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seed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34초

채소종자 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유기 또는 무기게르마늄의 효과 및 흡수특성 (Uptake Properties of Germanium to Vegetable Plants and Its Effect on Seed Germination and on Early Stage Growth)

  • 한명자;김성은;서동철;정용화;이도진;박문수;임요섭;손보균;허종수;조주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7-222
    • /
    • 2007
  • 식물의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무기게르마늄과 유기게르마늄의 효과와 흡수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채소류인 갓, 배추 및 청경채를 이용하여 다양한 게르마늄농도(0, 10, 25, 50, 100 mg $L^{-1}$)를 처리하였다. 채소 종자발아는 모든 식물에서 무기게르마늄을 100 mg $L^{-1}$ 처리한 경우에만 약간의 저해를 받았고 나머지 조건에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식물의 유묘생장에 미치는 게르마늄의 효과는 갓과 배추의 경우에는 모든 농도의 무기게르마늄($10{\sim}100$ mg $L^{-1})$에서 뿌리의 생장에 심각한 저해를 보였고 지상부 생장은 높은 농도(50, 100 mg $L^{-1}$)에서는 저해를 받지만 낮은 농도(10, 25 mg $L^{-1}$)에서는 오히려 약간의 생장 촉진효과를 보이거나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유기게르마늄의 처리시에는 뿌리와 지상부의 생육이 낮은 농도(10, 25, 50 mg $L^{-1}$)의 대부분 조건에서 생장을 촉진하는 결과를 보였다. 식물체내의 게르마늄의 흡수 특성은 무기 및 유기게르마늄의 모든 조건에서 대조구에 비해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 특히 무기게르마늄을 처리한 경우 보다 유기 게르마늄을 처리한 경우에 같은 농도에서 전반적으로 약 $2\sim4.5$배까지 많이 흡수되었다. 25 mg $L^{-1}$농도의 게르마늄을 처리한 경우를 보면, 유기게르마늄의 처리시 게르마늄의 흡수는 갓에서는 약 4배(무기게르마늄: 0.37 mg $g^{-1}dw$, 유기게르마늄 : 1.47 mg $g^{-1}dw$), 배추에서는 약 2.2배(무기게르마늄: 0.40 mg $g^{-1}dw$, 유기게르마늄: 0.86 mg $g^{-1}dw$) 그리고 청경채의 결우 약 2.1배(무기게르마늄 : 0.33 mg $g^{-1}dw$, 유기게르마늄: 0.70 mg $g^{-1}dw$) 정도로 무기게르마늄의 처리보다 높았다.

전남지역 쌈채류 무농약.유기재배농가의 잡초, 병해충관리 실태분석 (Survey of Diease and Weed Control in Organic and Free-pesticide Cultivation of Chunnam Area 'Ssam' Vegegable)

