용액 대신 증류수를 넣은 control group과 함께 $60{\pm}1^{\circ}C$에서 incubation 시켰다. Incubation 시킨 sample은 UV visible spectrophotometer에 의해 흡광도를 측정하여 diene conjugation의 정도와 TBA 값을 정하였으며 이 값으로 induction period와 그후의 산화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iene conjugation의 측정결과(測定結果) glutamic acid의 첨가는 induction period를 감소시켜 prooxidant로 작용하며 alanine과 phenylalanine은 induction period를 연장시켜 주므로 항산화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2) Induction period 중 아미노산이 항산화적인 작용을 하는데에는 최적농도(濃度)가 필요하며 alanine과 phenylalanine의 최적농도(濃度)는 각각 $10^{-3}M$$10^{-2}M$이었다. 3) Induction period 측정 이후에 TBA값의 측정(測定)결과 glutamic acid, alanine, phenylalanine을 첨가한 group이 control group에 비해 그 값이 낮으므로 induction period 이후의 단계에서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항산화적(抗酸化的)인 작용(作用)을 하는 최적 농도(濃度)가 glutamic acid의 경우 $10^{-2}M$이었으며 alanine과 phenylalanine의 경우에는 각각 $10^{-3}M$이었다.

  • PDF

ZnDTP의 산화방지기능에 관한 연구 (Anti-Oxidation Property of Oil-Soluble Zinc-dialkyldithiophosphate)

  • 김영환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6권1호
    • /
    • pp.22-26
    • /
    • 2000
  • In this paper, the fuction of Zinc-dialkyldithiophosphate (ZnDTP) as an oxidation ingibitor of mineral oils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2,6-Di-tert-Butyl-4-Methylphenol (DBMP). Oxidation tests were conducted using an oxygen absorption apparatus. ZnDTP showedanti-oxidation property, and length of induction period prolonged by increasing ZnDTP concentration. The anti-oxidation property of ZnDTP was simmilar to that with DBMP. The amount of hydroperoxide decomposition ability with ZnDTP was much greater than that with DBMP, But the rate constant of radical scavenging with ZnDTP was less than that with DBMP. The anti-oxidation property of ZnDTP seems to by both synergy effect of hydroperoxide decomposition ability and radical scavenging ability.

Oxidation Stability of PAO Oils Determin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 Shim, Joosup;Cho, Wonoh;Chung, Keunwo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2권1호
    • /
    • pp.36-41
    • /
    • 1996
  • The suitability of a pressur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PDSC) in monitoring the quality of synthetic base fluids has been investigated using polyalphaolefin (PAO) oils as an example. Induction period meassured at 170, 180 and 19$0^{\circ}C$, and 3.53 MPa oxygen pressure was applied to characterize their oxidation stability. The PDSC method has proven to be simple and repeatable and requires only small sample size for testing. More importantly, it can be applied in differentiating the oxidation performance quality of PAO oils and is versatile enough for use in studying kinetic aspects of PAO oil oxidation which include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antioxidant concentration. Additionally, the method appears to correlate well with a rotary bomb oxidation test (RBOT).

천연 산화방지제가 어유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ly Occurring Antioxidants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Fish Oil)

  • 한대석;이옥숙;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3-436
    • /
    • 1991
  • 식물체 추출물, 천연유래의 산화방지제, 향신료 추출물등을 대상으로 이들이 어유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화방지 효과는 Rancimat을 이용한 가속시험(acceleration test)을 통하여 얻은 유지산화의 유도기간을 결정하여 비교하였는데 부추 깻잎, 귤, 마늘의 지용성 및 수용성 추출물, 구연산을 비롯한 각종 유기산과 EDTA 및 selenium은 어유의 산화안전성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카페인산, quercetln, catechin, 갈산 라우릴 에스테르같은 플라본(flavone) 및 폴리페놀 계통의 화합물은 어유의 유도기간 4.0시산을 $2.2{\sim}3.8$배 연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라났다. 천연물 유래의 산화방지제 중 세사몰 0.1% 첨가구와 로즈마리 추출물 0.1% 첨가구의 유도기간은 각각 11.6시간과 16.4시간으로 산화방지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즈마리 추출물은 0.02% 아스코르브산 또는 0.2% 델타 토코페롤과 병용될 경우에는 어유의 유도기간이 약 7배 연장되었는데 이는 각 산화방지제의 개별적인 산화방지 효과 뿐만 아니라 산화방지제 사이의 상승효과에도 기인한 결과로 풀이된다.

