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motic dehydratio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7초

건조바나나 제조를 위한 삼투건조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Osmotic Dehydration for the Manufacturing of Dried Banana)

  • 윤광섭;장규섭;최용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5-60
    • /
    • 1999
  • A three variables by three level factorial desig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ere used to determine optimum conditions for osmotic dehydration of banana. The moisture loss, solid gain, weight loss and reduction of moisture content after osmotic dehydration were increased as temperature, sugar concentration and immersion time increased. The effect of concentration was more significant than those of temperature and time on mass transfer. Color difference and titratable acidity were decreased by higher concentration. Sweetness was increased by increasing sugar concentration, temperature, immersion time during osmotic dehydration. The regression models showed a significant lack of fit (p>0.5) and were highly significant with satisfying values of R2. To optimize osmotic dehydration, based on surface response and contour plots, superimposing the individual contour plots for the response variables.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is process wire 26$^{\circ}C$, 44 $^{\circ}$brix and 2 hrs for moisture content, sweetness and color difference are less than 72%, 24 obrix and 10 degree.

  • PDF

건조전처리로서 삼투건조의 이용 (Utilization of Osmotic Dehydration as Pretreatment prior to Drying)

  • 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05-314
    • /
    • 1998
  • In the drying process, many undesirable physicochemical changes occur that influence dried food product qualities. Pretreatments method is used to reduce the deterioration of dried food product qualities such as color, flavor, texture, rehydration ability and retention of nutrients. The methods of pretreatments are blanching, chemical treatment and osmotic dehydration. Osmotic dehydration is a water removal process which is based on placing foods in a concentrated osmotic solution or in a dry osmotic material. A large number of process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cess and final product quality. In order to improve final product quality it is necessary to know the role of each process variable and understand the mecanisms throughout the process. Osmotic dehydration is a valuable processing tool with great future in minimal processing of fruits and vegetables.

  • PDF

양송이의 삼투압 건조에 따른 물질이동 특성과 갈변억제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Browning Inhibition by Osmotic Dehydration of Mushrooms)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03-907
    • /
    • 1998
  •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during osmotic dehydration of mushrooms(Agaricus bisporus) in sugar solution were studied as a function of sugar concentration, immersion time and temperature, and the effect of osmotic dehydration on browning inhibition of air-dried mushrooms was also evaluated. Increasing the sugar concentration, immersion time and temperature increased moisture loss, sugar gain, molality and rate parameter. The changes of sugar gain and rate parameter were more significantly affected by concentration than by temperature of sugar solutions, while 1$0^{\circ}C$ increase in temperature or 10 Brix increase in concentration had the same effect on water loss. Water loss, sugar gain, molality were rapid in the first period of osmotic dehydra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higher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sugar solutions. Effects of osmotic dehydration in sugar solution(60 Brix, 8$0^{\circ}C$) with 18 min of immersion time(O.D.=0.099) rior to air dehydration on browning inhibition of dried mushrooms were more significant than blanching in water(8$0^{\circ}C$) with the same immersion time(O.D.=0.330) and the control (O.D.=0.559).

  • PDF

삼투건조와 열풍건조의 조합이 사과 건조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Osmotic Dehydration and Hot-air Drying on the Quality of Dried Apple Products)

  • 최희돈;이해창;김윤숙;최인욱;박용곤;석호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6-41
    • /
    • 2008
  • 삼투건조와 열풍건조의 조합이 사과 건조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삼투건조시 물질이동 특성과 열풍건조시 건조특성, 그리고 사과 건조제품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삼투건조시 침지용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중량감소와 수분손실이 증가하였으며 고형분 증가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열풍건조시 건조시간에 따른 사과 실린더의 수분함량 변화를 Page model에 적용하여 지수 n, k 및 건조시간을 산출하였다. 건조온도 $50^{\circ}C$에서 건조시간이 대조구의 4.15시간에서 30%와 50% sucrose 용액 처리시 각각 5.78시간과 6.42시간으로 증가하였으며, 건조온도 $70^{\circ}C$에서도 유사한 경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투건조에 의해 k와 n 값이 감소하였고 삼투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더욱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투건조한 사과 건조제품의 품질을 삼투건조하지 않은 사과 건조제품과 비교하였다. 삼투건조에 의해 건조제품의 수축도와 복원력이 감소하였고 침지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착력은 삼투건조에 의해 증가하였고 침지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원한 사과 건조제품에 대한 관능적 기호도 측정 결과 외관, 조직감, 종합적인 기호도 등의 모든 관능검사 항목에서 삼투건조한 사과 건조제품이 삼투건조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방울토마토의 삼투건조시 품질의 변화와 공정의 최적화 (Changes of Quality in the Osmotic Dehydration of Cherry-Tomatoes and optimization for the Process)