  • 임경호;김선국;최경주;김도익;김선곤;이용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9-121
    • /
    • 2007
  • 전남지역의 쌈채류 무농약 유기농산물 생산농가의 잡초관리, 병해충방제 기술과 농자재의 사용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그 기술을 검증하고 표준화하여 정립된 기술을 개발하고자 상추, 들깻잎, 치커리, 케일 등 쌈채류 재배로 무농약 유기농산물 품질인중을 받은 21농가(무농약재배 16, 유기재배 5)를 대상으로 재배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종자 파종시 종자소독을 실행한 농가는 28.6%에 그치고 소독방법은 소금물가리기, 키토산액 침지 등 검정되지 않은 간이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육묘 중 묘상에서의 병 방제를 위한 친환경 농자재의 살포 횟수는 55.6%가 살포 횟수가 없었으며, 해충 방제를 위한 살포횟수는 1회 살포가 50.0% 이었다. 따라서 육묘 기간이 비교적 짧은 쌈채 작물에서의 육묘 중 병해충 방제를 위한 농자재 살포횟수는 1회${\sim}$2회 살포로도 가능하였다. 토양소독을 실행한 농가 비율은 71.4%로 많았으며 소독 방법은 태양열소독으로 소독 횟수는 1회/년을 기준으로 토양소독을 실시하였다. 재배포장의 잡초방제 방법으로 이랑의 잡초는 대다수의 농가가 흑색PE필름을 이용한 멀칭재배로 잡초 발아를 억제하였으며, 고랑의 잡초는 85% 이상의 농가가 인력으로 김매기를 수행하고 일부농가는 기계제초와 멀칭재배로 잡초를 관리하고 있었다. 봄 작기를 기준으로 병 방제 횟수는 무 방제가 57.1%이었고 병해 예방을 위해 시설이나 재배지의 토양과 온 습도 등 환경 조절로 52.4%가 병해 관리를 하였으며, 병 방제는 천연자원이용 농가 자가제조 농자재나 미생물제재를 이용하여 $1{\sim}2$회 방제 하였다. 쌈채의 작목별 주요 발생 해충은 상추에서는 목화진딧물, 케일에서는 배추좀나방, 쌈추는 배추좀나방과 배추벼룩잎벌레, 들깨에서는 들깨잎말이나방이 문제시 되는 해충이었다. 해충의 방제는 봄 작기를 기준으로 해충 방제 횟수는 10회 이상 살포가 많았고 해충 방제용 농자재 종류는 $1{\sim}5$종을 이용한 농가가 많았으며 자가 제조한 농자재 보다는 시중에서 구입하여 이용한 농가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무농약 유기재배 쌈채 생산을 위해서는 건열처리 등에 의한 종자소독 방법과 병해충 예방을 위한 환경 관리기술의 과학적인 검증 및 주요 발생 병해충에 대한 체계적인 방제 매뉴얼 개발이 요구된다.

  • PDF

Nutrient intake, digestibility and performance of Gaddi kids supplemented with tea seed or tea seed saponin extract

  • Kumar, M.;Kannan, A.;Bhar, R.;Gulati, A.;Gaurav, A.;Sharma, V.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4호
    • /
    • pp.486-494
    • /
    • 2017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nutrient intake, digestibility, microbial protein synthesis, haemato-biochemical attributes, immune response and growth performance of Gaddi kids fed with oat fodder based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either tea seed or tea seed saponin (TSS) extract. Methods: Eighteen male kids, $7.03{\pm}0.16$ months of age and $19.72{\pm}0.64kg$ body weight, were distributed into three groups, $T_0$ (control), $T_1$, and $T_2$, consisting of 6 animals each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kids were fed a basal diet consisting of concentrate mixture and oat fodder (50:50). Animals in group III ($T_2$) were supplemented with TSS at 0.4% of dry matter intake (DMI), and group II ($T_1$) were supplemented with tea seed at 2.6% of DMI to provide equivalent dose of TSS as in $T_2$. Two metabolism trials were conducted, 1st after 21 days and 2nd after 90 days of feeding to evaluate the short term and long term effects of supplementation. Results: The tea seed ($T_1$) or TSS ($T_2$)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DMI as well as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organic matter, crude protein, neutral detergent fibre, and acid detergent fibre. Nutritive value of diet and plane of nutrition were also comparable for both the periods. However, the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improved (p<0.05) for $T_1$ and $T_2$ as compared to $T_0$. The microbial protein supply was also higher (p<0.05) for $T_1$ and $T_2$ for both the periods. There was no effect of supplementation on most blood parameters. However, the triglyceride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decreased (p<0.05) and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evel increased (p<0.05) in $T_2$ as compared with $T_0$ and $T_1$. Supplementation also did not affect the cell mediated and humoral immune response in goats. Conclusion: Tea seed at 2.6% of DMI and TSS at 0.4% DMI can be fed to Gaddi goats to improve growth rate, FCR and microbial protein synthesis.

