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ule cultur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41초

배추와 무의 속간 잡종육성을 위한 배주배양시 배 발아에 미치는 BA와 GA의 효과 (Effect of BA and GA on Embryo Germination from Ovule Culture in Intergeneric Hybrids between Brassica and Raphanus)

  • 리왕영;조영환;백기엽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57-262
    • /
    • 1997
  • Brassica와 Raphanus 간에 속간 교잡종을 육성하기 위해서 34개의 교배 조합을 설정한 다음 수분 12일이 경과된 배주를 BA와 GA 1.0 ㎎/L가 첨가된 MS배지에 접종하고 배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BA나 GA 첨가는 배의 발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무 속의 '내병총태'와 '중국청피'를 부계로 교잡한 조합에서 배의 발아율이 낮았으나 갓(Brassica juncea)을 부계로 교잡한 조합에서는 비교적 배의 발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배주배양시 배지에 첨가한 casein hydrolysate, malt extract, BA, kinetin 및 glutamine이 배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부계나 모계의 교잡조합에 따라 배의 발아율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알스트로메리아 배주배양을 통하여 획득한 정역교배 자손의 혼종성 분석 (Hybridity Verification of Progenies Obtained from Ovule Culture by Using RAPD Markers in Reciprocal Crosses of Alstroemeria)

  • 이자현;정연화;한태호
    • 화훼연구
    • /
    • 제19권4호
    • /
    • pp.231-237
    • /
    • 2011
  • 본 연구는 알스트로메리아 두 개의 교배계통을 정역교배한 후 배주배양을 수행하였으며, RAPD 마커분석을 통하여 유전적 분배를 조사하였다. 수분 후 경과 14일에 수확하여 sucrose $60g{\cdot}L^{-1}$와 gelrite $2.2g{\cdot}L^{-1}$를 첨가한 MS배지에 half-ovule 배양이 가장 좋았다. 배양 6주후부터 배발생을 시작하여 4개월 후에 완전한 유식물체를 생성하였다. 7개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교배계통과 교배자손의 RAPD 분석을 수행하여 89개의 밴드 중 59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었다. 정역교배에서 얻은 7개의 교배자손은 $X^2$ 분석 결과 부모본으로부터 1 : 1비율로 분배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교배자손이 교배계통에서 얻은 것을 확신할 수 있었다. 알스트로메리아의 정역교배에서 교배조합에 따라 교배자손의 수가 다른 것은 주두 또는 화사와 화분의 불친화성을 가지는 수정 전 장벽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알스트로메리아 육종을 위하여 수정 후 장벽과 함께 수정 전 장벽 또한 극복해야 할 것이다.

나팔나리와 자생 솔나리 간의 종간교잡 불화합성 극복을 위한 in vitro 배양방법 (Application of in vitro Culture Methods for Overcoming Cross-incompatibility in Interspecific Crosses between L. longiflorum and L. cernuum)

  • 김영진;박성민;김종화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3호
    • /
    • pp.378-383
    • /
    • 2001
  • L. longiflorum 'Gelria'와 우리 나라 자생종인 솔나리(L. cernuum)와의 종간 교잡시 수정 후 장벽을 극복하여 효율적인 식물체 생산을 목적으로 자방절편 배양, 배주배양, 배배양을 수행하였다. 두 종의 정역교잡에서 L. longiflorum 'Gelria'${\times}$L. cernuum의 편방향 교잡에서만 과실이 발달하였다. 수분 40일 경과된 자방의 자방절편 배양에서 sucrose 농도를 2, 4, 6, 8, 10%로 달리하여 배양한 결과 6% sucrose+MS 배지가 배주발달에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나 많은 잡종 개체를 획득하였다. 자방절편 배양에서 획득된 배주의 배양도 6% sucrose배지에서 제일 좋았다. Sucrose가 발아 및 미숙배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자방절편 배양 시 8% 이상의 sucrose농도에서는 배양 40일 후부터 비대 발달된 배주가 투명화 되거나 퇴화되는 현상이 많이 관찰되었다. 한편, L. cernuum${\times}$L. longiflorum 조합에서는 30일간 자방절편 배양하였을 때 배주가 자라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나, 이어진 배주 배양에서 식물체를 획득할 수가 없었다. 수분 60일 후의 배주를 관찰한 결과 0.6mm보다 두꺼운 배주는 배를 함유하는 것으로 간주되었고, 이들의 배는 1.2-1.7mm 정도였다. 이들 배주 NAA를 첨가하지 않은 6% sucrose만 첨가한 MS배지에서 일반 종자처럼 발아하였다. 이들 배주로부터 적취된 배의 배양은 MS+NAA $0.1-1 mg{\cdot}L^{-1}+6%$ sucrose에서 가장 좋은 효과가 나타났다. 작업의 간편성을 고려하면 L. longiflorum 'Gelria'와 솔나리(L. cernuum)와의 종간잡종 육성은 수분 후 60일에 채취된 0.6mm 이상의 배주를 배양하는 방법이 추천될 수 있었다.