  • PDF

퀴놀린-페놀 혼합용액의 습식산화 (Wet Co-Oxidation of Quinoline and Phenol)

  • 류승훈;윤왕래;서일순
    • 공업화학
    • /
    • 제20권5호
    • /
    • pp.486-492
    • /
    • 2009
  • 퀴놀린 습식산화는 $225^{\circ}C$$250^{\circ}C$에서 수행되었다. $250^{\circ}C$에서의 습식산화에서 퀴놀린은 30 min 내에 완전히 분해되었으며 총 유기탄소(TOC)는 120 min 내에 63% 감소하였다. 반면에 $225^{\circ}C$에서의 습식산화에서는 TOC는 240 min 동안 13% 감소하였다. 퀴놀린 산화 중 니코틴산과 초산이 주 중간생성물로 생성되었다. 균일촉매 $CuSO_4$ 또는 쉽게 산화되는 페놀을 첨가하여 온화한 반응조건인 $200^{\circ}C$에서의 퀴놀린 습식산화도 수행하였다. $CuSO_4$를 0.20 g/L 사용한 촉매 습식산화는 $250^{\circ}C$ 습식산화에서와 비슷한 퀴놀린 및 TOC 제거속도를 보였다. $200^{\circ}C$에서의 퀴놀린과 페놀 혼합물 습식산화에서는 퀴놀린과 페놀의 분해 개시에 필요한 자유라디칼이 생성되는 유도기간이 나타났다. 주어진 퀴놀린 초기농도에서 페놀 초기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퀴놀린과 페놀 분해를 위한 유도기간은 짧아졌고 습식산화 180 min 동안의 TOC 감소율은 60%에서 75%까지 증가하였다. 유도기간의 감소율은 퀴놀린에 대한 페놀 초기농도비를 증가시킴에 따라 감소하였다. 반면에 퀴놀린과 페놀 혼합물 습식산화에서의 페놀분해는 페놀 습식산화에서 보다 긴 유도기간을 필요로 하였고 서서히 진행되었다.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 in Soybean and Rice Bran Oils

  • Kim, Chang-Soon;Park, Jae-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2호
    • /
    • pp.151-156
    • /
    • 2002
  • Antioxidant activity or green tea extracts (GTE) was evaluated in soybean oil (SBO), rice bran oil (RBO) and winterized rice bran oil (WRBO) stored at 63$^{\circ}C$ for 36 days. Lipid oxidation of the oils was determined using the active oxygen method (AOM), peroxide value (POV), change in unsaturated free fatty acid concentrations and by sensory evaluation. SBO had a higher concentration of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inoleic and linolenic acid than RBO and WRBO. WRBO and RBO were more stable against lipid oxidation than SBO. Addition of GTE (200 ppm) to the stored oils, increased the induction period (IP) in AOM, reduced the increase in POV, and lessened the change in unsaturated fatty acids. Furthermore, GTE prevented the development of rancid flavors resulting from storage, all of which demonstrate the protective antioxidative activity of GTE. However, oil color became darker in the GTE treated oils. The antioxidant protection of GTE was most effective in RBO.

n-3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억제에 미치는 플라보노이드와 a-토코페롤의 효과 -1. 정제어유의 가열 및 저장 중 산화억제 효과- (Effects of Flavonoids and a-Tocopherol on the Oxidation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1. Inhibition of Fish Oil Oxidation by Heating and During Storage-)

  • 정동윤;권미나;홍정화;변대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5-165
    • /
    • 1994
  • To evalu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flavonoids and a-tocopherol on purified fish oil(up to $40\%$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ipid peroxidation, and fatty acids content during storage and upon heating were determined. The potential of these compounds for inhibiting and delaying both oxidation and lipoxygenase processes was also evaluated. The oxidation of fish oil was effectively inhibited by flavonoids and a-tocopherol. The antioxidizing effect of these compound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ir concentration. The addition of a-tocopherol and catechin-a-tocopherol mixture were prolonged induction period of lipid oxidation by 3.5 to 4 times. All other flavonoids also shown more than twice the prolonging effect. Lipoxygenase activity was decreased by catechin and a-tocopherol effectively.

