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bite depth indicator(ODI)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수직피개의 결정요인과 수직피개 심도지수(ODI)의 상호관계 (The determinants of vertical overbite and overbite depth indicator(ODI))

  • 양상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9-360
    • /
    • 1999
  • 전치부 수직피개 (overbite)는 하악평면, 구개평면 또한 AB 평면의 경사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이 구명되었으며, ODI (overbite depth indicator)는 overbite의 세 결정요인이라 할 수 있는 FMA, PPA FABA의 합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ODI와 세 결정요인들과의 상호관계를 기하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관계계수를 산출하였다. ODI 정상수치를 나타내는 관계식에 산출된 관계계수를 대압하여 정리하면, ODI norm=$85^{\circ}-0.5PMA-( 1.08 - 0.01FMA)( FABA-81^{\circ})$라는 식이 도출된다. 이는 ODI 정상수치는 절대적 개념이 아니라 개개인의 골격형태에 의해 결정되는 상대적 개념으로 파악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렇게 산출한 ODI정상수치 (Individualized ODI norm)개념의 임상적 적용과 진단학적 의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 PDF

교정 진단을 위한 피개교합심도지수 (Overbite Depth Indicator, ODI) 의 새로운 평가 (A NEW APPROACH TO USE OVERBITE DEPTH INDICATOR IN ORTHODONTIC DIAGNOSIS)

  • 양원식;장영일;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30
    • /
    • 1992
  • Since 1984, many patients have been treated with Multiloop Edgewise Archwire (MEAW) Technique and diagnosed with ODI (Overbite Depth Indicator) and APDI (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by the authors. 234 samples of them were selected randomly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ge, sex, Angle's classification, treatment period, extraction, ODI etc.). Especially, ODI was analysed statistically and its application methods were reviewed. The results an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On the 150 patients with normal overbite, the mean values of Class I, II, III malocclusion were $67.5^{\circ}$, $72.2^{\circ}$ and $59.0^{\circ}$.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level of p < 0.01. 2. In normal overbite samples, ODI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PDI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4. It seems that this resul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B to mandibular plane angle. 3. The regression equation was Y = - 0.57X + 114.64, where X is APDI and Y is ODI. In cases of small or large APDI, it seems to be absurd that the patient's ODI is compared with the mean ODI to differentiate diagnostically the open bite or deep bite tendency from the normal.

  • PDF

Kim's analysis에 의한 III급 부정교합아동의 측모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THE LATERAL CEPHALOMETRIC STUDY OF THE GROWING CHILDREN WITH CLASS III MALOCCLUSION BY KIM'S ANALYSIS)

  • 양규호;최남기;정진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8-307
    • /
    • 2003
  •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은 임상적으로 쉽게 드러나지 않은 치아와 골격간의 상세한 관계를 나타내주며, 이것을 계측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어 임상에 적용되고 있다. 이 중 Kim's analysis는 수직피개(overbite)의 지표로 ODI(Overbite Depth Indicator), 전후방적 부조화의 지표로 APDI(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그리고 이들의 합인CF(Combination Factor)를 제시하였다. 또 CF에 상하악의 절치각과 안모의 돌출도를 고려하여 EI(Extraction Index)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분석법에 이용되는 각 계측치들이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어떻게 분포하며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골격이 조화로우며 안모가 단정한 7세부터 9세의 정상교합자와 동일한 연령의 III급 부정교합자 14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Kim's analysis에 이용되는 계측항목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교합자와 III급부정교합자의 비교에서 ODI, APDI, IIA, UL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CF와 EI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P<0.01). 2. 정상교합자에서 ODI, APDI, IIA의 평균은 각각 72.63, 80.47, 121.37이었다. 3. III급 부정교합자 ODI, APDI, IIA의 평균은 각각 64.46, 87.31, 129.80이었다. 4. ODI와 APDI의 Pearson 상관계수는 -0.576으로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5. EI와 다른 계측치들간의 상관관계는 CF(0.777), LL(-0.607), UL(-0.588), IIA(0.485), APDI(0.444), ODI(0.304)의 순서였다. 이것은 발치분석을 하는데 있어 상순과 하순의 돌출도가 가장 민감하게 반영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 PDF

정상 교합자의 세가지 안면 성장유형에 따른 ODI, APDI의 변화 (A Longitudinal change of ODI and APDI on Three Facial Growth Patterns in Koreans with Normal Occlusion)

  • 이선령;박경덕;경희문;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57-568
    • /
    • 1996
  • 본연구는 안면성장유형에 있어서의 피개교합심도지수, 전후방부조화지수의 성장에 따른 변화 양상을 알아 보기 위하여 정상교합자 남자 19명, 여자 14명의 10년간 격년으로 촬영한 두부 X-선 규격사진을 Y-axis의 연구기간동안 총변화량에 따라 Drop, Neutral, Forward의 세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각 계측항목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dot$ 남녀 각 안면유형에서 각 연령군의 각 계측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얻었다. $\cdot$ 안면유형에 따른 세 그룹간 비교에서 전후방부조화지수와 피개교합심도지수는 전 연령구간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피개교합심도지수는 남녀 모두 전 연령구간에서 Drop, Neutral, Forward의 크기순으로 나타났다. $\cdot$ 피개교합심도지수와 전후방부조화지수는 전연구기간동안 연령증가에 따른 변화없이(p>0.05) 안정되게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cdot$ Y-axis의 총변화량과 각 계측항목의 상관성 조사에서 A-B plane angle, Facial angle은 남녀 모두에서 상관성을 나타내었고(p<0.05) 전후방부조화지수는 여자에서만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나(p<0.001) 피개교합심도지수는 남녀 모두에서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p>0.05).

  • PDF

The predictability of dentoskeletal factors for soft-tissue chin strain during lip closure

  • Yu, Yun-Hee;Kim, Yae-Jin;Lee, Dong-Yul;Lim, Yong-Kyu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279-287
    • /
    • 2013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dentoskeletal factors which may predict soft-tissue chin strain during lip closure. Methods: The pretreatment frontal and lateral facial photographs and lateral cephalograms of 209 women (aged 18-30 years) with Angle's Class I or II malocclusion were examined.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by three examiners into the no-strain and strain groups according to the soft-tissue chin tension or deformation during lip closure. Relationships of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with the group classification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CART) model was used to define the predictive variables for the group classification. Results: The lower the value of the overbite depth indicator (ODI) and the higher the values of upper incisor to Nasion-Pogonion (U1-NPog, mm), overjet, and upper incisor to upper lip (U1-upper lip, mm), the more likely was the subject to be classified into the strain group. The CART showed that U1-NPog was the most prominent predictor of soft-tissue chin strain (cut-off value of 14.2 mm), followed by overjet. Conclusions: To minimize strain of the soft-tissue chin, orthodontic treatment should be oriented toward increasing the ODI value while decreasing the U1-NPog, overjet, and U1 upper lip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