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gonal basis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2초

U-Net 모델에 기반한 기간별 추출 소나무 고사목 데이터를 이용한 정사영상 탐지 정밀도 향상 연구 (A Study on Orthogonal Image Detection Precision Improvement Using Data of Dead Pine Trees Extracted by Period Based on U-Net model)

  • 김성훈;권기욱;김준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1-260
    • /
    • 2022
  • 소나무 재선충 피해나무는 줄어들고 있으나, 피해 지역은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 딥러닝 기술이 발전하면서 소나무재선충 고사목 탐지 연구에 적용이 빠르게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딥러닝 학습데이터의 효과적인 취득과 정확한 참값을 확보하고, 학습을 통해 U-Net 모델의 탐지능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단계별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필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딥러닝 모델의 불명확한 분석 근거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분석 및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U-Net알고리즘을 이용한 소나무재선충 고사목 탐지 및 성능향상에 있어 기간별로 분석한 참값을 이용한 U-Net 모델이 기존에 제공하였던 참값을 이용한 U-Net 모델보다 재현율(Recall)은 -0.5%p, 정밀도(Precision)은 7.6%p, F-1 score는 4.1%p로 분석되었다. 향후 다양한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재선충 탐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드론 정사영상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드론 예찰방법이 소나무재선충 방제 사업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서비스품질 지각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umer's Service Quality Perception Based on the Types of Life-style)

  • 박윤서;이승인;최인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53-67
    • /
    • 2009
  • For the last decades, service quality has been studi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ols for a service company to compete with the other companies. Based on these past researches, it has been agreed that the service quality is a basic and powerful tool to create the competitive advantage. Due to similar reason, many service marketing practitioners have been also focused on the service quality to retain the existing consumers and collect the new consumers. However, service quality is subjectively perceived by individual consumers. Consumer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Especially consumers with one life-style may evaluate the service quality differently from the consumers with the other life-styles. Therefore we need to know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service quality perception on the categories of life-style. Life-style refers to a distinctive mode of living in its aggregate and broadest sense. It embodies the patterns that were developed and emerged from the dynamics of living in a society. Since the concept of life-style and its relationship to marketing was introduced in 1963 by William Lazer, methods of measuring the life-style and their application have been developed. Life-style has been usually used to segment the marketplace because it offers marketers a unique and important view of the market. When Life-style is combined with clustering methods, life-style segmentation can generate identifiable whole persons rather than isolated fragment. Life-style segmentation begins with people instead of products and classifies them into different life-style types, each characterized by a unique style of living based on a wide range of activities, interests, and opinions(Plummer, 1974). In this study we applies the life-style segmentation based on the AIO(Activities, Interests, and Opinions) to the consumers of the large discount stores. In Korea, the large discount store market has entered into maturity stage so that the market differentiation strategy is becoming a more critical issue to the marketing practitioner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ols to differentiate from the competitors in large discount store market is continuously to provide service of better quality than competitors. This study tries to find answers about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can we categorize the consumer life-styles in the large discount store?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egorized group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rvice quality perception among the consumers with different life-styles 4)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onsumer behavior among them in the large discount store? For the purpose, we collected survey data from consumers and analyzed the data with the SPSS package where we had $X^2$-test, factor analysis, ANOVA, MANOVA, and cluster analysis. The survey was made during one month in the April of 2008. Among the collected 306 copies of questionnaires, 281 copies were chosen as the effective samples for empirical analysis except 25 copies with wrong responses. To identify the life-style patterns, we used the measures employed by Kim and Kwon(1999), where 44 items on a seven-point scale were used to measure factors of the life-style patterns. The Principal Component Method was used for factor extraction, and the VARIMAX orthogonal factor rotation was employed. The 7 items showing low factor loading were eliminated.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suggested that nine factors of the life-style patterns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the equality-of-sexes and pursuit-of-independence tendency 2) self-management tendency 3) sociable tendency 4) self-display tendency 5) degree of a dilettante life 6) pursuit-of-information tendency 7) bargain hunter tendency 8) TV preference tendency 9) pursuit-of-leisure tendency. Next, after the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with nine factors of the life-style patterns, the life-styles of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which are named as the 'progressive practicality-oriented group', 'positive success-oriented group', 'sociable ostentation-oriented group', 'stable conservation-oriented group'. The analysis results for usage behavior between the market segm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usage, duration time in the store, consu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lso, we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large discount store consumers differently perceive the quality of service based upon the types of life-style.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of large discount store, we adapted several measurement models measuring the service quality such as SERVPERF, BCP, R-SERVPERF, R-BCP. MANOVA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service quality perception based on the market segments. The results have also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ife-style types in service quality perception.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large discount store marketers should consider consumer life-styl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rket segments for marketing and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service quality perception between life-style types. Our findings give important implications to marketers of large discount stores as well as life-style researchers. First, this study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er's service quality perception and usage behavior between the types of life-style. It provides evidence that the life-style approach can be a important basis in segmenting the large discount store market and will make consumers perceive the service quality high. Second, most previous researches on service quality have been in aggregate level. However, our results imply that the future research on service quality have to focus on segment level.