  • PDF

팜유 혼합유채유의 산화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Mixed Rapeseed oil with Palm oil)

  • 현영희;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17-322
    • /
    • 1993
  • Erotic acid함량이 높은 유채유(HEAR oil)와 erotic acid함량이 낮은 유채유(LEAR oil)에 대하여 팜유를 각각 30%, 50%, 70%의 비율로 단순혼합한 유채유와 ester 교환 혼합유채유를 제조하였다. 이들 혼합유채유의 혼합비율, 혼합방법을 달리한 때의 산화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온저장시($60\pm$2^{\circ}C$$)의 산값, 과산화물값, 유도 기간과 상대적항산화효과 및 요오드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혼합유채유의 튀김적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거품형 성성을 측정하였다. 1) 혼합유채유는 팜유의 혼합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산값과 과산화물값이 매우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HEAR oil과 LEAR oil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또한, ester 교환 혼합유채유는 단순 혼합유채유보다 산값과 과산화물값의 초기값이 다소 높았으나 산패의 경향은 유사하였다. 2) 단순 혼합유채유는 유도기간이 HEAR oil의 유도 기간보다 약 2.4~4배 연장되었다. Ester 교찬 혼합유채유에서는 약 2~3.2배 연장되어 단순 혼합유채유의 유도기간이 다소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3) 혼합유채유의 요오드값은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되었으나 혼합방법에 따른 요오드값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였다. 4) 팜유를 동량혼합한 경우가 가장 거품형성양이 많았으며, 혼합비율을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거품형성양은 감소되었다. 한편 ester교환 혼합유채유는 단순 혼합유채유보다 거품형성양이 약 28~40% 감소되었다. 이 상의 결과로 팜유 혼합유채 유는 HEAR oil과 LEAR oil보다 산화안정성이 매우 뛰어나며, ester교환으로 혼합할 경우 거품형성량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튀김유로의 사용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참깨가루와 통참깨로 착유한 참기름의 성분 비교 (Comparison of Components of Sesame Oil Extracted from Sesame Flour and Whole Sesame)

  • 김성호;김인호;김정옥;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7-73
    • /
    • 2002
  • 수입 참깨가루로 제조한 참기름의 품질과 위생적 안정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통참깨와 참깨가루를 원료로한 참기름의 일반성분, 화학적 특성, 지방산, sesamol, sesamolin, sesamin 함량 및 AOM에 의한 유도기간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중 수분은 통참깨에 비해 참깨가루가 월등히 낮게 나타났으며, 단백질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참기름의 화학적 특성으로 산가와 검화가는 참깨가루가 통참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요오드가는 통참깨군보다 낮았다. 참기름의 지방산 조성에서 linolenic acid과 linoleic acid의 함량은 각각 222.44~144.14, 2713~1776.46 $\mu\textrm{g}$/mL이었고, linoleic acid와 ${\gamma}$-linoleic acid의 함량이 통참깨 참기름에 비해 참깨가루 참기름의 함량이 낮았다. Lignan 물질 중 sesamol 함량은 통참깨 참기름이 참깨가루 참기름보다 함량이 높았고, 인도산 통참깨 참기름의 sesamol 함량이 가장 높았다. Sesamin, sesamolin 함량은 한국만 통참깨 참기름이 가장 높았다. AOM에 의한 산화유도시간은 북한산, 중국산 참깨가루가 각각 6.67, 13.35 시간으로 나타나 통참깨군보다 산화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