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 dominance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38초

스마트 폰 배달 앱의 서비스품질이 감정반응과 앱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PAD 이론을 중심으로 - (Influence of Smart Phone Food Delivery Apps' Service Quality on Emotional Response and App Reuse Intention - Focused on PAD Theory -)

  • 전현모;김민정;정현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6-221
    • /
    • 2016
  • 스마트 폰 확산과 배달 앱의 이용 증가로 인해 배달 앱 이용 시 소비자가 지각하는 감정반응과 앱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달 앱에 대한 이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변수로 배달 앱의 서비스품질과 PAD의 2가지 감정차원, 각성과 즐거움을 제시하여 그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배달 앱 콘텐츠 개발과 운영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과 공간적 범위는 최근 3개월이내 배달 앱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전국의 20세 이상 남녀 내국인 거주자로 정하였으며, 조사대상자 중에서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을 통해 음식을 주문한 경험이 있는 외식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배달 앱 서비스품질의 디자인과 공감성은 각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디자인과 신뢰성은 즐거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 앱 서비스품질의 정보성과 이동성은 앱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D의 즐거움은 앱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각성은 아무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소비자들이 배달 앱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디자인과 신뢰성, 정보성, 이동성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동해 비화 조하대 해조류 군집구조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Seaweed Community Structure at the Subtidal Zone of Bihwa on the East Coast of Korea)

  • 김영대;박미선;유현일;민병화;진형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62-270
    • /
    • 2012
  • Seaweeds provide habitats in which marine animals can spawn and develop, and serve as a food supply for algaegrazing species such as sea urchins and abalone. Recently, seaweed species have disappeared from coastal ecosystems, leaving barren ground, defined as habitats that have lost their algae forests and where coralline algae containing calcium carbonate components have become encrusted on rocks. The biological causes of barren ground include grazing by herbivores and excessive seaweed harvest. The environmental harm caused by the spread of barren ground includes accelerated eutrophication following the reduction in seaweed,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oceanic purific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seaweed species and the occurrence of barren ground. Subtidal benthic macro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observed seasonally on barren ground along vertical transects of rocky shores of Bihwa, Samchuck, and the east coast of Korea from February to November 2006. Fifty-eight seaweed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7 green, 15 brown, and 36 red algae species. There were between 6 and 28 species among seasons. Over the whole study period, average seaweed biomass (g wet wt $m^{-2}$) was 241.90 g, with a seasonal range of 25.26 to 760.34 g. Seaweed biomass declined with increasing seawater depth and ranged between 91.26 and 422.08 g.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lgae was characterized by Undaria pinnatifida and Sargassum honeri at 5 m, S. honeri and U. pinnatifida at 10 m, and U. pinnatifida and Agarum clathratum at 15 m depth. Seasonal patterns in community indices were not found. Community indices showed different patterns along vertical shoreline gradients; the dominance index increased but the richness, evenness, and diversity indices decreased with seawater depth. Sea urchin density was 8 to 24 individ. $m^{-2}$ in Bihwa. These urchin populations had significantly aggregated spatial patterns and recurrent destructive grazing appeared to be occurring.

이면교잡에 의한 수도의 양적형질의 유전분포 제 1 보 세대별 각형질의 Heterosis정도의 차이 (Genetic Studies on Some Quantitative Characters of Rice in Diallel Crosses 1. Degree of Heterosis in $F_1$ and $F_2$ Generations of Various Characters)