  • PDF

기내수정에 의한 Nicotiana tabacum과 N. repanda의 잡종식물 육성 (Interspecisc hybrid of Nicotiana tabacum and N. repanda by in vitro pollination and fertilization)

  • 최상주;금완수;정석훈;정윤화;조명조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9-113
    • /
    • 1995
  • Nicotiana repanda has resistance to many important tobacco diseases but no tobacco cultivars are currently available that carry risistance genes derived from this species. Numerous attempts to hybridize N, repanda with commercial tobacco cultivars have been largely unsuccessful because of cross incompatibility or the uncovering of lethal genes. In vitro pollination of placenta attached ovules was useful in by passing prezygotic barriers for interspecific hybrid combination between N.tabacum cv. NC82 and N. repanda. Six days after in vitro pollination of N. tabacum cv. NC82×N. repanda, enlarged ovules on plancenta were removed and transferred into ovule culture medium of kitsch and kitsch (1969). Within 15 days of ovule culture, germination occurred. Most of the hybrid seedlings obtained had poor root system and finally died, while few of them had good root system and grew well.

  • PDF

Application of in vitro ovary culture for cottonwood (Populus deltoides) breeding

  • Kang, Ho-Duck;Lee, Min-Soon
    • Plant Resources
    • /
    • 제7권2호
    • /
    • pp.87-92
    • /
    • 2004
  • Five different poplar hybrids were tested for rescuing embryo to elongate in vitro plantiets after hybridization. Ovaries and ovules were cultured on Woody Plant Medium (WPM) supplemented with cytokinins, 6-benzylamine (BA) and zeatin. Multiple shoots were initiated from half section of capsule with immature embryos after 21 days from pollination and tiny shoots were formed after the expansion of cotyledons in ovule cultures. Germinating response was better in intraspecific hybrids $(6.53\pm1.66)$ than interspecific crosses $(0.93\pm0.54)$ from half section of capsules on WPM medium. In general, zeatin was better than BA in inducing multiple shoots from isolated ovules. The highest average number $(19.40\pm4.53)$ of shoots was produced from immature ovules of 21 days post-pollination of WPM medium supplemented with 5.0 mg/L zeatin. The highest percentage of germination was 93% from the half section of in vitro ovary cultures. Soil acclimation was successfully conducted in cell tray containing artificially mixed soil with 96% survival rate.

  • PDF

속간교잡 후 배주배양에 의한 감귤류 신품종 육성 (Breeding of New Varieties by Ovule Culture of Intergeneric Hybrid in the Aurantioideae)

  • 이만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61-266
    • /
    • 1995
  • 감귤류 속간교잡에 의하여 왜성화되고 내한성이 강한 신품종 개발에 대한 연구로서 황금유자와 탱자, 유자와 탱자의 정역교잡 및 잡종종자의 미숙배주 배양을 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숙배주의 callus형성은 탱자 < 유자 < 황금유자 $\times$ 탱자 < 황금유자 순서로 양호했는데, 1 ~ 3 mg/L + zeatin 0.5 mg/L 처리구에서 제일 좋았다. 황금유자와 탱자의 정역속간교잡 20주 후 기내에서의 발아율은 황금유자 $\times$ 탱자의 잡종이 41.3%, 탱자 $\times$ 황금유자의 잡종에서는 37.7%를 보였다. 황금유자 $\times$ 탱자의 F$_1$ 잡종 95%와 탱자 $\times$ 황금유자의 F$_1$ 잡종 100%는 탱자를 닮았다. 황금유자 $\times$ 탱자의 수분 후 3시간이면 화분은 계두상에서 발아하고, 24~28시간이면 화분관이 주공에 진입하며, 2일이면 극핵과 수정하며, 3일이면 난세포와 수정한다. 속간교잡의 결과율은 황금유자 $\times$ 탱자가 14.0%, 탱자 $\times$ 황금유자가 17.5%이었다. 황금유자와 탱자의 인공자가수정 결과율은 각각 45.4%, 27.5%이었으며 인공 타가수정 결과율은 34.2%, 39.5% 이었고, 단위결과율은 3.1%, 1.4%이였다. 또한 자연상 태에서의 결과율은 각각 13.0%, 3.0% 이었다. 황금유자, 유자, 탱자의 체세포와 생식세포 염색체수는 모두 2n=18, n=9 이었다.

  • PDF

유자와 탱자의 속간교잡후 배주배양에 의한 식물체 유기 (Plant Regeneration via in Vitro Culture of Ovule Obtain by Intergeneric Crossing Between Citrus junos Sieb. et Tanaka and Poncirus trifoliata Raf.)

