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iental cabbag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2초

다채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유묘의 형질전환 및 일시발현의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ransient Expression in Tah Ta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Seedlings Following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 신동일;박희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275-279
    • /
    • 2005
  •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는 새싹채소로 애용되는 식물로서 간단한 용기에서 손쉽게 재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vacuum-infiltration을 통한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에 의해서 B. campestris var. narinosa 싹에서의 GUS일시발현을 성공적으로 확인하였다. 발아전의 종자가 발아를 이미 시작한 종자보다 그 형질전환 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hydrogen peroxide를 2일 생장시킨 싹에 처리한 후 형질전환 하였을 때 GUS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간염항원유전자의 형질전환과 ELISA에 의한 항원단백질의 발현량 분석 시 hydrogen peroxide 처리 싹이 비처리 형질전환 싹에서 보다 2배 이상의 발현량이 측정되었다.

폐코이어를 재활용한 혼합 유기질 비료가 배추와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Organic Fertilizer Mixed with Various Recycled Coir Substrates on Chinese Cabbage(Brassica Campestris Ssp. Pekinensis) and Lettuce(Lactuca Sativa))

  • 이규빈;박은지;박영훈;최영환;서정민;강점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1221-1231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way to recycle the coir substrate by investigating changes in it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based on the number of use year. Specific gravity of unused coir substrate was $0.212g/cm^3$, while it was higher for the substrate used for 2 years. Porosity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number of use year. The porosity of unused substrate was 51.9%, but it increased to 68.6% after used for 2 years. In genera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better in the coir substrate used for 2 years than in unused one. The number of leaves, leaf area, flesh weight and dry weight of oriental cabbage and lettuce were higher in coir substrate used for 2 years than those in unused one.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substrates used for one year and 2 years, indicating that the one time-used wast substrate could be recycled for cultivating vegetables. Growth of the vegetables was improved when organic fertilizer composed of complex organics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was provided to the coir substrate, compared to untreated plot. The optimum mixing ratio of the wast substrate and complex organics was 2:8(v/v) for fertilization using wast coir substrate. Therefore, coir substrate generally wasted after being used for one time was reuseable by supplying organic fertilizer.

파속 식물의 조추출물이 몇가지 작물의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ude Extracts from Allium spp. on Growth of Several Crop Seedling)

  • 최상태;안형근;장영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26-534
    • /
    • 1996
  • 파속 작물인 대파, 양파, 부추 및 마늘의 조추출물이 각종 작물의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1. 파속 식물의 조추출물은 국화와 상추의 유묘생육을 저농도부터 억제하기 시작하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억제효과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상추는 하배축에 비해 근의 신장억제 효과가 컸다. 2. 벼의 유묘생육은 국화과 작물과는 달리 대파와 부추의 근추출물은 300에서 700ppm까지, 대파, 마늘, 및 부추의 경엽추출물에서는 500에서 1,000ppm까지 근의 신장을 현저히 촉진시켰다 그러나 지상부의 생육은 저농도에서 촉진되었다. 3. 마늘과 양파의 경엽추출물은 2,000혹은 3,000ppm의 고농도까지 각각 배추의 근 및 하배축을, 모든 파속 식물의 근추출물은 300에서 700ppm까지 근의 신장을 각각 촉진시켰으나 하배축 신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무의 유묘생육은 양파, 마늘 및 부추추출물에서 저농도에서는 촉진효과가 현저히 나타났으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부추의 근추출물은 고농도에서도 근의 신장이 촉진되었다. 대파 추출물은 뚜렷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5. 고추의 유묘생육은 양파와 마늘의 경엽추출물에서만 5,000ppm의 고농도까지 하배축의 신장촉진효과가 나타났을 뿐 타처리구에서는 뚜렷한 촉진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6. 오이의 유묘생육은 모든 파속 식물의 추출물에서 주근, 측근 및 하배축의 신장이 현저히 촉진되었으며 특히 양파와 마늘추출물에서 측근의 신장촉진이 두드러졌다. 7. 참외의 유묘생육은 오이와는 달리 저농도에서 약간의 촉진효과가 나타났으나 고농도에서는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이모작에 따른 참외 재배 비닐하우스 토양의 선충밀도 변화 (Effect of Double-Cropping Systems on Nematode Population in Plastic Film House Soils of Oriental Melon Cultivation)