  • 장권열;전병태;곽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5-33
    • /
    • 1978
  • 7 X 7이면교잡에 의한 수도의 양적형질에 대한 Heterosis정도와 조합능력을 검정하기 위하여 몇가지 실험을 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일수에 있어서는 교배친의 평균치에 비하여 F_1세대의 전조합의 평균치가 105%의 Heterosis정도를 보이고 BL-1과 밀양1005의 품종이 교배친으로 되어 있는 $_{x}\textrm{F}_1세대에서는 현저한 Heterosis를 나타내었다. 2. 간장에 있어서는 교배조합에 따라서 Heterosis 정도가 다르나 장간종인 Columbia II와 단간종인 Waito가 교배친으로 되어 있는 조합은 Heterosis정도가 높고, Waito가 교배친으로 되어 있는 $_{x}\textrm{F}_1세대에서는 초우성이 나타났으며, 어느조합에 있어서도 $_{x}\textrm{F}_2세대보다 $_{x}\textrm{F}_1세대에서 Heterosis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3. 수장에 있어서도 $_{x}\textrm{F}_1세대에서의 Heterosis정도가 $_{x}\textrm{F}_2세대보다 현저하고 Columbia II, Waito, BL-1, 밀양1005, YR675-153-2-2등이 교배친으로 되어 있는 조합에서는 Heterosis정도가 현저하고 또한 이들 조합의 $_{x}\textrm{F}_1세대에서는 대부분 초우성으로 나타났다. 4. 수수에 었어서도 $_{x}\textrm{F}_1세대에서의 Heterosis정도가 $_{x}\textrm{F}_2세대보다 현저하고, BL-1, Waito, YR67S-153-2-2, 밀양1005가 교배친으로 되어 있는 $_{x}\textrm{F}_1세대와 BL-1과 Waito가 교배친으로 되어 있는 $_{x}\textrm{F}_2세대에서 초우성으로 나타난 조합이 많았다. 5. 지엽장에 있어서는 조합에 따라 Heterosis 정도가 매우 다르나 BL-1과 Waito가 교배친으로 되어 있는 $_{x}\textrm{F}_1, $_{x}\textrm{F}_2세대에서 Heterosis정도가 높고, Waito가 교배친으로 되어 있는 $_{x}\textrm{F}_1세대에서는 초우성으로 나타났다. 6. 지엽폭도 지엽장과 같이 BL-1과 Waito가 교배친으로 되어 있는 조합에 한해서 Heterosis정도가 현저하다. 7. 추출도는 어느 조합에 있어서도 현저한 Heterosis 정도를 나타내었으며, $_{x}\textrm{F}_1세대에서 현저한 초우성을 나타내었다. 8. 천입중에 대한 Heterosis정도는 어느 조합에 있어서도 현저하지 아니하였다. 9. $_{x}\textrm{F}_2세대에서의 입중의 Heterosis정도는 영남조생과 Waito가 교배친으로 되어 있는 조합에 한해서 현저한 Heterosis를 보이고 그중에서도 영남조생\timesIR24 영남조생 \timesColumb II에서는 초우성을 나타내었다

  • PDF

체육전공과 체육비전공 남자대학생의 식이섭취 실태조사 및 혈청 지질 함량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rum Lipid Levels and the Dietary Intake of Physical Education Major and Non-Major Male Students)

  • 최경아;김명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667-674
    • /
    • 2003
  • The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physical exercise on blood lipid with young male students. Our analysis is based on the body measurement, food intake and blood lipid component for 70 male students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who either major in physical exercise (group A) or do not major in physical exercise (group B). The average weight of group A is 71.97 $\pm$ 10.79 kg while that of group B is 67.57 $\pm$ 8.66 kg. The former i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e latter. The SBP of group A (128.20 $\pm$ 11.40 mmHg) is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that of group B (136.27 $\pm$ 13.18 mmHg). In terms of the intake of total kcal, group A marks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B; group A goes with 2190.26 $\pm$ 581.96 kcal and group B goes with 2392.94 $\pm$ 769.03 kcal.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ree nutrient intake shows that the intake proportions for group A are carbohydrate 55.08 $\pm$ 6.03%, protein 15.58 $\pm$ 2.75%, and lipid 29.34 $\pm$ 5.16% while the intake proportions for group B are carbohydrate 57.29 $\pm$ 8.09%, protein 15.62 $\pm$ 3.26%, and lipid 27.10 $\pm$ 6.90%. For group A, the vitamin B$_1$ intake amounts to 1.50 $\pm$ 0.5 mg which fulfills 100% of RDA, and the niacin intake amounts to 16.57 $\pm$ 5.54 mg N.E which is less than RDA. In contrast, both intakes for group B are more than the RDA. In the case with minerals except calcium, both group A and B mark more intake than RDA. Group A's calcium intake is 517.12 $\pm$ 200.63 mg and group B's is 409.56 mg. The total cholesterol intake for group A is 447.00 $\pm$ 245.08 mg which i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for group B with 352.35 $\pm$ 200.25 mg. The total cholesterol in the lipid of serum is 151.30 $\pm$ 12.92 mg/dl for group A and 182.30 mg/dl for group B, where the dominance of group B over group A is true at the level of significance 0.01. In the case with triglyceride, group A is 107.57 $\pm$ 31.60 mg/dl and group B is 108.07 $\pm$ 33.93 mg/dl so that the group difference is non-significant. The HDL-cholesterol for group A is 54.67 $\pm$ 6.49 mg/dl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p<0.001) than for group B with 36.13 $\pm$ 4.64 mg/dl. We conclude that regular exercise may have an effect on blood lipid metabolism among young males.

