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namental woody specie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초

Ilex속(屬) 수목(樹木)의 유전변이(遺傳變異)의 분석(分析)과 조경학적(造景學的) 이용가치(利用價値)의 조사(調査) 연구(硏究) (Variation of Genus Ilex in Korea and their Ornamental Values)

  • 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38
    • /
    • 1979
  • Ilex속(屬) 수목(樹木)의 변이(變異)와 증식법(增殖法)을 연구(硏究)하기 위(爲)하여 호랑가시 나무 10개(個) 집단(集團), 꽝꽝나무 7개(個) 집단(集團), 먼나무 5개(個) 집단(集團), 감탕나무 3개(個) 집단(集團), 청대팻집나무 2개체(個體), 대팻집나무 1개체(個體), 낙상홍 20개체(個體)로 총(總) 28(個) 집단(集團), 170개체(個體)를 조사(調査)하였다. 각(各) 개체(個體)를 대상(對象)으로 하여 외형적(外形的) 특성(特性), 엽(葉)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 및 열매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에 대(對)한 변이(變異)를 수종별(樹種別)로 조사분석(調査分析)하였다. 집단(集團)으로 자생(自生)하고 있는 호랑가시나무 6개(個) 집단(集團)과 꽝꽝나무 4개(個) 집단(集團)은 Transect조사(調査)를 하였다. 증식법(增殖法)으로는 파종(播種)과 삽목(揷木)을 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호랑가시나무는 일반적(一般的)으로 10년생(年生) 이상(以上)의 성숙목(成熟木)이 되면 수고(樹高) 1m, 근원경(根元徑)이 2cm이상(以上)이 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잎과 열매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 조사(調査)에서 엽장(葉長), 엽폭(葉幅), 엽병장(葉柄長), 거치수(鋸齒數) 및 과장(果長)은 집단간(集團間), 집단내(集團內) 개체간(個體間)에 유의(有意)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과폭(果幅), 과병장(果柄長)은 집단간(集團間) 차이(差異)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고, 집단내(集團內) 개체간(個體間) 차이(差異)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2. 꽝꽝나무의 잎과 열매의 특성(特性) 조사(調査)에서 엽장(葉長), 엽폭(葉幅), 엽병장(葉柄長), 거치수(鋸齒數), 과병장(果柄長)은 집단간(集團間), 집단내(集團內) 개체간(個體間)에 통계학적(統計學的)으로 유의(有意)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과장(果長), 과폭(果幅)은 집단간(集團間)의 차이(差異)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으나, 집단내(集團內) 개체간(個體間)에는 유의(有意)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7개(個) 집단중(集團中) 엽장(葉長)과 엽폭(葉幅)에서 5개(個) 집단(集團), 5개(個) 집단중(集團中) 과장(果長)과 과폭(果幅)에서 4개(個) 집단(集團)이 기간(其間)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3. 먼나무의 잎과 열매의 특성(特性) 조사(調査)에서 엽장(葉長)만이 집단간(集團間), 집단내(集團內) 개체간(個體間)의 차이(差異)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었고, 엽폭(葉幅), 엽병장(葉柄長), 과장(果長), 과폭(果幅), 과병장(果柄長)은 집단간(集團間)에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집단내(集團內) 개체간(個體間)에는 유의(有意)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5개(個) 집단중(集團中) 엽장(葉長)과 엽폭(葉幅)에서 2개(個) 집단(集團)이 기간(其間)의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고, 과장(果長)과 과폭(果幅)에서는 4개집단(個集團) 모두 상관(相關)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감탕나무 잎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 조사(調査)에서 엽장(葉長), 엽폭(葉幅), 엽병장(葉柄長)이 집단간(集團間)에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집단내(集團內) 개체간(個體間)에는 유의(有意)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엽장(葉長)과 엽폭(葉幅)에서 3개(個) 집단중(集團中) 1개(個) 집단(集團)만이 기간(其間)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5. 청대팻집나무 잎의 특성(特性) 조사(調査)에서 개체(個體) 2가 개체(個體) 1보다 엽장(葉長), 엽폭(葉幅)의 측정치(測定値)가 컸고, 엽병장(葉柄長)은 직았다. 6. 호랑가시나무의 기공밀도(氣孔密度) 조사(調査)에서 집단별(集團別) 평균기공밀도(平均氣孔密度)와 한량지수(寒量指數)에는 높은 상관(相關)을 가진다. 