The effect of osmotic potentials on the temperature response for germination of pepper seed

  • Kim, Young Ae;Park, Sunyeob;Kim, Du H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16-216
    • /
    • 2017
  • Primed seeds germinate faster and uniformly, since these have already started imbibition and metabolism requiring to complete germination. Several factors such as solution composition, osmotic potential, and treatment duration affect seed priming response. Water potentials of priming solution and germination response of primed seed were investigated to clarify the effects different inorganic salt types and the duration. Pepper seeds were primed in osmotic solutions that were osmotic potential ranged -1.54 to -0.45 MPa in an aerated solution of polyethylene glycol 8000 (PEG; 17%, 22%, 27%), and inorganic salt solution of $KNO_3$, $K_2SO_4$, and $Na_2SO_4$ (100, 200, 300mM) in aerated condition. The seeds were treated at $20^{\circ}C$ for 4, 6 day (D) and stepwise duration combined concentration of 100mM (2 or 4 days) and 300mM(2 or 4days). After soaking treatment, seeds were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n were dried to approximately 6% moisture content in dry chamber at $25^{\circ}C$. The germination of seed was characterized by ISAT rules at $20^{\circ}C/30^{\circ}C$ and $15^{\circ}C$. Total germination percentage (GP), mean germination time (MGT), germination uniformity (GU), germination rate (GR), and health seedling percent (HS) were calculated on the germinated seed in a 14-day period. Seed water potential (${\psi}$) was correlated with water potential of priming solution ($r^2=0.84$). The effect of seed priming on germination varies with inorganic salt and organic agents (PEG). Germination percentage (GP, 77 and 73%), GR (21.3 and $19.4 %{\cdot}day^{-1}$), and HS (58 and 52 %) was greatest and lowest MGT (4.2 and 4.8 day) when they were primed in 100mM $K_2SO_4$ (${\psi}=-0.45MPa$), and 100mM $KNO_3$ (${\psi}=-0.52MPa$) for 6 days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67% GP, $19.7%{\cdot}day^{-1}\;GR$, 18% HS, and 10.8 day MGT) in $15^{\circ}C$ chamber. Water potential less then -1.2MPa of osmotic solution resulted lower GP, GR and HS and in $K_2SO_4$ and $KNO_3$. However, stepwise treatment of water potential that changed solution as 100mM for 4 D + 300mM for 2 D or 300mM for 4 D + 100mM for 2 D) were not better than single concentration alone i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 PDF

친환경농자재 개발을 위한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의 알레로패시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Catsear (Hypochaeris radicata L.)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 차진우;김현철;강정환;김태근;정대천;송상철;이희선;송진영;송창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9-145
    • /
    • 2014
  • 서양금혼초의 군락 형성에 따른 경쟁적 우세원인을 규명하고 친환경농자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생육특성과 Allelopathy 효과를 알아보았다. 서양금혼초의 생육특성은 예초지역과 비예초지역간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 직경과 화주 수를 비교한 결과 예초지역의 묘조(苗條) 수, 지상부의 직경과 화주수가 비예초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레드클로버(Trifolium pratense), 들묵새(Festuca myuros), 도깨비바늘(Bidens bipinnata) 등 실험식물 14종 대해 발아와 생장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검정식물의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털, shoot, root의 생장이 억제되었고 검정식물의 종류와 부위에 따라 억제정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양금혼초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실험곰팡이의 생장에 있어서는 Pythium속, Phytophthora속은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성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Rhizoctonia속인 경우에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생장억제 현상이 뚜렷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서양금혼초의 예초는 서양금혼초의 Split현상을 유도하여 더 많은 영양번식과 종자번식을 일으켜 군락을 형성하고, 서양금혼초에 함유된 allelochemicals에 의해 타 식물체의 발아와 생장, 미생물의 생장 등에 관여하기 때문에 제주도내 생태계에서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친환경농자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Stainless steel에 접종된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천연항균제 및 유기산 분무 살균효과 (Efficacy of Aerosolized Natural Antimicrobial and Organic Acids as a Sanitizer against Foodborne Pathogens on Stainless Steel)