한국, 일본, 만주의 철도현황 비교연구 -1920년대 중반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Korean, Japanese and Manchurian Railway Policy during the Japan Colonial Period)

  • 이용상;정병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57-165
    • /
    • 2015
  •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중반에 걸쳐 동아시아 한국, 일본, 만주는 여러 가지 성장과 발전과정을 겪었는데, 그 중 철도는 매우 중요한 발전수단이었고 국가의 정책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당시 동아시아 정세는 일본의 대륙진출이 두드러진 시대로 그 영향력이 매우 컸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가운데에서도 각국의 철도는 국가정책과 철도정책 그리고 다양한 조직과 영향력 하에서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3개국의 철도를 비교하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동아시아 철도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 일본, 만주철도의 각각의 특징을 비교해 보면 첫째 일본은 철도를 통한 근대화와 대륙진출의 동기를 가지고 있었고 조선은 대륙철도연결을 수행하는 역할 그리고 만주의 경영은 철도를 통해 직접 지배하는 양상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일본철도의 모델을 그대로 우리나라에 적용하였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의 연장선상에서 철도가 운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만주 철도의 경우 유럽각국의 아시아 지배의 모습에서 발견할 수 있는 비슷한 양상과 일본이 초기 사설철도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철도를 통한 지배양상을 보이고 있다.

침입외래식물 가시상추의 확산과 생육지 유형별 분포 특성 (Spreading and Distribution of Lactuca scariola, Invasive Alien Plant, by Habitat Types in Korea)

  • 김영하;길지현;황선민;이창우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2호
    • /
    • pp.138-151
    • /
    • 2013
  • 본 연구는 국화과에 속하는 유럽 원산의 외래잡초인 가시상추(Lactuca scariola)의 분포와 생육지 유형별 특성을 조사하여 관리 계획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시상추는 전국의 211개 지점에서 분포가 확인되었고, 생육지 유형은 크게 나지, 도로변, 항구 및 항만 주변과 하천변 등 4가지로 구분되었다. 종순위-우점도 곡선을 이용한 종다양성 지수는 도로변에서 가장 높았고, 항구 및 항만주변, 나지, 도로변의 순서였다. 생육지 유형별로 총 32개 조사지역에서 공통 출현한 식물의 빈도는, 달맞이꽃이 24회로 가장 높았고, 돼지풀 17회, 쑥 16회 등이 조사되었다. 또한, 가시상추 생육지에서의 식물상은 총 26과 77속 89종 7변종 1품종으로 총 97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외래식물은 44종으로 전체의 45.4%를 차지하였다.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Th-D4-R5-e로 1년생 식물(Th)이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여 가시상추의 생육지가 인간 활동으로 인하여 교란된 지역임을 나타내었다. 가시상추는 주로 새롭게 건설되는 도로를 따라 바람길로 확산되고 있고, 나지에서는 선구종의 역할을 하고 있다. 생육지 유형별 도시화지수(UI)는 도로변 9.1%, 방조제항이 7.4%로 다른 생육지보다 높은 도시화지수를 나타내어, 이 유형이 가시상추뿐만 아니라 외래식물이 비교적 침입하기 좋은 입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시상추의 생육지는 분포면적에 비해 생육밀도가 비교적 낮고 인위적 교란이 자주 일어나는 천이 초기식생 지역이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경우 가시상추의 확산 방지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건고추 개화소요일수의 유전 분석 (Genetic Analysis of Days to Flowering in Korean Hot Pepper)

  • 소재우;이용범;남상용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1호
    • /
    • pp.89-94
    • /
    • 2013
  • 본 시험은 한국 고추 육종에 사용되고 있는 교배친에 있어서의 개화소요일수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유전가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생계 '#2132'($P_1$)과 중만생계 '#1308'($P_2$)의 두 교배친과 이들의 $F_1$, $F_2$ 세대를 본 시험의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Thseng and Hosokawa(1971, 1972)의 partitioning method에 따라 $F_2$ 세대로부터 양친의 유효인자수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는데, A:a와 B:b 두 인자에 의해 구분되었다. 공시한 교배친의 개화일 유전 특성은 $F_1$ 세대는 빠른 교배친보다 더 빠르고, $F_2$ 세대는 양친의 개화기보다 더 빠르거나 늦은 개체들이 출현하여 $F_1$ 세대는 초우성, $F_2$ 세대에서는 초월 분리가 나타났다. 유효 유전자에 의해 개화기가 단축되는 것은 A-a 유전자에 의해 13.81일, B-b 유전자에 의해 6.73일이 짧아졌다. 두 유전 인자간 간섭효과는 5.26일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천군 물거미 서식지의 곤충상 조사 및 군집분석 (Survey and Analysis of Insect Species in the South Korea Habitat (Yeoncheon) of the Water Spider, Argyroneta aquatica)

