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teocalcin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초

대두 이소플라본과 골조직의 대사(Bone turnover)

  • 김성란
    • 식품기술
    • /
    • 제15권1호
    • /
    • pp.16-26
    • /
    • 2002
  • 이 논문은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가 난소를 절제한 쥐의 골격 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투여량에 따라 조사한 것이다. 실험 초기에 암컷의 Wistar rats(7개월령; n=55)을 절제 후 봉합시킨 군(SH; n=14)과 난소절제군(OVX; n=41)으로 각각 구분하여 사육하고 80일 후에 각 5마리씩을 해부하여 난소절제로 인한 골손실 진행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후 난소절제 쥐(OVX)를 9마리씩 4그룹으로 나누고 대두 이소플라본(IF, 대두단백질이 없는 실험식이에 혼합하여 공급)을 각각 0, 20, 40, 80mg/ (kg body.d)씩 84일간 공급하였다. 동시에 SH rats에게도 이소플라본이 없는 실험식이를 섭취시켰으며 164일 후에 해부하였다. 예상했던 대로 골 무기질 밀도(대퇴골, 골간부위와 골간단부위) 및 골 표면적에 대한 다공성 골 면적의 비(대퇴골 원위부 골간단에서)가 OVX군이 SH군보다 낮았다(P<0.05). OVX군은 SH군보다 혈장 osteocalcine 농도가 높았으며 소변으로의 deoxypyridinoline 배설량이 많았다(P<0.05). 164일째 osteocalcine 과 deoxypyridinoline 농도는 OVX군에서보다 IF40 및 IF80군에서 더 낮았다(P<0.05). 그럼에도 불구하고 골 무기질 밀도와 다공성 골 면적이 OVX군에서보다 IF군들에서 더 낮아지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난소를 절제한 성숙한 쥐에게 대두 이소플라본을 매일 섭취시키는 것은 골격조직의 재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이미 진행된 골감소증(osteophenia)을 회복시킬 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칼슘보충 섭취와 운동이 중년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lcium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on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Aged Women)

  • 나혜복;김현정;박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9호
    • /
    • pp.962-969
    • /
    • 200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alcium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o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intake and biochemical measurements for 45 healthy middle-aged women (40-57 years). Subjects were divided in to 4 groups; control group (G1), exercise group (G2), calcium supplementation group (G3), and calcium supplementation with exercise group (G4). The subjects were 45.8$\pm$ 0.66 years old. BMI(kg/$m^2$) was 23.31 $\pm$ 0.63 in Gl group, 22.92 $\pm$ 0.51 in G2 group, 23.64 $\pm$ 0.61 in G3 group, 23.40 $\pm$ 0.37 in G4 group, and BMI of all groups were in normal value. Energy intake was 1332.28㎉/day, 60% of RDA, so that may be unbalance of micronutrients. Especially, calcium intake was 62.8% of RDA that was very low level. Osteocalcin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calcium supplementation group (G3) be showed increase. BMD was usually decreased by Aging, but in this study was increased in the all group, except control group. It showed increase of BMD for calcium supplementation and/or exercis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calcium supplementation and/or exercise increased BMD of middle-aged women, but long-term calcium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will be able to more effect.(Korean J Nutrition 35(9) : 962~969, 2002)

식이 칼슘량이 난소 절제한 흰쥐에서 골대사 지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Calcium Level on Biochemical Variables of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Female Rats)

  • 최미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95-305
    • /
    • 1996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dietary calcium level(a diet which met 100% or twice the calcium level in AIN-76 diet) on preventing bone loss in ovariectomized rats. Forty female Sprauge-Dawley rats(body weight 200$\pm$5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ere ovariectomized(Ovx) while the others received sham operation(Sham). Thereafter, each rat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normal calcium diet(NCD, 0.52%) and high calcium diet(HCD, 1.04%) sub-groups. All rats were fed on experimental diet and deionized water ad libitum for 8 weeks. Urinary pyridinoline & creatinine and serum estradiol, luteinizing hormone, calcium, phosphate, total protein, albumin, alkaline phosphatase and osteocalcin were determin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calcium. total protein and albumin in the two groups(Ovx vs Sham) of rats. Ovariectomized rats had significantly lower estradiol than sham operated rats.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bone mineral density(TBMD) and overall level of esteradiol(r=0.59, p<0.05). Total bone mineral density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ALP or osteocalcin, although a negative trend was evident. However, the rats fed high calcium diet had a lower crosslinks value and osteocalcine than the rats fed normal calcium diet. An increased rate of bone turnover is usually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bone mass bexause bone formation at each remodeling site is never as great as resorption. Ovariectomized rats fed high calcium diet had a lower crosslink value and osteocalcin; it means high cacium diet decreased bone turnover rate. The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bone loss due to ovarian hormonal deficiency can be partially prevented by a high calcium diet. Futhermore, these findings support the strategy of the use of a high calcium diet in the prevention of estrogen depletion bone loss (postmenopausal osteoporosis).

  • PDF

한국인 성인 여성의 생화학적 골대사지표 및 골밀도와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 (Biochemical Bone Turnover Markers, Bone Mineral Dens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 Korean Women)

  • 김화영;허영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95-202
    • /
    • 2013
  • 본 연구는 20대부터 50대까지의 광주, 전남에 거주하는 180명의 건강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골대사지표로 골형성지표인 BAP와 OC, 골흡수지표인 NTx를 측정하였으며 골밀도로는 T-score를 이용하였다. 일반적 특징으로 영향 요인으로 연령, 음주, 신체 활동량, 골다공증에 대한 가족력, 폐경, 건강기능성식품 섭취 여부, BMI, 체지방률을 분석하였다. 연령에 따라 비교했을 때 BAP와 OC는 20대가 다른 나이군에 비해 낮았고 음주군은 비음주군에 비해 BAP가 더 높았다. 활동 정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고 골다공증에 대한 가족력이 있는 군은 골다공증에 대한 가족력이 없는 군에 비해 BAP가 더 높았다. 또한 폐경군은 폐경전군에 비해 BAP가 더 높았으며 건강보조식품 섭취 여부에 따라서는 생화학적 골대사지표나 골밀도의 차이가 없었다. BMI에 따라서는 생화학적 골대사지표 및 골밀도의 차이가 없었지만 체지방률에 따라 분류했을 때는 정상군에 비해 비만군의 BAP가 더 높았고 골밀도는 더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노령군, 음주, 골다공증에 대한 가족력, 폐경, 비만이 있는 경우 골형성지표가 증가하였고 특히 비만군에서 골밀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골대사지표로 보았을 때, 한국인 여성들은 골 건강을 위해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음주 및 비만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