  • 변일수;서선영;이용세;정종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23
    • /
    • 2014
  • 시설재배 참외 주산지에서는 농가별로 가용 경지면적이 제한되어 있어 동일 포장을 이용한 장기간 연작이 불가피하므로 토양의 염류집적 문제와 함께 선충 피해가 매우 심각하다. 참외 휴경기에 하우스의 비닐을 제거하고 김장배추를 재배하는 이모작 체계는 다음 작기 참외 재배 시 토양 선충 밀도를 줄이는데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일반 참외 연작 하우스와 비교하여 참외-미나리 이모작 하우스에서는 다음 작기 참외 재배기간 동안 6월까지는 토양의 선충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는데, 이는 토양을 3개월 정도의 담수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로 판단된다. 참외-미나리 이모작 하우스에서 다음 작기 참외 정식 전에 살선충제를 처리한 경우에는 참외 재배 후반기까지 선충 밀도가 피해유발수준 이하로 유지되었다. 농가에서 휴경기에 배추와 미나리를 윤작물로 재배하는데, 이러한 단기윤작은 참외 연작 비닐하우스 토양의 선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객토, 토양소독, 윤작물 재배 등의 친환경적인 선충방제 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살선충 약제를 사용함으로써 작물생산에 미치는 선충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혼합파장의 LED를 광원으로 재배한 방울토마토와 적채의 생리활성물질 함량 분석 (Effect of LED with Mixed Wavelengths on Bio-active Compounds in Cherry Tomato and Red Cabbage)

  • 강선아;양혜정;고병섭;김민정;김봉수;박선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05-509
    • /
    • 2015
  • 본 연구는 식물 공장에서 특정 파장을 조합한 혼합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방울토마토와 적채를 재배할 때 식물의 성장과 각각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인 리코펜과 안토시아닌의 함량 변화를 탐색하였다. 대조광으로 형광등을 사용하였고 LED 혼합 파장은 적색, 녹황색, 청색 파장(630 nm:550 nm:450 nm=8:1:1)을 혼합하여 방울토마토와 적채에 조사하였다. 방울토마토에서는 LED을 조사하였을 때, 수확되는 방울토마토의 개수는 적었으나 수확된 방울토마토의 무게와 당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방울토마토의 생리활성 물질인 리코펜의 함량은 LED 조사 시 오히려 낮았다. 적채는 LED를 조사하였을 때, 형광등에 비해 적체의 무게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안토시아닌 함량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작물의 색에 따라 성장에 요구하는 LED의 파장 및 혼합 비율이 다르다는 것을 알았고, 과실의 색에 따라 LED 파장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동의보감 탕액편에 기재된 식이본초의 독성유무에 대한 분류 연구 (Study of Toxicity Presence Classification about Herbal Diet in Tang-aec-pyeon of Dong-ui-bo-gam)

  • 신호동;정종운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2-35
    • /
    • 2011
  • Objectives: The two criteria to clarify the toxicity of a herbal diet are well known. Although mechanical analysis of effective ingredients, a western approach, is widely used, the toxicity presence classification through the herbal analysis from a viewpoint of a theory of the herbal medicine properties has been disregarded. This study is for the safe use of a herbal diet through classification and study of toxicity presence in the herbal diet from the view of a theory of herbal medicine properties, one of the methods of Oriental Medicine. Methods: We classified and studied the toxicity presence in four kinds of herbal diets, waters and grains, animals groups, fruits and vegetables, and herbs and trees, excluding mineral natural drugs, of 1,400 kinds of medicines in 16 chapters of Tang-aec-pyeon, Dong-ui-bo-gam, for which the herbal analysis from a viewpoint of the theory of the herbal medicine properties has been used. The criteria of the toxicity presence in the herbal diet have been largely classified into the toxicant and the non-toxicant, and the toxicant is in turn classified into the insignificant, the medium and the significant. The category to clarify herbal diet has been limited to simultaneous utilization of food and natural drugs. The main text is Dong-ui-bo-gam, although diverse other references have also been used. Results: There are toxicant diets: a kind of tortoise meat of animals groups; five kinds of grains part in fruits and vegetables: aengdo, peach, oyat, small apple and gingko nut; and 12 kinds of vegetables part in fruits and vegetables: ginger, oriental cabbage, lettuce, chongbaek, onion, garlic, leek, fern, houttuynia cordata (myeol), pyeongji, geundae, and spinach, which should be prohibited from long-term use both as food and medicine. Conclusion: If herbal diet is used as health food supplements or food, the toxicity presence should be considered on the grounds of an Oriental Medicine theory of the herbal medicine properties.

김치의 생화학적 특성 (Critical Review on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 최홍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9-101
    • /
    • 1995
  • Kimchi is a fermented Korean vegetable product prepared using mafor raw materials (oriental cabbage and radish) and other ingredients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of grading, brining, blending, and fermentation. Kimchi fermentation is initiated by various microorganisms originally present in the raw materials, but the fermentation is gradually dominated by lactic acid bacteria. Thus, the complex biochemical activities obviously occur during, before and after kimchi fermentation and thei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greatly differ, depending on the raw materials and processes used. This review covers in detail the numerous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gars, organic acids, amino acids, vitamins(B complex, carotene and ascorbic acid), pectic substances, flavor components and others during preparation and preservation of kimchi.