  • 강주완;박태철;박준영;김지훈;정영문;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476-491
    • /
    • 2017
  • 물거미(Argyroneta aquatica)는 전 세계적으로 한 종만 존재하는 희귀거미로 수중에서 살며, 국내 서식지인 경기도 연천군 은대리는 천연 기념물 서식지로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은대리 습지대는 근래 들어 육지화 현상이 이루어져 서식지 손실이 나타나고 있다. 서식지 손실은 물거미 개체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물거미 보호 조치가 필요하다. 곤충은 생태계 기저에 위치하며, 대상환경의 특징을 직, 간접적으로 대변한다. 물거미 서식지 보호 방안 및 2015년 5월에서 9월 사이 물거미 서식지와 그 주변의 곤충상 조사를 쓸어잡기(sweeping)와 육안조사로 실시하였으며 조사한 곤충군을 군집분석하였다. 곤충상 조사 결과 총 13목 276종 3,929개체가 채집되었다. 가장 많이 채집된 곤충군은 노린재목으로 전체 채집종의 24.2%, 채집 개체의 82.3%를 차지했다. 채집된 전체 곤충상의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 지수는 0.23, 다양도 지수는 2.27, 균등도 지수는 0.41, 풍부도 지수는 31.2로 나타났으며, 이전 조사 자료 결과와 비교하면, 가장 빈번하게 수집된 종이 육상곤충으로 바뀌었고, 이는 물거미의 습지 서식지가 육지 환경으로 빠르게 변화함을 보여주었다.

케틀벨 스윙 시 적당한 케틀벨의 무게는 얼마일까? (What is the Appropriate Kettlebell Mass for a Kettlebell Swing?)

  • Kim, Bo Kyeong;Thau, Dao Van;Yoon, Sukhoo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8-313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kettlebell mass (30%, 40%, and 50% of the body mass) on kinematics and kinetic variables of kettlebell swing. Method: Total of 16 healthy male who had at least 1 year of kettlebell training experienc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ge: 31.69 ± 3.46 yrd., height: 173.38 ± 4.84 cm, body mass: 74.53 ± 6.45 kg). In this study, a 13-segments whole-body model (upper trunk, lower trunk, pelvis, both side of forearm, upperarm, thigh, and shank) was used and 26 reflective markers were attached to the body to identify the segments during the movement. A 3-dimensional motion analysis with 8 infrared cameras and 4 channeled EMG was performed to find the effect of kettlebell mass on its swing. To verify the kettlebell mass effect, a one-way ANOVA with a repeated measure was used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𝛼=.05. Results: Firstly, in all lower extremity joints and thoracic vertebra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angle was shown according to an increase in kettlebell mass during kettlebell swing (p<.05). Secondly, in both the up-swing and down-swing phases, the knee joint and ankle joint RO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s the kettlebell mass increased (p<.05)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hip joint and thoracic spine (p>.05). Lastly, the hamstrings muscle activ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kettlebell mass increased during up-swing phases (p<.05). Also, as the kettlebell mass increased in P4 of the down swing phase, the gluteus maximu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muscle activation, whereas the rectus femor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muscle activation (p <.05).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hip extension decreased and knee extension increased at 40% and 50% of body mass, and the spine also failed to maintain neutrality and increased flexion. Also, when kettlebell swings are performed with 50% of body mass, synergistic muscle dominance appears over 30% and 40% of body mass, which is judged to have a risk of potential injury.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for beginners who start kettlebell exercise, swing practice should be performed with 30% of body mass.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experienced seniors, as the weight increases, the potential injury risk may increase, so it is thought that caution should be exercised when performing swings with 40% and 50% of body mass.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increasing the weight after sufficiently training with 30% of the weight of all subjects performing kettlebell swing is a way to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as well as prevent injury.

탄소흡수원으로서의 묵논습지 변화와 지형수문 환경 분석 (Analysis on the Changes in Abandoned Paddy Wetlands as a Carbon Absorption Sources and Topographic Hydrological Environment)

  • 박미옥;홍승원;구본학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1호
    • /
    • pp.83-97
    • /
    • 2023
  • 본 연구는 묵논습지의 보전 복원과 탄소축적 기능 증진을 위한 학술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묵논습지의 시간적 변화를 분석하고 탄소감축을 목표로 묵논습지 유형분류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묵논습지의 유형은 탄소축적 기능에 주목하여 수문학적 환경, 식생, 탄소축적 등 세 가지 변수를 기준으로 분류되었다. 묵논습지의 유형은 수리수문 변수를 기준으로 물유입 포텐셜 높음과 낮음, 식생 변수로는 수생식물 우점과 육상식물 우점, 탄소축적 변수로는 유기물 생산과 토양 유기탄소 집적, 분해 등을 종합해 12개 유형으로 분류했다. 국토지리정보원이 제공하는 항공사진으로 분석한 묵논의 발달 시기는 일반적으로 2010~2015년경에 발생하였으나, 대전1(DJMN01) 묵논습지의 경우 1990년경에 영농이 중단되어 2010년 이후 자연습지와 유사한 구조를 보였다. 대전1(DJMN01) 묵논습지의 최근 40년간 토지피복의 변화는 전체적으로는 산림과 농경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산림과 농경지가 매우 빠른 속도로 감소하면서 인공초지, 다른 형태의 산림 등의 피복유형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