  • 하수정;양승국;박현주;김충환;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6-341
    • /
    • 2011
  • 본 연구는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그리고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하여 천연항균제와 유기산을 이용한 분무 살균제 (aerosol sanitizer)의 살균효과를 검토하였다. 실제 가공공장의 주요 기계나 기구로 사용하는 stainless steel을 coupon으로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접종한 식중독 미생물을 model cabinet에서 5분 동안 자몽종자추출물(grapefruit seed extract), acetic acid, citric acid 그리고 lactic acid로 처리 하였다. 3가지 식중독 미생물의 수는 GEF와 유기산 단독 처리시 0.34-3.77log의 균 감소를 나타내었고, 병행 처리시 1.72-3.89 log의 균 감소를 나타내었고 GEF, 유기산 그리고 알코올을 병행 처리시 1.46-5.05 log의 균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세 종류의 유기산 중 항균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측정된 lactic acid를 이용하여 scale-up 모델에서 10분 동안 처리 한 결과는 E. coli O157:H7, S. Typhimurium 그리고 L. monocytogenes는 각각 3.42, 2.72, 2.30log의 균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천연항균제와 유기산을 이용한 분무 살균제는 안전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환경 위생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수세미외의 부위별(部位別) 유효성분(有效成分) 조사(調査) 및 사과락중(絲瓜絡中) 육질제거(肉質除去) 방법(方法) 개발(開發) 연구(硏究) : (I) -수세미외의 부위별 화학성분 분석-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components in the various parts of Luffa cylindrica (L.) Roemer and development to remove the flesh from its fruit : (I) -Determination of chemical components in the various parts of Luffa cylindrica(L.) Roemer by GC and GC/MS-)

  • 장기운;문창식;이희덕;이창준;이운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4호
    • /
    • pp.366-372
    • /
    • 1991
  • 관행법에 의해 재배된 수세미외의 잎, 줄기, 미숙과즙, 종실, 수액 등 각 부위에 함유된 휘발성 정유성분, 탄화수소, 유기산 및 비휘발성 지방산을 추출, 분리하였다. 150여개의 분리성분중 37개 정유 성분을 확인한 후 각 부위별로 정량하였다. 또한, 26종의 탄화수소, 5종의 유기산 및 6종의 지방산도 분리정량하여 부위별 분포와 함량을 비교하였다.

  • PDF

Chitosan 처리와 종묘종류가 가을감자의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iar Application of Chitosan and Seedling Types on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Fall-growing Potatoes(Solanum tuberosum) in Jeju Island)

  • 강봉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1-120
    • /
    • 2002
  • 제주지역에서 가을 감자재배시 식물활력물질인 Chitosan 처리횟수와 감자 종묘종류가 지상부생육 및 괴경수량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공시품종으로는 제주지역 감자장려품종인 대지(Dejima)를 선정하였으며, 제주대학교 시험포(해발 280m)에서 수행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키토산 액제 2,000ppm 무처리, 1, 3, 5회 등 처리횟수를 주구, 경삽 플러그묘, 소서 플러그묘 및 일반 종서 등 감자 종묘종류를 세구로 하였다. 키토산 액제의 처리는 정식 10일 후부터 10일 간격으로 처리구에 따라 스프레이를 이용하며 엽면살포하였다. Chitosan을 3∼5회 처리함에 따라 초장 및 지상부 건물중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80g이하의 괴경수 및 괴경수량은 일반증서 파종구와 소서 플러그묘 정식구가 많았으나, 80g이상의 괴경수 및 괴경수량은 경삽플러그묘 정식구가 현저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엽중의 총질소 함량은 키토산 처리횟수가 많아질수록 높아졌으며, 그 외 K, P Ca, Mg, Na 등의 함량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경삽 플러그묘, 소서플러그묘 정식구 및 일반증서 파종구 모두 키토산 3∼5회 처리구에서는 생육형질 및 괴경수량성에서 양호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반건조 고추의 씨함량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mi-dried Red Pepper with a Different Seed Ratio on the Quality of Kimchi)

  • 성정민;임정호;박기재;정진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27-436
    • /
    • 2008
  • 반건조 고추의 고추씨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추씨가 20, 40, 60 및 80%의 비율로 첨가된 반건조 고추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결과 pH, 산도 및 젖산균의 변화는 숙성 9일째 가장 높았으며 처리구 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vitamin C, ASTA, capsaicnoids 함량은 모두 고추씨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 반건조고추의 고추씨 함량이 김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고추씨 함량별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발효 기간동안 malic, succinic acid는 감소하였고 acetic, lactic acid는 증가하였다. 관능 평가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고추씨 함량 20%인 김치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반면, 고추씨 함량 40% 이상인 김치구의 경우 전반적인 기호도가 5점 이하로 나타나 상품적인 가치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