  • PDF

단경간 2련 강박스 거더 곡선교의 사각에 따른 부반력 특성 (Negative Support Reactions of the Single Span Twin-Steel Box Girder Curved Bridges with Skew Angles)

  • 박창민;이형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34-43
    • /
    • 2012
  • 도로의 진출입로나 인터체인지에 널이 적용되고 있는 곡선교는 곡선반경, 사각 및 받침 간격 등에 따라 직선교보다 복잡한 거동을 나타낸다. 특히 상부구조물의 휨과 비틀림에 의해 솟음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예각부 받침에는 부반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곡선교에서 교량의 곡선반경, 받침간격 및 사각이 부반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RAMP에 적용 가능한 지간(L)이 50m인 단경간의 강박스거더 곡선교를 대상으로 3차원 격자구조 모델을 이용하여 해석적인 방법으로 지점반력을 산출하였다. 부반력은 교량의 평면형상, 구조계의 형성, 받침의 조건 등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 되므로 매개변수는 곡선반경, 사각 및 받침간격으로 하였으며, 도로교설계기준에 제시된 하중조합에 의해 발생되는 반력의 크기를 계산하였다. 수치해석한 결과에 의하면 부반력은 곡선반경, 받침간격 및 사각이 작을수록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각 $60^{\circ}$ 일때 곡선반경 250m 이하에서는 받침간격에 관계없이 항상 부반력이 발생하였고, 사각 $75^{\circ}$일 때 곡선반경 180m에서는 ${\theta}/B$가 0.27 이하, 곡선반경 250m에서는 ${\theta}/B$가 0.32 이하에서 부반력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사각 $90^{\circ}$ 일 때 곡선반경 130m에서는 ${\theta}/B$가 0.38 이하 일 때와 곡선반경이 180m 이상일 때 부반력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설계변수인 곡선반경, 받침간격 및 사각이 곡선교에서 부반력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곡선교의 설계시 설계변수들의 상호관계를 적절히 설정하면 부반력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계로 설계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구형 빔 패턴 형성을 위한 다층 이차원 원형 도체 배열을 갖는 새로운 방사 구조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New Radiating Structure with Multi-Layered Two-Dimensional Metallic Disk Array for Shaping flat-Topped Element Pattern)

  • 엄순영;스코벨레프;전순익;최재익;박한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667-67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구형 빔 패턴 형성을 위한 다층 이차원 원형 도체 배열을 갖는 새로운 방사 구조를 제안하였다. 새로운 방사 구조는 방사 원형 도파관 위에 유한하게 적층된 원형 도체 배열 소자들이 무한적, 주기적 평면 배열 구조를 갖는다. 이론적 해석은 rigid full-wave 해석 방법으로 배열 구조의 각 영역에서의 전자장에 대한 모드 전개식과 원형 도체상의 전류에 대한 모드 전개식에 바탕을 두고 상세히 수행되었으며, 함수의 직교성, 모드 정합 방법, 경계조건 그리고 Galerkin 방법을 사용하여 선형 대수 방정식 시스템을 유도하였다. 또한, Gauss 소거법을 사용하여 배열 특성 계산에 필요한 미지의 진폭 계수들을 얻었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Ka대역에서 $\pm$20$^{\circ}$의 빔 폭을 갖는 구형 빔 패턴 형성을 위한 배열 설계에 사용되었으며, 일반적인 응용을 위해 파장으로 정규화된 최적화 설계 변수들을 제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험 결과들을 서로 비교하기 위해, 대칭적으로 19개의 방사 소자를 갖는 Ka 대역 실험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방사 원형 도파관 개구면 위에 적층된 원형 도체 배열 구조는 얇은 필름상에 이온-빔 증착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되었다. 계산된 단위소자 패턴들과 시제품의 측정된 단위소자 패턴들은 빔 스캔 범위 내에서 거의 일치함을 보여주었으며, 사이드 로브 레벨과 그레이팅 로브 레벨에 대한 결과 분석도 이루어졌다 또한, 정 방향에서 다층 원형 도체 구조에 의해 생길 수 있는 blindness 현상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제작된 시제품의 입력 VSWR은 1.14 보다 작았으며, 29.0 GHz, 29.5 GHz 그리고 30 GHz에서 측정된 이득은 각각 10.2 dB, 10.0 dB 그리고 10.7 dB 였다. 실험 및 시뮬레이션 결과들은 제안된 다층 원형 도체 배열 구조가 효율적인 구형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능성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holesterol을 제거한 cheese의 제조에서 최적조건은 균질압력 1200psi(70kg$cm^2$), 균질온도 $70^{\circ}$, $\beta$-cyclodextrin 첨가량 2%였으며, 이때 우유의 cholesterol의 제거율이 86.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Cholesterol을 제거한 cheese들의 수율은 모두 12.53%(control 10.54%) 이상으로 균질 처리가 cheese의 수율을 18.88%이상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지방 함량 23.80%인 control 치즈의 cholesterol 함량은 81.47mg/100g이었고, 균질압력 1200psi(91kg/$cm^2$)에 $\beta$-cyclodextrin 2%를 첨가한 cheese에서는 cholesterol 함량이 20.15mg/100g으로 cholesterol 제거율이 75.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Meltability는 균질압력 1200psi(91kg/$cm^2$)에 $\beta$-cyclodextrin 1과 2%로 처리한 치즈에서 2.25cm(control 3.34cm)로 가장 낮았으며, 균질압력이 증가할수록 meltability가 감소하여 치즈의 품질을 저하시켰다. 5. Control 치즈의 stretchability는 30cm 이상 늘어나 가장 양호한 수치인 5점을 나타낸 반면, cholesterol을 제거한 cheese에서는 5~10cm 사이를 나타내어 2점으로 stretchability가 저하된 것을 볼 수 있었다. 6. Oiling off는 균질압력 1200psi(91kg/$cm^2$)에 $\beta$-cyclodextrin 1과 2%로 처리한 치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