  • 이만상;남궁승박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17-322
    • /
    • 1995
  • 속간교잡에 의한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유자와 탱자를 정역교잡한 후 배주배양하였고, 자웅배우체 형성 및 수정현상을 조사하였다. 속간교잡의 결과율은 유자$\times$탱자가 16.6%, 탱자$\times$유자는 11.7%이었다. 수분후 6주된 배주를 MT 기본배지에 Zeatin 0.5 mg/L에 NAA 1 또는 3.0 mg/L에 배양했을 때 callus형성율이 높았지만, 14~15주된 배주를 2,4-D 0.1 mg/L 또는 0.5 mg/L이 첨가된 배지에 배양했을 때는 식물체 유기가 잘 되었다. 20주된 배주배양시 발아율은 유자 $\times$ 탱자의 경우 54.5%, 행자 $\times$ 유자는 48.6%이었다. F$_1$식물의 삼엽형 출현율은 유자$\times$탱자는 56.7%, 탱자$\times$유자는 100%이었다. 유자와 행자의 염색체수는 모두 n=9 (2n=18)이었고 화분립의 크기는 각각 33.75 $\mu$, 25.0 $\mu$이었다. 유자와 탱자 배낭의 길이와 폭은 69.38~79.23 $\mu$, 27.50~38.56 $\mu$, 난세포의 길이와 폭은 17.50~41.50 $\mu$, 6.25~8.12 $\mu$이었다. 수분 후 72시간이면 수정이 끝났다.

  • PDF

기내 수분과 배양에 의한 화본과 사료작물 종속간 수정과 배의 발육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in Pollination and Culture for Interspecific and Intergeneric Crossing of Forage Crops)

  • 이호진;한지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55-461
    • /
    • 1987
  • Festuca속의 토올페스큐와 메도우페스큐, 그리고 Lolium속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들 간에 종속간 잡종을 얻기 위하여 기내수분과 기내배양을 실시하였다. 이들 작물들의 자방과 화분을 채취하여 소독을 하고 주두수분, 주두제거 수분, 배주수분의 3가지 방법으로 기내수분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배발육상태를 MS, N6 , White's의 배지종류와 IAA Kinetln, BA의 생장조절물질의 처리로서 비교하였다. 1. 토올페스큐, 메도우페스큐,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상호 조합간 기내수분에서 44~92%의 수정율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주두수분은 평균 67.8% 주두제거 수분은 평균 89%의 수정율을 보였으나 배주수분은 평균 61 %로 낮았다. 2. 화본과 수정배주에서 배발육을 촉진하는데는 White's 배지가 가장 효율적이었고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처리는 IAA(10mg/$\ell$)와 Kinetin(0.2 mg/$\ell$)의 혼합처리가 무처리보다 효과적이었으나 발아율은 극히 저조하였다 3. 기내배양으로 성숙 배주의 배부조직에서 유관책의 형성과 시원체조직의 분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배주 내부에 후막세포들의 형성이 관찰되었다.

  • PDF

In Vitro Production of Indian Citrs Ringspot Virus-Free Plants of Kinnow Mandarin (Citrus nobilis Lour X C. deliciosa Tenora) by Ovule Culture

  • Singh B.;Sharma S.;Rani G.;Zaidi A.A.;Hallan V.;Nagpal A.;Virk G.S.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259-265
    • /
    • 2005
  • Indian citrus ringspot virus (ICRSV)-free plants of Kinnow mandarin (Citrus nobilis Lour x C. deliciosa Tenora) were raised from virus-infected plants using unfertilised ovules as explants. Plants were tested by indirect ELISA and RT-PCR before using their explant. An amplified product of 539 bp was obtained by RT- PCR in ICRSV infected plants. Unfertilized ovules were excised from unopened flower buds of plants tested postive for virus and were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s (MS)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kinetin (KN) or malt extract (ME). Maximum induction (31.94%) of embryogenic callus was observ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KN ($9.29\;{\mu}M$). Transfer of embryogenic calli to similar media composition resulted in somatic embryogenesis in all cultures, with an average number of 60.36 globular, 17.39 heart and 7.71 cotyledonary-shaped somatic embryos per culture. All cotyledonary shaped embryos developed into complete plantlets within 60 days on transfer to similar medium. Embryogenic callus induction, somatic embryo formation, maturation, germination and plantlet formation were achiev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KN ($9.29\;{\mu}M$) alone. The plantlets derived from somatic embryos were transferred to sterilized soil, sand and vermiculite (3:1:1) mixture. After acclimatization, the plantlets were transferred to screen house and were indexed for ICRSV employing indirect ELISA and RT-PCR and found free of virus. A distinct feature of this study is the induc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from unfertilised ovules to produce virus-free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