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검색결과 755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사가 인지한 상사의 리더십과 상사신뢰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Superior's Leadership to Supervisory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 이소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8-218
    • /
    • 200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superior's leadership to supervisory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Method: Subjects were 386 nurses in 8 general hospitals at G city and Seoul.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AS 8.12 by apply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uperi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3.54{\pm}0.53$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3.40{\pm}0.36$. Supervisory trust was $3.14{\pm}0.46$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3.18{\pm}0.53$. Superi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ransactional leadership, supervisory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each others. The level of supervisory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by age, educational status, clinical career, position and superior's leadership level. Major factor that affect to supervisory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w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had an explanation of 45.9% and 29.8%. Conclusions: The more nurses perceived the superi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higher nurses perceived supervisory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these variables generally screened and other factors should be analyzed. And if specifi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hich increase superi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ll be developed, it may contribute to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 PDF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관리자의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Nurs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on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 최한교;안성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00-108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of nurs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with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73 registered nurses working in five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measurements included the Authentic Leadership Questionnaire, Condition of Work Effectiveness Questionnaire-II,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and Korea-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with the SPSS 18.0 program.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ron and Kenny method and Sobel 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uthentic leadership,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Empowerment showed perfec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In this study, nurs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via empowerment. Therefore, to enhance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effective strategies to enhance nurs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and to develop empowering education programs for nurses.

임상간호사의 시간관리 요인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ime Management on the Clinical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 임지영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2-28
    • /
    • 200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ime management on the clinical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Subjects were recruited in two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Incheon.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ime management was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Han (1992).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Yoon (2000), based on Mowday et al. (1979) and Stamps et al. (1978).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version 10.0. Specifically,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Results: The predictive time management factors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luded deadline decision, simplification, and goal-setting. The predictive time management factors for job satisfaction included planning/making the priority order, deadline decision, simplification, asking for help, and responsibility reduction. Conclusion: Time management factors are high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Deadline decision and simplification are common predictive factors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more effective time management strategies for increa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linical nurses.

  • PDF

HR부서의 전략적 역할이 교육훈련만족도를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제조업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HR Department's Strategic Rol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 최재원;이석기;김성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75-18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제조업이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혁신의 주체인 인적자원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인사 부서의 전략적 역할이 교육훈련만족을 통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제 7 차 인적자본회사패널 설문조사 데이터 중 제조업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HR 부서의 전략적 역할이 교육훈련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훈련 만족도 및 HR부서의 전략적 역할은 조직유효성 중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교육훈련 만족도는 HR 부서의 전략적 역할과 직무만족의 관계에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혁신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이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는데 중요한 요소인 인사 전담부서의 권한과 책임을 확대하고 그들의 역할을 재정립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의 초점은 제조에만 있으므로 더 다양한 산업 분야로 연구를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Systematic Evaluation Effects of Culture on the Effectiveness of Small and Medium Firms in Tra Vinh of Vietnam: With AHP and Regression

  • HUYNH, Quang Lin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8호
    • /
    • pp.135-144
    • /
    • 2022
  • Organizational culture has been recognized as a determinant of corporate Effectiveness. Cultural components could affect corporate Effectiveness to different extents. However, it seems that none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evaluated and compared these influential extents of cultural components. The current research applies analytic hierarchy processes to assess and rate the significance extents that, cultural components play in resulting in corporate Effectiveness. Then, the current work utilizes regression analyses to re-evaluate the significance extents for the robustness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clan culture is the most vital component in explaining corporate Effectiveness. In contrast, adhocracy culture is the least important component in affecting corporate Effectiveness. Market culture is a cultural component that is ranked the second in determining corporate Effectiveness, and next is hierarchy culture which is the third. The findings are in support of the positive influences of clan, market, and adhocracy cultures on corporate Effectiveness; whereas it found the negative impact of hierarchy culture on corporate Effectiveness.

민간경호경비조직의 갈등관리방식과 조직성과의 관계 (Relations between Conflict Management Style of Private Security Guard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박영만;김은정;정주섭;강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375-386
    • /
    • 2010
  • 본 연구는 민간경호경비조직의 갈등관리방식과 조직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0년 서울 소재 민간경비회사에 재직하고 있는 민간경호경비원을 대상으로 판단표집법을 이용하여 286명을 추출하여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279명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642 이상으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증 및 F검증,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호경비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갈등관리방식은 차이가 있다. 둘째, 민간경호경비비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성과는 차이가 있다. 셋째, 민간경호경비원들의 갈등관리방식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즉, 민간 경호경비원들의 갈등관리방식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즉, 통합 타협, 회피, 은혜, 지배의 갈등관리 방식을 선호할수록 집단응집력, 조직몰입, 직무만족 또한 높게 나타난다.

팀프로세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구성원의 정서상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eam Proc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Mediating Effects of Members' Affect State)

  • 윤주용;정기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46-156
    • /
    • 2020
  • 본 연구는 팀프로세스와 정서상태유형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기업체에서 근무하는 임직원 241명으로부터 유효한 설문을 받았으며, 수집된 설문은 회귀분석을 통해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팀프로세스 요인인 전환과정, 실행과정, 대인과정이 모두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팀프로세스 요인인 전환과정은 구성원의 정서상태유형 중 긍정활성과 긍정비활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고, 대인과정은 긍정활성, 긍정비활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부정비활성과 부정활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팀프로세스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정서상태유형인 긍정활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 내 인적자원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팀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팀프로세스의 구축과 관리에 대해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융합시대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융합연구 (Convergence of Social Workers' Resource Development Capabilit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Fusion Age)

  • 김정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45-50
    • /
    • 2018
  •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에 있는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강화와 조직효과성 향상을 강조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원개발역량의 태도는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지식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가치와 기술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개발역량의 가치와 지식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태도와 기술은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개발역량의 가치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태도는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인 가치, 태도, 기술, 지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할 경우, 직무만족이 낮아지거나 이직하고자 하는 의도정도가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나 아직까지 사회복지사의 개인역량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조직의 환경이 열악한 상황임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

병원의 간호팀제운영에 따른 간호사의 인식과 효과 비교 (Comparison of Hospital Nurses' Recognition of the Team System and Effects on the Nursing Organizational Team System)

  • 박광옥;박성희;유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14-425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spital nurses' recognition of the team system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system as an organizational structure. Method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247 general hospital nurses during 4 months in 2013. Analysis was don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factor analysis with SPSS 18.0. program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s' recognition of team structure (t=2.06, p=.153) or effect of team structure (t=0.36, p=.549) according to use of team system. In hospitals with a team system,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the team system and age (r=.25, p=.033), and total clinical career (r=.26, p=.012). In hospitals not using a team system, nurses' recognition of team structure as an organizational system (r=.31, p<.001), nurses' recognition of team structure, total (r=.30 p<.001)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effects of team system.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retrospection view of the team system in nursing organizational systems. The nursing team system's ultimate goal needs to be confirmed for complementary nursing care. Also, more studies on nurses' perceptions of, and effectiveness of the team system are necessary.

요양보호사의 소명의식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Call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신영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393-402
    • /
    • 2018
  • 최근 장기요양보험제도에 도입된 시장화와 공급주체 다원화의 영향으로 조직성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의 조직성과에 요양보호사의 소명의식의 영향을 분석하고 그 경로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중회귀분석으로 소명의식이 직무만족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직무분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소명의식은 조직성과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직무만족은 소명의식과 효과성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소명의식과 효율성 사이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직무만족 관리를 통하여 효과성을 제고하고, 직무만족과 소명의식을 관리하여 효율성을 관리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