내동성(耐冬性)이 강(强)한 집단(集團)일수록 기공밀도(氣孔密度)는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엽신(葉身)의 하부(下部), 상부(上部), 중부순(中部順)으로 기공밀도(氣孔密度) 경향(傾向)이 있었으나 통계분석(統計分析) 결과(結果)로써는 부위간(部立間)의 차이(差異)가 증가(增加)되는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꽝꽝나무는 기공밀도(氣孔密度)와 한량지수간(寒量指數間)에서 통계학적(統計學的)으로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신(葉身)의 부위간(部位間)에는 하부(下部), 중부(中部), 상부(上部)의 순(順)으로 기공밀도(氣孔密度)가 높아지는 것을 통계학적(統計學的)으로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7. Transect조사(調査) 결과(結果) 호랑가시나무는 일반적(一般的)으로 경사(傾斜)가 완만(緩慢)하고 해발고(海拔高)가 낮은 바닷가의 사질토양(砂質土壤)에서 잘 자생(自生)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랑가시나무를 제외(除外)한 Transect 구내(區內)의 구성종(構成種)으로는 해송(海松)을 주(主)로 하고 환삼덩굴, 산딸기, 칡, 들장미 등(等)이 나타났다. 자연집단(自然集團)에 있어서 호랑가시나무의 성비(性比)(자(雌):웅(雄))는 약(約) 1:2로 웅수(雄樹)가 더 많았다. 꽝꽝나무는 일반적(一般的)로 부식량(腐植量)이 많고 습(濕)한 소교목지대(小喬木地帶)에서 잘 자생(自生)하며, 황칠나무, 청미래덩굴, 삼나무, 단풍나무, 솔비나무, 굴거리나무 등(等)과 혼생(混生)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집단(自然集團)에서 꽝꽝나무의 성비(性比)는 약(約) 1:1로 나타났다. 8. 호랑가시나무의 경우(境遇) 삽수(揷穗)를 일년생(一年生) 지(枝)에서 채취(採取)하여 10cm 깊이로 조제(調製)하고, IBA로 처리(處理)한 뒤 흙떡꽂이를 실시(實施)한 삽목(揷木) 결과(結果) 좋은 근계(根系)와 높은 발근율(發根率)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한국의 관속식물 전통지식에 대한 민속식물학적 연구 (Ethnobotanical Study on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Vascular Plant Resources in South Korea)

  • 정재민;김현준;박광우;정혜란;최경;신창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2-89
    • /
    • 2016
  • 민속식물과 그 이용에 대한 전통지식의 대부분은 사회 경제 변화의 결과로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통 지식을 보존하고 탐색하기 위한 민속식물학적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민속식물에 대한 전통지식의 발굴과 수집을 위하여 2006년부터 2014년까지 9년 동안 총 146개 시·군 868개소에서 1,771명(남 498, 여 1,275)을 대상으로 현지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설문자의 평균연령 69 ± 11.6세였고, 130과 493속 813종 7아종 92변종 12품종으로 총 924분류군의 민속식물이 정리되었으며, 17,328건의 전통지식 정보를 수집하였다. 그 중 초본식물 619분류군(67.0%), 목본식물 305분류군(33.0%)으로 확인되었다. 자생 및 재배식물 분석결과, 야생식물이 707종(76.5%)이었고, 야생식물의 재배종은 44종(4.8%), 재배를 위한 도입종은 145종(15.7%), 귀화식물은 28종(3.0%)으로 나타났다. 민속식물 924분류군에 대한 용도는 14종류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 식용이 58.9%로 가장 높았고, 약용 26.9%, 용재용 3.7%, 관상 2.3%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민속식물에 대한 부위별 이용비율은 잎이 38.6%로 가장 높았고, 뿌리 16.4%, 줄기 15.9%, 열매 10.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속식물 924분류군의 전통지식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특정식물 종의 이용을 언급한 정보 보유자의 수(FC)와 이용범주 수(NU), 특정식물 이용자 수(UR), 상대적 인용빈도(RFC), 문화적 중요도 지수(CI), 상대적 중요도(RI), 문화적 가치(CV)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문화적 중요도(CI)는 쑥, 참취, 음나무, 상대적 인용빈도(RFC)는 참취, 쑥, 두릅나무, 상대적 중요도(RI)는 쑥, 소나무, 뽕나무, 문화적 가치(CV)는 쑥, 소나무, 음나무 등의 순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관상식물 삽목발근에 있어서 NAA, IBA 및 Ethychlozate의 발근촉진효과와 그 생리학적연구 (The Promotive Effect of NAA, IBA and Ethychlozate on Rooting Cuttings of Certain Ornamental Plants and Some Physiological Studies.)