  • 윤경영;윤광섭;이광희;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866-871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osmotic dehydration as pretreatment on the qualities of dried cherry-tomatoes. The weight reduction and solid gain in osmosed cherry-tomato were increased by increasing sugar concentration, immersion temperature and time; among three parameters, the immersion temperature affected more than sugar concentration and immersion time did. The moisture content was decreased as increasing sugar concentration, immersion temperature and time, and it was the lowest at the osmotic conditions of 7$0^{\circ}C$, 60$^{\circ}$Brix and 11hr. To determine the optimum processing condition by RSm, the polynomial optimum models were established. The regression models was significant (p<0.05). It was used contour plots to optimize osmotic dehydration. The optimum condition for osmotic dehydration as pretreatments for drying of cherry-tomatoes were immersion temperature of 47~53$^{\circ}C$, sugar concentration of 39~43$^{\circ}$Brix, and immersion time of 7hr, in which process conditions were 78~86% moisture content, 8.5~10$^{\circ}$Brix sugar content and 80~86% weight reduction.

  • PDF

키위의 건조특성에 미치는 삼투처리의 영향 (Effects of Osmotic Dehydration on Drying Characteristics of Kiwifruits)

  • 윤광섭;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19-323
    • /
    • 1999
  • 본 연구는 키위를 이용하여 새로운 가공식품을 개발하고자 삼투건조로 전처리하여 열풍, 진공, 동결건조한 후 삼투처리 유무에 따라 각각의 품질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수분함량은 무처리 및 삼투처리한 키위를 열풍 진공, 동결건조 하였을 때 무처리가 삼투처리한 경우 보다 낮았다. 건조방법에 따른 vitamin C의 함량은 무처리보다 삼투처리가 낮았으며 건조시간에 따른 vitamin C의 함량변화는 동결, 진공건조시 완만한 감소를 보이는 반면 열풍건조한 경우는 많은 감소를 보였다. 수분의 이동을 나타내는 확산속도는 무처리의 경우 열풍건조가 가장 빨랐으나 삼투처리 후에는 진공건조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세 가지 건조방법 모두 삼투처리가 빠른 건조 양상을 보여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품질변화 특성은 열풍, 진공 동결건조 모두 2차 반응속도식이 품질변화예측 모델식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Salt Addition in Sugar Based Osmotic Dehydration on Mass Transfer and Browning Reaction of Carrots

  • Chang, Moon-Jeong;Han, Myung-Ryun;Kim, Myung-Hw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3호
    • /
    • pp.230-234
    • /
    • 2003
  •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during osmotic dehydration of carrots were studied as functions of immersion temperature and time, and sugar and salt concentrations. The effect of osmotic dehydration on the degree of browning of air-dried carrots was also evaluated. Increasing the immersion temperature and time, sugar concentration, and salt addition increased water loss, sugar gain, molality and rate of dehydration. The water loss and increases in solids, and molality were rapid in the beginning of the process and then increased slowly during remainder of the process. Increasing 1 or 2% salt concentration in the 40$^{\circ}$Brix sugar solution at 6$0^{\circ}C$ increased water loss and solid gain. Salt addition was not able to significantly affected on water loss and solid gain compare to temperature (40~8$0^{\circ}C$) and sugar concentration (20~60$^{\circ}$Brix) changes due to the low salt concentration. A minimum degree of browning of the air-dried carrots (O.D. = 0.048) could be achieved using binary solutions (40$^{\circ}$Brix sugar solution with 2% salt addition) with 24 min of immersion time compared to control (O.D. = 1.308) or blanching with 24 min of immersion time (O.D. = 0.174).

사과의 삼투압처리 후 열풍 및 동결건조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Air and Freeze Dried Apples Slices after Osmotic Dehydration)