  • PDF

배추(숭(崧))의 어원(語源) 연구 (Origin of Chinese Cabbage(Pe-tsai))

  • 김종덕;이은희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29
    • /
    • 2007
  • 1. Objectives We know that the origine of the pe-tsai is from 백채(白菜; pronounced as bak-tsai, meaning white vegetable). But some literatures said that the japanese butterbur(Petasites japonicus (Sieb. et Zucc.) Maxim) is from 백채(白菜;: pronounced as bak-tsai), too. These two words have same origin. It makes us get into a mess. So We are about to study the origine of the pe-tsai more. Also, we investigated its historical origin, properties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 efficacy. 2. Methods We reviewed farmings(e.g. 山林經濟, 林園經濟法), dictionarys(e.g. 訓蒙字會), encyclopedia(e.g. 物名攷), books on herbs and medicines to summarize literatures about the pe-tsai. 3. Results and Conclusions (1) The origin of term, pe-tsai is sung, named after a pine tree(松), chineses character pronounced as song) which we can see throughout a year. Also, pe-tsai was called white vegetables(白菜, pronounced as bak-tsai) because its appearance is green and white. Therefore, the pronounciation of sung derives from its character and we also say bak-tsai(白菜), which came from its looks. (2) Today we pronounce pe-tsai inro bae-tsu(배추) in korean. There are pronunciational developments of this word : bak-tsai(白菜) $\to$ bae-tsae $\to$ bae-tsa $\to$ bae-tsa $\to$ bae-tsae(배채) $\to$ bae-tsu(배추). (3) Our ancestor used bak-tsai(白菜) as the name of japenese butterbur, which was different from China. The latter times of Joseon(조선), however, sometimes bak-tsai(白菜) meant pe-tsai. After the year of 1800, bak-tsai(白菜) only meant pe-tsai. So when we try to translate our ancestor's books, we must examine carefully their published year. (4) Pe-tsai is used for baby's erysipelas, boil, fever in the chest, thirst after alcohol drinking and kind of diabetes. It helps digestive organs as well. Pe-tsai is used for stress, fever in the chest and cough with fever of Soyangin and Tayangin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PDF

답후작(沓後作)의 Quinclorac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비교연구(比較硏究) (Comparison in Tolerance to Quinclorac among Followed-by Crops of Paddy Rice)

  • 국용인;노상언;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0-386
    • /
    • 1992
  • 19종(種) 답후작물(畓後作物)을 서로 다른 처리농도(處理濃度)의 Quinclorac agar 배지 및 수경재배(水耕栽培) 영양액(營養液)에 공시(供試)하여 Quinclorac에 대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비교한 결과, 토마토, 가지, 오이, 상추는 급진적(急進的) 감수성(感受性), 수박, 당근, 완두, 강남콩, 담배는 완만적 감수성(感受性), 기타의 고추, 양파. 마늘, 시금치, 배추, 양배추, 무우, 쑥갓, 보리는 비교적 내성(耐性)으로 분류(分類)되었다. 급진적(急進的) 감수성(感受性) 작물(作物)이라도 토마토는 생육(生育) 단계(段階)가 진전된 유묘(幼苗)의 내성(耐性)이 컸던 반면 상추는 오히려 감수성(感受性)이 컸으며 오이는 생육단계(生育段階)에 따른 영향(影響)이 적었다. Quinclorac을 포함한 7종 답제초제(畓除草劑)를 토양(土壤)에 공시(供試)한 후 120-180 일 후의 토양(土壤)에 9종 답후작물(畓後作物)을 40 일간 생육(生育)시킨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는 약제(藥劑)가 소멸된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Quinclorac에 대한 토마토 반응(反應)은 유의적으로 발생되었다. 또한 마늘, 라이그라스, 오이 등에 대하여 처리후(處理後) 120-150일 된 토양(土壤)에서 약해증세(藥害症勢)를 발생시키는 제초제(除草劑)도 있었다.

  • PDF

농작업 유해요인 노출평가를 위한 작목 및 작업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ategorization of Farm Types and Crops for Exposure Assessment in Agriculture)

  • 신소정;김효철;허진영;안민지;김경란;김경수;이민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00-507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farm types and analyze the cultivated area and labor input time for each crop over a year in order to decide farm type conducting for the hazard exposure assessment. Methods: Crops ranked within the top 45 by cultivated area in Korea were selected and 15 target crops that exposure assessment had been conducted for through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pilot research projects were selected. Labor input time was based on data investigated through RDA research surveillance. If there was no data, data from Statistics Korea was used. Data from Statistics Korea was used for total cultivated area. Results: Crops were divided into 5 types: open field crops(Chinese cabbage, Corn, Ginger, Potato), fruits (Mandarin, Pear), green house crops(Cucumber, Lily, Oriental melon, Pumpkin, Tomato), livestock(Poultry), specialty crops(Ginseng, Oyster mushroom, Tobacco). The cultivated area for potato was the largest, and lily was the smallest among the crops. Labor input time over a year was the highest with oyster mushroom and the lowest with pear. Total labor input time by crops was the highest with mandarin and the lowest with Chinese cabbage. Conclusions: To evaluate hazard factors of farm work, it's essential that crops and tasks be classified based on the size of farmers and working hours by farm type. Therefore, the priority of management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cultivated area and total labor time, but the characteristics of tasks in each crop should also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