  • 정해준;곽병화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권
    • /
    • pp.115-198
    • /
    • 1987
  • The present studies were undertaken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auxins, auxin-like substance-ethychlozate ("Figaron"),and pH and sort of rooting media on rooted propagation of certainornamental woody plant cuttings, and to see possible changes in internal compositions characterizing after root-promoting treatment as the cutting stage proceeded. The experimental check-up srevealed and summarized as seen in the following;I. Effect of three different auxin treatments on rooting cuttings: 1) Promotive influence of auxin varied according to different concentration levels, hours of dipping treatment of the auxins, and kind of plants. The greatest effect was obtained for Forsythia ksreana with NAA and IBA, for Ligustrurn obtusifolium var. variegatum with NAA and ethychlozate, for Hydrangea macrophylla, Magnolia kobus, and Magnolia liliflora with NAA, lBA and ethychlozate also. The most effective level of the promotive agents was found 200mg/l for NAA, 1000mg/l for IBA, and 200mg/l for ethychlozate. For Weigela florida and Gardenia jasminoides, range of the most effective level was shown relatively wide spread. 2) NAA was more effective at its optimal level of the rooting agent than ethychiozate for Weigela florida, Viburnum awabuki, Forsythia koreana, Acer palmatum 'Nomura', Bouga invillea glabra, Elaeagnus umbellata, Prunus tomentosa, Ligustrum obtusifolium, Pyracantha coccinea, Cestrum noctu rnum, Hydrangea macrophylla, Codiaeum variegatum, Rhododen dron lateritium, and Ilex crenata var. macrophylla, and yet ethychlozate was found either as equally as effective or more so than NAA for Zebrina pendula, Hibiscus syriacus, Fatshedera lizei, Schefflera arboricola, Campsis grandiflo ra, Ixora chinensis, Euonymus japonica, and Magnolia liliflora. On the contrary, no the auxin effect was noted with Lagerstroemia indica, Trachelospermum asiaticum, and Syringa vulgaris. This probably indicates that these species are genetically different for the auxin response.II. Effect of different pH and sorts of cutting media on rooting cuttings: 1) Bougainvillea showed best in rooting for the number and dry weight at pH 6.5, more with ethychlozate than NAA, while Ligustrum did at pH 5.0 more with NAA than ethychlozate. pH 4.0 medium resulted in the best rooting for Rhododendron with NAA, more than ethychlozate. 2) Use of cutting medium with peat: perlite: vermiculite = 1:1:1 showed to give the greatest rooting percent and dry weight, apart from considering the number of roots. This apparently meant the fact that cutting medium has more to do with root growth than root differentiation. Rhododendron yet showed results with cutting media that use of peat: perlite = 2:1 mixed is more effective on rooting than using peat alone.III. Effect of auxinic treatments on rooting cuttings and change in some cutting compositions: 1) Under the climatic conditions of July having temperature $26.3\pm$$2.4^{\circ}C$for cutting bed, new roots of Magnolia started to show up generally 20 days after the cutting was made, whereas Cestrum did much earlier than that, namely 14 days after. 2) Although total carbohydrate content of Magnolia cuttings showed no marked change without auxin treatment, it did so with the treatment, especially 30 days after the start of cutting. Cestrum cuttings demonstrated a gradual in crease in total carbohydrate content as rooting took place, and the content became reduced more with auxin than with out, just about when rooting proceeded to 14 days after the start of cutting. 3) Magnolia generally showed an increase in total nitrogen content as rooting proceeded more, and Cestrum showed a decrease in total nitrogen of cuttings. The auxin treatment exhibited no pertinent relation with change in plant nitro gen when rooting is promoted with auxin treatment. 4) An abrupt drop of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was noticed as Magnolia rooting started, and this reduction was parti cularly outstanding with auxin treatment. Starch content also was decreased in the later stage of cutting with auxin treatment, and was rather increased without auxin. Although sugar content soon increased as cutting started with auxin treatment in the case of Cestrum, it became reduced after rooting took place. 5) Total phenol content increased with rooting, and this was especially true when rooting started. This increase was reversed somehow regardless of auxin treatment. A decrease in phenol of Magnolia was found more striking with auxin than without in the later stage of the cutting period. 6)Avena coleoptile test for auxin-like substances presented the physiologically active factor is more in easy-to-root Magnolia liliflora than hard-to-root Magnolia kobus, and the activity of auxin-like substances was much increased with auxin treatment. The increase in the growth promoting substances was markedly pronounced when rooting just started. The active growth substances decreased in the later stage of cutting, and certain inhibitory substances started appearing. Cestrum also showed physiologically similar growth promoting substances accompanying auxin-like active substances if auxin is treated, and some strong inhibitory substances seemed to appear in the later stage of cutting. 7) Mung-bean-rooting test indicated biologically that endogenous growth substances in Magnolia all promoted mung-bean rooting, and activity of the growth substances apparently stimulated mung-bean rooting with auxin more than without. Here auxin treatment seemed to give a rise to an increased activity of endogenous growth substances in cuttings. This activity was found much greater with either NAA or IBA than ethychlozate, and showed its peak of the activity when rooting first started taking place. Certain inhibitory substances for Avena coleoptile growth strongly promoted mung-bean rooting, and it was also much like in the case of Cestr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