  • 김기창;이선영;김경미;김영;김진숙;김행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848-852
    • /
    • 2011
  • 연구는 삼투압 전처리와 열풍, 동결건조의 방법이 최종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농도(20, 40, $60^{\circ}Brix$)와 시간별(2, 4, 8시간)로 삼투압처리를 하여 물질이동 특성을 조사하고, 이후 열풍과 동결 건조방법을 거쳐 최종 시료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삼투압 처리 중 시료의 중량감소, 수분손실, 고형분 증가는 삼투압농도와 침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삼투처리의 농도가 가장 큰 요인으로 고려된다. 최종 건조를 거친 시료의 수분함량은 $40^{\circ}Brix$ 당 용액 침지 후 동결건조에서 가장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으며, 열풍건조에서 삼투건조 처리의 유무, 농도, 시간은 최종 수분함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시료의 변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삼투압처리의 L, a, b값이 처리를 하지 않은 것보다 낮은 값을 보여 삼투압처리가 갈변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였고, 열풍건조에서는 삼투압처리의 농도와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L값이 감소하였다. 경도(hardness)의 경우 열풍 건조와 동결건조 모두 삼투압처리 당 용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의 함량에 있어서는 삼투 용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glucose와 fructose 함량은 증가하고 sucrose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당 용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의 증가가 삼투효과를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삼투압처리 후 동결건조의 방법이 열풍 건조보다 더 높은 유리당의 함량을 보여 동결건조의 방법이 최종 제품의 단맛을 증가시켜 기호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생강 삼투압 건조 시 물질이동 특성과 품질에 미치는 효과 (Mass transfer Characteristic during Osmotic Dehydration of Ginger and Its Effect on Quality)

  • 김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5호
    • /
    • pp.372-376
    • /
    • 1998
  • 생강의 삼투압 건조 중 설탕용액의 농도와 온도 및 침지시간에 따른 내부 물질이동을 생강 내부의 수분손실, 설탕흡수, 몰랄농도 및 속도매개 변수로써 조사하였고 갈색화 반응정도를 평가하였으며 데치기와 삼투압건조를 각각 거친 후 열풍건조 시킨 것에 대하여 복원 시 텍스쳐를 비교하였다. 용액의 농도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수분손실, 설탕흡수, 몰랄농도 및 속도매개 변수가 증가하였으며, 용액농도와 온도에 관계없이 수분손실, 설탕흡수, 몰랄농도는 초기 3분간 침지과정에서 빠르게 이루어진 후 증가현상이 둔화되었다. $80^{\circ}C$의 60 Brix 설탕용액에서 18분간 침지하였을 때 40.05 g 수분손실/100 g생강으로 초기 수분함량 83.02%(wet basis) 기준으로 약 52%의 수분을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속도매개 변수는 설탕용액의 농도 보다는 온도에 의한 변화가 컸다. 갈색화 정도는 설탕용액의 농도와 온도에 관계없이 15분간 침지시켰을 때 가장 낮은 O.D.값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구(O.D.=0.132)와 비교하였을 때 $80^{\circ}C$에서 40 또는 50 Brix의 설탕용액에 15분간 침지시킨 것이 가장 낮은 값(O.D.=0.027)을 보였다. 데치기 공정을 시킨 것과 대조구를 열풍건조 시킨 다음 끓는 물에서 3분간 복원시킨 후의 관통힘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삼투압 건조시킨 생강은 대조구 보다 $22{\sim}34%$ 적게 나타났다.

  • PDF

당근 삼투압 건조시 물질 이동과 갈색화 반응에 미치는 효과 (Mass Transfer during Osmotic Dehydration of Carrots and Its Effect on Browning Reaction)

  • 김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07-312
    • /
    • 1989
  • 삼투압 건조중 설탕용액의 농도와 온도 및 침지시간에 따른 내부물질 이동을 당근 내부의 수분손실, 설탕흡수, 몰랄농도 및 속도 매개변수로써 조사하였다. 또한, 삼투압 건조와 데치기가 3% 수분(wet basis)까지 진공건조시 각 공정의 갈색화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용액 농도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손실, 설탕흡수, 몰랄농도 및 속도 매개변수가 증가하였다. 수분손실과 설탕흡수는 초기 4분간 침지과정에서 빠르게 이루어진 후 증가현상이 둔화되었다. 용액에 따른 설탕 흡수율과 몰랄농도율 변화는 고농도 $(60^{\circ}\;Brix)$보다 저농도$(20^{\circ}\;Brix)$에서 현저하였다. 속도 매개변수, K는 설탕용액의 온도요인 보다 농도에 더 영향이 컸으며, 설탕용액$(60^{\circ}\;Brix,\;80^{\circ}C)$에서 20분간 침지후 55.7%의 수분손실이 되었다. 3% 수분(wet basis)로 진공건조시 갈색화 반응에 대한 삼투압 건조와 데치기의 효과는 현저하였다. 대조구 (O.D.=1.59)와 비교하여 최소 갈색화 반응은 전처리 공정으로써 설탕용액$(40^{\circ}\;Brix,\;80^{\circ}C)$에서 16분간 삼투압 건조 후 진공건조시 O.D.=0.09이었으며, $80^{\circ}C$에서 12분간 브랜칭 후 진공건조시 O.D.=0.31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